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음악활동의 유용성과 정서지능 관계

Title
음악활동의 유용성과 정서지능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fulness of Musical Activ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uthors
정수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fulness of musical activ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middle school children. It is argued here that music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young adolescents. This study proposes an insightful direction for music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 in terms of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musical activities in classrooms and to identify its usefulness in order to broaden our perspective of view regard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active role in the class. In this regard, this relatively new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better understood in practical realms an well as on academic spheres. To better grasp a pedagogical meaning of musical activiti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juvenile stage of human development, the author of this thesis has conducted a survey in all the 8th grade students at "K" middle school in Seoul;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99 male students and 95 female students(194 students in total) and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o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ir preferences and frequencies of musical activities, their recognition of its usefulness,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accord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the following facts can be drawn abou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elected middle school participants in Seoul. First, the finding from the survey generally indicates a positive correlation toward the usefulness of musical activities; 3.73 points out of 5, near to 4 points, indicating affirmative. The question that recorded the highest point in the average is "Music activity gives vigor to my life." The next was "Music activity soothes me." Conversely, "Music activity increases my other intelligent capacities" and "Music activity enhances my creativity" were the lowest records, 3.32 points and 3.49 points respectively. Second, it is demonstrated that Emotional field was recorded the highest in its degree of recognition of‘Emotional Intelligence’: 3.86 points; subsequently, ‘Everylife’with 3.81 points,‘Intelligence’with 3.43 points. The latter is the only field close to 3 points, indicating‘normal state’ Thir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ranks 97.41 points out of 135 points in 27 questions(5 points per question). To be specific, the positive asp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shown in their response, recording 3.61 points out of 5 points. In particular,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question was "I know my anger has some limits" in the fourth section, with 4.27 points, followed by "I know well how I feel" with 4.11 points. The two questions that ranked in the last were "I don't know how others feel" in the first section, and "Things don't work out well when I have a conflict with my best friend." in the fifth section, with 2.39 points and 2.46 points respectively. Fourth, in the bird's eye view of this research, the highest rank of all the five Emotional Intelligence was 'Emotional Utility', with 4.01 points. Other fields were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 'Promoting Thoughts' in the second order with 3.78 points, 'Empathy' in the third with 3.61 points, 'Emotional Expression' in the fourth with 3.55 points, and the lowest was 'Emotion Control' with 3.17 points. That 'Emotion Control' was placed in the lowest rank suggests an urgent need for new adaption of music programs which help middle school students learn to control their feelings. Fifth, all the results except the fifth stage of emotional control show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efulness of musical activities and its recognition. It confirms that the more middle school children realize the usefulness of musical activities, the better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is Sixth, the survey points out explicit discrepancies between genders as male students tend to show some degree of consistency in their perceptions of values of musical activities in the classroom, while female students don't. In detail, the response of female middle schoolers to the questionnaire indicate no significant relation in the categories like 'Emotional Utility' and 'Emotion Control'; a meaningful correlation is discovered in 'Promoting Thoughts' and 'Aggregation' in the Intelligence field. The research has proven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the educators who try to improve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realize musical activities do excercis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emotion in everyday life. The students believe that musical activities merely have no direct effect on enhancing their intelligent capacity. Nonetheless, they consider that music gives vigor to one's