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중학생의 뮤지컬 활동과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의 관계

Title
중학생의 뮤지컬 활동과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Activities and Their Ability for Self-Expression and Empathy
Authors
강소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뮤지컬 활동과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기도 A시에서 실시한 문화예술사업 중 지정된 음악프로그램 6종목에 참여한 학생들 중, 뮤지컬 활동을 한 중학생과 그 밖의 음악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더 나아가 뮤지컬 활동에 참여한 학생 중 성별에 따른 자기표현능력과 공감능력의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A시에서 실시한 5개년 계획 문화예술사업 중 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한 21개의 중학교 중 12개 학교를 선정하고, 이 중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총 848명의 학생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일반적 특성 2문항, 변창진과 김성회(1980)가 번안 및 수정한 자기표현능력 검사 20문항과, 김성은(1997)이 번안, 수정한 대인관계 반응 척도 28문항으로 총 5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집된 설문지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자기표현능력은 뮤지컬 외의 음악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자기표현능력보다 높으며, 자기표현의 하위 항목인 언어적 요인과 음성적 요인, 비언어적 요인 중 언어적 요인과 비언어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뮤지컬 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공감능력은 뮤지컬 외의 음악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공감능력보다 높으며, 공감능력의 하위 항목인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 중 관점 취하기와 상상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뮤지컬 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기표현에서는 성별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공감능력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공감능력 점수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 A시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프로그램 중 음악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중학생에게 일반화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표집 지역과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장하여 가능한 모든 대상에게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 대상의 사회·경제적 수준 및 학업성취 능력 외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변인에 대한 통제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 외에도 뮤지컬 활동을 통하여 여러 심리적, 정서적 요인에 대한 효과성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요구된다. 이로서 뮤지컬 활동을 통해 정서적으로 불안전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자기표현 및 공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긍정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기대해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Activites and Their Ability for Self-Expression and Empathy. The study selected 6 music programs including musical activity programs from ‘Music and Art Programs’ facilitated by city A in Gyeonggi Province and drew a comparison in self-expression and empathy between two groups - the one in musical activity programs and the others in other music programs. Additional comparison was made to see the difference in self-expression and empath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musical activity program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city A, Gyeonggi Province which operates 5-year ‘Music and Art Programs’. Among 21 middle schools participating in ‘Music and Art Programs’, the study selected 12 schools and focused on the first graders. In total, 848 student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consisting a total of 50 questions - two general questions, 20 self-expression test questions revised and corrected by Byun Chang-jin and Kim Sung-hoi (1980), and 28 questions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revised and corrected by Kim Sung-eun (1997). The survey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musical activity programs showed higher ability of self-expression than those in other music programs.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 verbal, vocal, and nonverbal factor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verbal and nonverbal factor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musical activity programs showed higher empathic ability than those in other music programs.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 perspective taking, fantasy, personal distress, and empathic concern,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perspective taking and fantasy factors. Third, the gender difference demonstra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musical activity programs was insignificant with regards to Self-expression, whereas in empathic ability test female students marked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first graders of 12 middle schools which took part in the music programs in city A, Gyeonggi Provinc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tend the sampling areas and target objects so that the result can be generalized to all. Second, this study did not strictly control the objects’ previous experiences or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outcome of the students in the programs. An adequate control over the variables is required in subsequent studies. Third, the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musical activities in term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and empathic ability. The follow-up studies ne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usical activities in othe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too. Through the research, it is found that mus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bringing positive changes i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xpression and empathy, to adolescents who are emotionally unst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