View : 886 Download: 0

국악 합주의 교과수업 적용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

Title
국악 합주의 교과수업 적용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
Other Titles
Effective Instructive Methods for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in Classes
Authors
차순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영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ensemble lessons for the vitalization of Korean music lessons, and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for the Application of Korean Music Ensembles in Class’ by analyzing the course of instruction and the structuring of the researcher’s clas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has analyzed the educa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lassical Korean music ensembles provided by text books. Based on her analyses, this researcher has also constructed classes and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struction course, proposing to apply them in later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earcher has referred to 23 textbooks in total, including the 10 2009 revised ‘Music and Life’ textbooks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Kyohak, Kumsung Publishing, MiraeN, Parkyoungsa, Achimnara, Music and Life, Jihak, Chunjae Education, Hyundae Music), 3 ‘Music and Career’ textbooks (Kyohak, Music and Life, Chunjae education), and 10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Kumsung Publishing, Darakwon, MiraeN, Parkyoungsa, Visang, Achimnara, YBM, Music and Life, Jihak, Chunjae Edcuation). For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er has selected H girls’ high school of Mapo-gu, a school that carries out Korean orchestral ensemble lessons with one instrument per student, and has designed appropriate instructing measures applicable in regular classes. After applying the designed instruction measures based on the textbooks in gayageum, sogeum, danso, and percussion classes, the researcher has studied the efficacy of the classes and the change of awareness amongst students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fterwards, she has proposed to apply the factors of traditional Korean ensemble courses to later educational activities like the following. First, allow the students to choose their preferable instrument and to participate in Korean ensemble sessions, instructing them to build positive feelings and attitudes towards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students were not intrigued by single-instrumental lessons focusing on only the danso and sogeum, and they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ensembles where they could experience various tunes of different types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rather than when they performed alone. Eve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hich originally focused on the sogeum, danso, and the janggu, have prominently and increasingly started to introduce how to play the gayageum. From this, it is evident that the range of instrumental education is being expanded and the utilization of various instruments will help students become interested in performing Korean music. Second, appropriate ensemble pieces that reflect the interests of students should be provided. Instructors can introduce various traditional and compositional scores through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and by relating the ensemble classes with music appreciation classes, can enhance the students’ concentration in theoretical classes. By performing the scores they have learned, or will learn, in appreciation and theoretical classes, their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music will be magnified, thei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music will be broadened, and this will lead back to the enhancement in quality of ensemble classes. Generally, traditional Korean music sheets are less exposed to the people and more difficult to buy in the market compared to Western music shee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gain access to different types of scores by providing them with appropriate and more diverse arrangement sheet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ir textbooks. Third, the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must be diversified. After analyzing 23 type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it appeared that they provided 12 types of Korean music ensemble scores. The scores were mostly organized with ensembles of one or two Korean instruments, or two or three instruments with a Western instrument like the piano or the recorder. There was also an ensemble composition that included all the main traditional Korean orchestral instruments such as the gayageum, geomunggo, haegeum, dogeum, and pipes. The students were more active when they were presented with new compositions and various instruments. By having a diverse composition of ensembles, it also means that the students must be instructed to experience the tunes of various instruments. The students proved to be far more developmental when they were given scores in accordance to their understanding level, and when they were required to perform with their peers. Fourth, the instructions of how to play each instrument must be presented concisely and easily rather than adhering to the traditional methods. This directly influences the insight, know-how and teaching methods of the instructor. The instructor must guide the students to perform with ease and develop themselves step by step by presenting how to play each instrument as simply as possible. Research showed that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professional instructions on how to play the instruments at once. To learn an instrument requires continuous practice and longtime effort, and thus it is difficult to rush the procedure. The teaching method presen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states ‘the classes should not be overly focused on the playing techniques but should encourage the free self expression of the students.’ Like what the curriculum asserts, it is necessary to present to the students who are learning the instruments for the first time with simple tunes and easy ways of playing them, rather than introducing vast instructions. In addition, rather than introducing all the instruments in one semester, it is more efficient to gradually expand the contents with a macroscopic insight through project based classes. Fifth, it is necessary to require the students to set their own goals. When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et assignments and goals such as group recitals, class concerts to build a sense of purpose, they were more efficient in practicing and enjoyed themselves more. This helped them cultivate their sense of cooper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responsibility, which are virtues necessary in class along with their skills of performing Korean instruments. Sixth, instruct various traditional and compositional scores by relating them to appreciation classes. By introducing various traditional and compositional scores through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and by relating them with music appreciation classes, the instructor could enhance the concentration level of the students in theoretical classes. Even the 2015 reformed curriculum emphasizes the familiarization of Korean music, and the vit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accords with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To know our music and to succeed the legacy of our tradition in itself is crucial. Thus, this researcher hopes instructive methods of enhancing interest in Korean music will be developed and Korean music ensemble classes will be invigorated by the increased opportunities of performing diverse traditional Korean ensemble scores for teenage students.;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국악 합주 수업이 효과적임을 증명하고, 수업 실행 과정과 연구자의 수업 구조화 내용을 분석하여 ‘국악 합주의 교과 수업 적용을 위한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합주 관련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여 실행 과정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후 교육 활동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교과서는 2009 음악과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과생활 10종(경기도교육청, 교학사, 금성출판사, 미래엔, 박영사, 아침나라, 음악과생활, 지학사, 천재교육, 현대음악)과 음악과진로 3종(교학사, 음악과생활, 천재교육), 2015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10종(금성출판사, 다락원, 미래엔, 박영사, 비상교육, 아침나라, 와이비엠, 음악과생활, 지학사, 천재교과서)으로 총 23종의 교과서 내용을 참고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악 관현악 합주 활동과 1인 1국악기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마포구 H여고를 선정하여 교과 수업 시간 내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수업 방법을 설계하였다. 교과서 내용을 기반으로 설계된 지도 내용을 가야금, 소금, 단소, 타악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들과의 면대면 인터뷰를 통하여 수업의 효과 및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국악 합주 수업 실행 과정에 영향을 준 요인들은 이후 교육 활동에 다음과 같이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좋아하는 악기를 선택하여 국악합주를 경험하게 하여 국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자세를 갖도록 지도한다. 학생들은 단소, 소금 위주의 단일 악기 교육만으로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으며 혼자 연주하는 것보다 여러 가지 국악기 음색을 경험하며 합주할 때 더욱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교과서 내용 면에서도 소금, 단소, 장구 위주의 구성에서 최근 가야금에 관한 연주방법이 눈에 띠게 늘어난 것처럼 점차 악기 교육의 폭이 확대됨을 알 수 있었으며 다양한 국악기의 활용은 국악 연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반영된 적합한 국악 합주곡을 제시해야 한다. 국악 합주를 통하여 다양한 전통 음악곡 및 창작곡을 소개하고, 감상 수업과 연계하여 국악이론 수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감상과 이론 수업으로 배웠던 곡, 배울 곡을 직접 연주해보는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의 국악 곡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전통 음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으며 이는 다시 합주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전반적으로 국악 악보는 서양 악기 악보에 비해 접하기가 어렵고, 시중에서 구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교과서에 더욱 다양하고 적절한 국악 편곡 악보들을 실어 학생들이 여러 곡을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국악 곡의 합주 편성을 다양화해야 한다.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23종 분석 결과, 국악 합주 악보는 12종류가 실려 있었는데, 한두 가지 국악기가 함께 연주하는 편성에서부터 피아노와 리코더, 드럼과 같이 서양악기와 두 세 악기가 함께 연주하는 편성이 주를 이루었으며 가야금, 거문고, 해금, 대금, 소금, 피리 등 국악 관현악으로 연주되는 주요 악기들이 모두 포함된 편성도 있었는데, 학생들은 새로운 편성, 다양한 악기로 연주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편성이 다양하다는 것은 또한 여러 가지 악기의 음색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함도 포함한다. 수준에 맞는 적절한 악보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친구들과 함께 연주하는 과제를 주었을 때 혼자 연주할 때보다 훨씬 발전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전통 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악기별 연주 방법에 대한 내용을 쉽고, 간결하게 제시한다. 이는 지도교사의 안목, 노하우, 교수 방법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악기별 연주 방법에 대한 교육 내용을 단순하게 제시하며 학생들이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발전해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악기 연주법에 관한 전문적인 내용을 한 번에 많이 받아들이기 어려워한다. 악기를 배우는 일은 꾸준한 연습을 통한 상당 기간의 노력으로 가능한 일이기에 무리하여 진행하기는 어렵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수 학습 방법에도 ‘지나치게 연주 기술 위주의 수업이 되지 않도록 하며 학생들의 자유로운 표현을 장려하라’고 나와 있듯이 악기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에게 많은 내용을 한 번에 제시하기보다는 간단한 선율을 연주할 수 있도록 쉬운 연주방법과 내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 학기에 모든 악기의 교육을 진행하기보다는 프로젝트 수업으로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점차적으로 확대해가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다섯째, 학생들에게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조별 발표회, 학급 음악회 등의 과제와 목표를 설정하여 목적의식을 갖고 연습에 임할 때 더욱 효율적이었고, 즐겁게 참여하였다. 국악기 연주와 함께 협동심, 배려심, 책임감 등 학급 안에서 필요한 덕목을 키워갈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여섯째, 다양한 전통 음악곡과 창작곡 등 감상 수업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국악 합주를 통하여 다양한 전통 음악곡 및 창작곡을 소개하고, 감상 수업과 연계하여 지도하니 국악이론 수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도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하고 있고, 국악 합주의 활성화는 교육과정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우리 음악을 바로 알고, 전통을 이어가는 것은 자체로도 매우 중요한 일이기에 국악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여 앞으로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다양한 국악 합주곡을 연주해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 많은 학교에서 국악 합주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