life and peace of mind in daily lives. Second, the current 8th graders at "K" middle school in Seoul have by large good Emotional Intelligence with 3.61 points out of 5. Furthermore, all four stages including 'Emotional Capacity', 'Promoting Thoughts', 'Empathy' and 'Expression Ability', report in fairly good feat except only Emotional Control in its average level. Third, participants who answer in the affirmative in response to the usefulness of musical activities in everyday life have proven good emotional intelligence, with only exception to the emotion control. In general, a positive correlation is found for female students, al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such as 'Utilizing Emotion'. This still suggests the need of music activities in middle school which can help control their emotion. To sum up, with so few scholarship based on Emotional Intelligence, I hope this research would further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detailed factors such as genres, places and frequencies of music. In so doing, better percept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be established in pedagogy and more effective solutions for students' musical activities would be made in the future.;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음악활동에 대한 유용성 인식과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음악활동의 방향을 제안하고 음악활동이 청소년기 중학생들에게 어떤 긍정적 가치를 제공하는지 알고자 했다. 이에 따라 중학생들의 실생활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의 현황과 이러한 음악활동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정서지능과의 연관성 및 앞으로의 음악활동 방향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음악활동이 나타내는 교육적 의의와 가치를 탐색하고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시 소재의 K중학교 2학년 재학 중인 전체, 남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남학생 99명과 여학생 95명으로 총 194명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학생 기초사항, 현재 음악활동에 대한 선호와 빈도, 음악활동 경험, 음악활동의 유용성 및 정서지능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한 설문지에는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음악활동에 따른 유용성 인식은 긍정적인‘그렇다’에 가까웠다. 이를 총 11개 문항을 설문했으며, 유용성 인식의 최고 긍정도 5점 기준으로 전체평균은 3.73점으로 4점인‘그렇다’에 가깝게 나왔다. 평균이 가장 높게 나온 최상위의 문항은 생활 영역의‘음악활동은 내 삶의 활력과 즐거움을 준다.’이며 4.10점으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왔다. 다음은 정서 영역의‘내 마음을 편안하게 위로를 준다.’로 4.06점이었다. 역순으로 최하위는 지성 영역의‘음악활동은 다른 학습능률을 높여 준다.’로 3.32점과 지성 영역의‘나의 창의력을 개발한다.’로 3.49점이었다. 둘째, 음악활동에 따른 유용성을 생활, 정서, 지성 영역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이 중 유용성 인식의 긍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정서 영역으로 3.86점, 생활 영역으로 3.81점, 마지막으로 지성 영역은 3.43점으로 나타났으며 지성 영역은 전체 영역 중 유일하게 평균이 3점‘보통이다’에 가깝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정서지능은 총 135점(27개항, 각 문항 5점) 기준에서 97.41점이다. 정서지능의 최고 긍정도 5점 기준에 3.61점으로‘자주 그렇다’에 가깝게 나타났다. 평균이 가장 높게 나온 최상위의 문항은 정서 활용(4단계)의‘나는 분노라는 감정에도 정도가 있다는 것을 안다.’는 4.27점으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다음은 정서 인식 및 표현(1단계)의‘나는 나의 감정 상태를 잘 알고 있는 편이다.’로 4.11점이었다. 역순으로 최하위는 정서 인식 및 표현(1단계)의‘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기분을 잘 모르는 편이다.’로 2.39점이었다. 다음은 정서 조절(5단계)의‘나는 친한 친구라도 다투면 화가 풀리지 않는다.’로 2.46점이었다. 넷째, 정서지능의 5단계 중 가장 높게 나온 단계는‘정서 활용’으로 4.01점, 두 번째는‘사고 촉진’으로 3.78점, 세 번째는‘감정 이입’으로 3.61점, 네 번째는‘정서 인식 및 표현 능력’으로 3.55점, 제일 낮은 단계는‘정서 조절’로 3.17점이었다. 따라서‘정서 조절’은 유일하게 평균인 3점‘가끔 그렇다’에 가깝게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활동의 유용성 인식(생활, 정서, 지성 영역)에 따른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있어서 5단계‘정서 조절’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에 음악활동의 유용성 인식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의 최상위인 5단계‘정서 조절’을 제외한 정서지능의 모든 단계에서 비례관계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녀학생의 성별 특징에서 남학생의 유용성의 인식에 따른 정서지능은 전체 학생의 결과와 동일하게 일관된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여학생은 전체 학생이나 남학생들과 같이 명확하게 일관되지 않았다. 여학생이 남학생의 유용성 인식 결과와 다른 영역은 유용성의 생활 영역의‘삶의 활력과 즐거움’,‘ 다양한 경험과 활동’,‘ 평소 생활에 도움’과 정서 영역의‘나의 정서를 순화한다.’, 지성 영역의‘나의 창의력을 개발한다.’의 설문 항목에서 여학생은‘정서 활용’과 ‘정서 조절’에서는 관계없음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성 영역에 있어서 나머지 항목이‘사고 촉진’과‘합산’에서만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보여준다. 첫째, 중학생들은 음악활동이 자신들의 정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일상생활에도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지적 능력 즉 창의력 개발이나 음악 외에 다른 학습 능률에 도움을 주고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는 보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음악활동이 삶에 활력과 즐거움을 주고 마음의 평안과 위로를 주며 평소 생활에 도움을 준다는 점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현재 서울시 K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정서지능은 대체로 좋은 수준(5점 만점기준으로 3.61점)으로 정서 활용 능력, 사고 촉진, 감정 이입, 정서 인식 및 표현 능력까지는 총 5단계 중 대부분인 4단계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서 조절만 유일하게 보통 수준이었다. 셋째, 음악활동이 정서와 생활에서 유용하다고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 연구 대상의 학생들은 정서지능도 정서 조절 능력을 제외하고 좋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은 정서 조절 외에도 일부 항목에서는 정서 활용이 제외되고 지성 영역의 유용성에서는 사고 촉진과 합산만이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그 외 영역은 전체 대상과 같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음악활동의 구체적인 실행방안 즉 음악활동의 종류, 장소, 빈도 등과 정서지능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생들의 음악활동에 효율적인 방향과 교수방안이 심층 연구되고 효과적으로 수립되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