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영찬-
dc.contributor.author김은주-
dc.creator김은주-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42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4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1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15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069-
dc.description.abstractWe could easily identify three types of student when we examine the Korean history class; a student who is already interested in the history therefore enthusiast about the lecture, or a student who listens to the lecture carefully but doesn’t really understand what lecturer is talking about, and a student who doesn’t even care about the class at all. These phenomenon occur due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where students only focusing on memorizing only the “important materials” (potential exam questions) without actual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Students only care about what will be on exam. Since history lecturers have to teach long and broad Korean history in a short period; it is true that most history classes are either solely depended on the lecture or using cramming method of teaching. Therefore, students often time find no interest from history class. Also students consider Korean history subject itself as boring, but have to memorize because it is required subject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is research examined how educational board game could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help them to understand the history bett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board game consisting of King Jeongjo and Suwon Hwaseong Fortress and used it as class material for the 1 st and 2 nd grade students at Y Middle School in Gyeonggido. We divided students into two groups. Both groups had the same lecture, but only one group played the board game after the lecture. We found out that those students who played the board game after the lecture reacted positively compare to those who didn’t played the board game. All those three types of students received the class positively from playing board game related to the lecture. Also we could see that students who usually don’t actively involved in class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during the course of the game.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at educational board game could be the new way of teaching and it could bring positive effect on current Korean history class.;중학교 역사 수업 현장을 보면 3가지 분류의 학생들을 발견할 수 있다. 역사에 높은 관심이 있어 역사를 아주 흥미 있어 하는 학생, 선생님의 수업에 경청은 하지만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학생, 아예 관심조차 없고 교실에 있으나 수업을 하고 있지 않은 학생이다. 이런 현상들은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기도 전에 단편적으로 중요 부분만 외우기 바쁜 교육에서 비롯된다. 학생들은 단편적인 암기식으로만 역사 수업을 받아들인다. 워낙 방대한 한국사를 짧은 시간에 수업해야 하므로 주입식, 강의식 수업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주입식, 강의식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를 배제시킨다. 단지 역사 수업은 수능 필수 과목이므로 아무런 이해가 없더라도 시험을 위해 외워 점수를 올리는 과목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학습용 보드게임을 활용한 역사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수업 이해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과서 조선사회의 변동 단원 중 정조와 수원화성에 관한 내용으로 보드게임을 구성하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경기도 Y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드게임을 진행한 후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과 강의식 수업을 받은 후 보드게임을 진행한 학생들을 비교해 보고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수업 진행을 통해 기존의 강의식 수업보다 보드게임을 수업의 한 과정 속에 구성했을 때 역사 수업에 관심이 없던 학생도, 역사 수업을 어려워했던 학생도, 역사 수업을 좋아했던 학생도 모두 흥미롭게 수업을 받아들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드게임을 통해 수업에 적극적이지 못하거나, 능동적 참여를 불편해 했던 학생들도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역사 수업에서 학습용 보드게임을 활용한 수업이 긍정정인 효과를 주는 새로운 교수ㆍ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연구를 위한 기본 검토 3 A. 보드게임을 활용한 수업의 효율성 3 B. 수원화성에 대한 연구 6 C. 2009년 개정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분석 9 Ⅲ.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내용 분석 12 A. 정조의 시대 14 B. 정조와 수원화성 16 Ⅳ. 수업기획 및 설계 18 A. 사전 학습자 실태 분석 18 B. 수업 구성 24 C. 수업효과 30 Ⅴ. 결론 및 논의 43 참고문헌 46 부록 48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97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보드게임을 활용한 <정조와 수원화성> 수업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a studying <Jungjo and Suwon Hwaseong> by using board game as a method-
dc.creator.othernamekim, eun ju-
dc.format.pagev, 61 p.-
dc.contributor.examiner오영찬-
dc.contributor.examiner차미희-
dc.contributor.examiner김웅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