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8 Download: 0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 사례분석

Title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 사례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the vulnerable youths
Authors
윤현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공공 외의 부문에서 실시되고 있는 시민교육프로그램의 성과와 한계, 잠재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오늘날 사회 내 소외계층이 직면하게 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불리함은 교육의 양극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동등한 자격과 권리를 갖춘 민주시민으로서 존립하는 사회 공동체를 이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시민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각종 복지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복지 지원 정책은 시혜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오늘날 사회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보다는 사후 처리하는 데에 급급한 방향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일선 학교현장 및 청소년교육시설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민교육의 경우 프로그램이 단발성의 문화체험 및 방과 후 학습에 국한되는 등, 실천적 태도 및 비판적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데엔 부족하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처해 있는 특수한 상황과 그들의 교육적 욕구에 부합하면서 심리사회적 발달(실천적 태도 및 비판적 사고능력)을 돕는 대안적 성격의 시민교육프로그램의 실례(實例)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간 여러 선행연구에서 취약계층 청소년의 범주를 상이하게 규정해 온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개념적 정의와 범주를 사회문화자본이 취약한 환경에서 성장하였으며 그 결과 생애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현대 민주시민교육이 공동체적 가치의 보존과 자아실현의 성취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와 학습 몰입을 독려하는 다양한 행위 중심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각 시민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은 어떠한 사회경제적 배경과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각 프로그램의 시민교육으로서의 가치는 무엇인가? 셋째,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의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상기의 연구문제에 의거하여 연구자는 청소년교육 특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비영리 기관 및 기타 비영리기관에서 개발하였거나 실시 중인 시민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서 분석과 심층 면담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민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유형으로는 북한이탈청소년, 지역아동센터 소속의 빈곤 청소년, 학교 밖 청소년, 특성화고에 재학 중인 빈곤 청소년이 있었다. 이들이 처해 있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취약성은 기존의 제도권 교육의 범주 내에서 해소되기 어려운 사안으로 분석되며, 보다 다양한 교육 주체의 개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및 소외감을 해소하고 생애 설계에 있어 주체적인 의사결정능력을 독려할 수 있는 방향의 시민교육프로그램이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3가지 시민교육프로그램은 가능한 한 형식교육의 폐해를 극복, 보완하려는 취지에 따라 비형식적, 무형식적 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참여자 모두에게 골고루 발언 기회가 돌아갈 수 있는 소그룹 형태의 토론식 수업, 흡인력과 실제성을 겸비한 학습의 주제(주제 선정의 자율성), 하나의 문제(쟁점)를 두고 다양한 해답과 발상이 유도되는 사유의 방식을 통해 이들 사례는 존재와 가치의 다양성을 수용, 존중하는 열린 교육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 다만 단일의 교육 주체가 시민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우려되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상호작용 및 자기성찰이 앞으로 더욱 촉진될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이 발전하기 위한 과제로는 프로그램의 사회적 검증을 위한 정보 개방과 자원 운용 방식의 개선을 들 수 있다. 현재 민간 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부 시민교육프로그램 중에는 정치사회적 이해관계가 다른 집단으로부터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의 가치 다양성과 시민교육으로서의 공익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폐쇄적인 형태의 교육 진행 방식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양질의 시민교육프로그램이 대도시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바, 농어촌, 도서지방 등과의 지역 간 격차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모전 사업을 통한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보급하는 등의 방안을 강구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시민교육프로그램의 세 가지 사례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생활능력과 자기이해능력,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을 증진시킬 방법에 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이 다양한 학습 동기와 참여 의지를 북돋우는 방향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민간 부문 시민교육의 관계자들이 인간의 전인적 성장에 관한 교육학적 견지와 실천 능력을 지속적으로 함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민교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미성숙한 ‘교육대상’이 아닌 동등한 자격을 지닌 ‘동반자’로서 수용되는 공참여(co-operation)의 학습 풍토가 정착할 때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공공 외의 부문에서 실시되고 있는 시민교육프로그램의 성과와 한계, 잠재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오늘날 사회 내 소외계층이 직면하게 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불리함은 교육의 양극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동등한 자격과 권리를 갖춘 민주시민으로서 존립하는 사회 공동체를 이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시민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각종 복지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복지 지원 정책은 시혜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오늘날 사회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보다는 사후 처리하는 데에 급급한 방향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일선 학교현장 및 청소년교육시설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민교육의 경우 프로그램이 단발성의 문화체험 및 방과 후 학습에 국한되는 등, 실천적 태도 및 비판적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데엔 부족하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처해 있는 특수한 상황과 그들의 교육적 욕구에 부합하면서 심리사회적 발달(실천적 태도 및 비판적 사고능력)을 돕는 대안적 성격의 시민교육프로그램의 실례(實例)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간 여러 선행연구에서 취약계층 청소년의 범주를 상이하게 규정해 온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개념적 정의와 범주를 사회문화자본이 취약한 환경에서 성장하였으며 그 결과 생애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현대 민주시민교육이 공동체적 가치의 보존과 자아실현의 성취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와 학습 몰입을 독려하는 다양한 행위 중심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각 시민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은 어떠한 사회경제적 배경과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각 프로그램의 시민교육으로서의 가치는 무엇인가? 셋째,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의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상기의 연구문제에 의거하여 연구자는 청소년교육 특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비영리 기관 및 기타 비영리기관에서 개발하였거나 실시 중인 시민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서 분석과 심층 면담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민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유형으로는 북한이탈청소년, 지역아동센터 소속의 빈곤 청소년, 학교 밖 청소년, 특성화고에 재학 중인 빈곤 청소년이 있었다. 이들이 처해 있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취약성은 기존의 제도권 교육의 범주 내에서 해소되기 어려운 사안으로 분석되며, 보다 다양한 교육 주체의 개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및 소외감을 해소하고 생애 설계에 있어 주체적인 의사결정능력을 독려할 수 있는 방향의 시민교육프로그램이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3가지 시민교육프로그램은 가능한 한 형식교육의 폐해를 극복, 보완하려는 취지에 따라 비형식적, 무형식적 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참여자 모두에게 골고루 발언 기회가 돌아갈 수 있는 소그룹 형태의 토론식 수업, 흡인력과 실제성을 겸비한 학습의 주제(주제 선정의 자율성), 하나의 문제(쟁점)를 두고 다양한 해답과 발상이 유도되는 사유의 방식을 통해 이들 사례는 존재와 가치의 다양성을 수용, 존중하는 열린 교육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 다만 단일의 교육 주체가 시민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우려되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상호작용 및 자기성찰이 앞으로 더욱 촉진될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이 발전하기 위한 과제로는 프로그램의 사회적 검증을 위한 정보 개방과 자원 운용 방식의 개선을 들 수 있다. 