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Title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o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in South Korea : A Meta-Analysis
Authors
윤새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태섭
Abstract
학교폭력은 학교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온 현상으로, 국내에서는 1990년 중반이후부터 학교폭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했다. 이러한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으로 인한 학생들의 자살사망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였고,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2012년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대책발표 이후 교육부의 학교폭력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피해응답률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교폭력 피해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학교폭력으로 인한 심각한 피해가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학교폭력이 우리 교육 현장에서 사라졌다고 보기 어렵다. 정부의 2012년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발표 이후, 국내에서는 학교폭력과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연구 또한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교폭력은 우리 사회와 교육현장의 큰 문제이기 때문에 기존에 시행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관한 효과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종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메타분석을 분석방법으로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효과 분석에 있어서 종속변인을 분류하는 기준은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대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살펴보는 이론적 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EL이라는 이론적 틀을 가지고 효과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학교폭력의 원인 중 특히 개인적인 요인은 사회정서학습 역량과 관련이 있다. 대표적인 개인적인 요인에는 자아존중감,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공감, 사회성, 사회적 기술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개인적인 요인은 SEL 핵심 역량인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적 기술에 속한다. 개인적인 요인을 연구한 논문들의 결과를 보면,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은 낮은 SEL 역량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는 SEL 역량을 개선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면 학교폭력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효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연구 중 SEL 역량을 종속변인으로 측정한 실험연구인 국내 학술지 25편, 학위논문 26편 총 51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 연구들로부터 165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효과크기와 하위집단 분석에서 SEL 역량 및 학교급, 예방유형, 처치단위, 프로그램 유형, 진행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했으며, 추후집단 측정에 관한 효과크기 또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참가자의 전체 SEL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 효과크기 0.598로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EL 역량별 하위집단 분석결과 개인 내 역량인 자기인식(ES=0.851), 자기관리(ES=0.617)에 효과가 크고, 대인역량인 사회적 인식(ES=0.432), 관계적 기술(ES=0.411)에서는 다소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는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SEL 역량 중 대인역량 향상에 크게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 예방(ES=0.486)보다 선택적 예방(ES=0.898)에서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학교폭력 메타분석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시 한 번 검증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처치단위에 따른 분석결과 집단(ES=0.793)이 학급(ES=0.473)보다 더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학급단위로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이 결과로 보았을 때, 학급단위보다 집단단위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분석결과 명시적 프로그램(ES=0.577)과 암묵적 프로그램(ES=0.504)의 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이라고 명시한 경우와 프로그램 목적 및 내용에 학교폭력 예방을 포함한 경우 간 효과에서의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추후 측정에 대한 메타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사전-추후(ES=0.741)’측정시기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즉, 이는 참가집단의 SEL 역량에 미치는 프로그램 효과가 사전과 추후를 비교했을 때 가장 컸다는 것을 의미하며, 프로그램의 효과가 추후까지도 유지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교폭력과 SEL 사이의 관계를 학교폭력의 개인적 요인과 SEL 역량의 연관성을 통하여 밝혔다는 점에 있어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둘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는 과정에서 선행연구 리뷰뿐만 아니라 전문가 평정으로 타당성을 확보하고, 메타분석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다는 점에 있어서도 의의를 지닌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SEL 역량별 하위집단 분석을 통하여, 지금까지의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참가학생의 개인 내 역량인 자기인식과 자기관리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대인역량인 사회적 인식과 관계적 기술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효과를 주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후속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서 학생의 개인 내 역량만이 아니라 대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 및 시행된다면, 국내 학교폭력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연구대상 특징 중 예방유형과 처치단위에 따른 분석결과, 보편적 예방보다는 선택적 예방이, 학급을 처치단위로 본 연구보다는 집단을 처치단위로 본 연구가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추후 연구자가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방향을 제시해주는 기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관한 추후 측정 분석을 통하여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장기적 효과를 측정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SEL 역량과 학교폭력 예방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어서는 의의가 있지만, 다른 종속변인을 제외한 SEL 역량만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추후 분석 연구에서는 하위집단 분석에서 SEL 역량뿐 아니라 가해행동, 피해행동,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등 여러 종속변인을 살펴보고, 그 중 어떤 부분에 가장 효과가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유형화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기존의 예방 프로그램들을 재구성한 연구이므로 유형을 분류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이는 추후 연구에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분류 기준을 제시한다면,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혹은 연구의 질을 살펴보는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School violence and bullying has been a phenomenon that has persisted in the school. in Korea, social interest and attention to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has increased since the mid 1990s. Despite this increase in interest, problems related to school violence have continued to arise. Thus, the Korean Government had announced Comprehensive Measures for the Eradication of School Violence since 2012. After this comprehensive measur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urveys the victimization response rate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However, even if the response rate has been decreasing, there are still serious damages related to bullying. Furthermore, after the 2012 comprehensive measures studies and researches on school violence bullying and anti-bullying programs have been surg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in Korea, the synthesizing study is needed for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prevention program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mong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particularly, personal factors are related to SEL competencies. Key factors of the personal factors are self-esteem, aggression, impulsivity, self-regulation, stress, empathy, sociality, and social skills. These key personal factors belong to SEL core competencies which are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al skills. Victims and bullies are associated to low SEL competencies. Thus, if programs improve or enhance students SEL competencies, it will have a preventive effect to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A total of 51 publications including journal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was included in this study, and 165 effect sizes from the 51 individual studies were analyzed. The total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SEL competencies, and in the subgroup analysis, each of SEL competencies, school level, type of prevention, intervention level, type of program and type of conductor were analyzed. Also, follow-up effects were analyzed. There are fiv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current meta-analysi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in korea is 0.598. It is quite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1988).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ub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awareness(ES=0.851) and self-management(ES=0.617) which belongs to 'Intrapersonal competence' have a larger effect than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is composed of social awareness(ES=0.432) and relationship skills(ES=0.411). This means that the prevention programs is not very effective in enhanc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the SEL competencies. Second, selective prevention(ES=0.793) had a stronger effect than universal prevention(ES=0.473).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evention meta-analysis. Third, according to intervention levels, the group(ES=0.793) has a larger effect size than the class(ES=0.473).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lass intervention programs. Fourth, the effects of explicit program(ES = 0.577) and implicit program(ES = 0.504) were similar. This mean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by the type of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evention program. Final set of findings is that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follow-up effects, and according to subgroup analysis, the pre - after post (ES=0.741)is the largest effect size in the periods. This implies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s on the SEL competencies of the treatment group is maintained even after follow-up period. This means that there are follow-up effects of the prevention programs.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and SEL through the connectedness of the individual factors of school violence with SEL competencies. In addition, in this process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violence and SEL competencies, literature reviews, the expert rating scale and meta-analysis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Second, according to SEL competencies subgroup analysis, the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ograms in korea so far had a great influence on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which is intrapersonal competency. However, the programs had relatively small effect on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skills which is interpersonal competency. This suggests that if a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y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interpersonal competency, it could help prevent school violence. Third, programs that used selective prevention and group-focused program had stronger effects in enhancing students' SEL competencies. This finding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studies of prevention programs. Finally, this study measured the long-term effec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in Korea through a follow-up effects analysis. Three limitations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 competencies and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but there is a limit in that only SEL competencies is examined except for other dependent variables. For the future study, not only SEL competencies but also attitude to school violence, victim behaviors, and bully behaviors could be included in the subgroup analysis to see which of the dependent variable is most effective. Second, another limitations is classifying the type of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ograms. In the future research, meta-analysis studies will be needed to discuss and classify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programs in Korea.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individual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