현재 민간 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부 시민교육프로그램 중에는 정치사회적 이해관계가 다른 집단으로부터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의 가치 다양성과 시민교육으로서의 공익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폐쇄적인 형태의 교육 진행 방식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양질의 시민교육프로그램이 대도시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바, 농어촌, 도서지방 등과의 지역 간 격차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모전 사업을 통한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보급하는 등의 방안을 강구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시민교육프로그램의 세 가지 사례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생활능력과 자기이해능력,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을 증진시킬 방법에 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시민교육프로그램이 다양한 학습 동기와 참여 의지를 북돋우는 방향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민간 부문 시민교육의 관계자들이 인간의 전인적 성장에 관한 교육학적 견지와 실천 능력을 지속적으로 함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민교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미성숙한 ‘교육대상’이 아닌 동등한 자격을 지닌 ‘동반자’로서 수용되는 공참여(co-operation)의 학습 풍토가 정착할 때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potentials of civic education programs in non-public se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vulnerable youths in Korea.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disadvantages faced by the underprivileged in society today are recognized as the main cause of social inequality as well as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a social community in which all members of the society have equal qualifications and rights as democratic citizens, government takes various measures such as civic education programs. However, most of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olicies are favorable and reveal an urgent direction for post-processing rather than preventing problems that are emerging as social issues today. In addition, the civic education in the field and the youth education facilities faced with the criticism that the program is limited to cultivating practical attitude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such as being limited to one-time cultural experience and after-school learning. So,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 example of an alternative civic education program that fosters psycho-social development – practical attitude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circumstance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vulnerable youths.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category of the vulnerable youths were summarized as youths who have grow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ocio-cultural capital is weak and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the life plan as a result.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preserving community values ​​and achieving self-realization, modern democratic civic education maintains a view that a variety of behavior-based learning that encourage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learning commitment of learners is needed. Based on this awareness, the researchers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educational needs do the youths of vulnerable groups participate in each civic education program? Second, what is the value of each program for the vulnerable youth as a civic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challenges for future development of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vulnerable youth? Based on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researchers conducted qualitative case studies on the civic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or implemented by nonprofit and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with youth education specializ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analyzing documents and with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youths in vulnerable classes who participated in the civic education programs were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poverty youth belonging to th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e youth outside the school, and the poverty youths attending the specialization center.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vulnerability of these groups is analyzed 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be solved within the scope of existing institutional education. Civic education programs that address the social exclusion and feeling of alienation experienced by vulnerable youth and encourage subjective decision-making in life design need to be further activated in the future. Second, the three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the vulnerable youths were characterized by in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formal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It is a small-group type discussion class where all participants can get a chance to talk, a topic of learning that combines attractiveness and practicality (autonomy of topic selection), a reason to induce various solutions and ideas with one problem (issue) Through these methods, these cases have significance as an open education that accepts and respects the diversity of existence and value. Howeve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a single educational institution implementing the civic education progra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self-reflection need to be further promoted in the future. Third, the future issues to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vulnerable youths are information opening for social verification of programs and improvement of resource management methods. Some civic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in the private sector do not disclose information about educational programs to political and social interests in order to avoid criticism from other groups. In order to maintain value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and public interest as citizen education, the closed education style should be improved. And in order to resolve regional dispariti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high quality civic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metropolitan cities,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nd disseminate best practices to rural areas and island regions through competition projects. The three examples of civic edu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how to improve the life skills, self-understanding ability, and social interaction ability of vulnerable youth. In order for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vulnerable youths to be organized in a way that encourages diverse learning motivation and commitment, continuously cultivating pedagogical perspectives and practical ability about human holistic growth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climate of co-operation which accepts vulnerable youths as companions with equal qualifications rather than immature educational targets, it is expected that learner-centered learning will be settled down as a re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