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소규모 사교육을 하는 중등학교 학부모의 교육관 사례 연구

Title
소규모 사교육을 하는 중등학교 학부모의 교육관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Middle- and Highschool Parents' View of Education : Focused on the Small Scale Private Education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경원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middle- and highschool parents' view of education, especially on their small scale private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rents perceive on their children's study and analyzes each example of their practices. Not to generalize the motives of parents who consume privat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ivate education as a social phenomenon in macro scale and the parents', active participants in the phenomenon, view on education focusing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case study and for this, qualitative interviews are carried out to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who have had experiences of small scale private education in region of K in Seoul. Through the interviews, the study investigates to what extent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respectively can realize the parents' value on their children education. First, the interview reveals that the parents' ultimate education views are on their children's happy lives, self-realization, cultivation of personality, social success, and in a few case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absent. Despite the individual differences, however, most of the parents give priority to their children's college entrance in their educational goal and their practices follow the tendency. The primary goal of their children education tends to be established on the parents' own social experiences. Thus, the students primarily participate in the grade competition in order to achieve "Hakbul" along with their parents wish and private education is needed to fulfill this goal. This shows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ir ideal and the actual practice in education. In this inconsistency, students aiming college entrance are suffering from anxiety for excessive study and competition. To resolve this problem their children are facing with, the parents try to take more educational help from private institutes, or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mediation treatment from medical professionals. However, this makes the competition and anxiety of the students worse as public schools, parents, and private institutes all are focusing on grad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nd their college entrance only. Second, regardless of their satisfaction with public education, most of the parents are likely to receive help from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First, the parents who are satisfied with neither aspect of the study nor essence of education, hope the private education to fulfill both of them. In another case, parents expect the private institutes to satisfy their need to improve their children's grades for college entrance even though they are content with the essential aspect of school education. Third, with these motives, parents require a customized education suited to each student, multifaceted education service for a stud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from private education. In the first interview, the parents without any ultimate view on education, have special requests from the instructors in private institute a customized education to their children, and supervision on their children's study process and so do the parents with the ultimate educational goal.;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사교육을 하는 중등학교 학부모들의 교육관이 어떠한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사교육에 대한 접근은 여러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연구는 사교육을 하는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관은 무엇인지, 궁극적인 교육 목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자녀의 학교교육이 그들의 가치관을 충족하는지, 소규모 사교육은 학부모들의 어떤 요구를 수용하는지를 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서울시 K 지역 내 소규모 사교육의 경험이 있는 중등학교 학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학부모들의 궁극적인 교육관은 자녀의 자기실현, 행복한 삶, 자존감 있는 삶, 인성 함양으로 인한 전인 발달, 그리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삶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에 따라서 당장의 대학입시에 매몰되어 쉽게 교육적 목표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학부모들은 교육의 목표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자신의 궁극적인 교육관을 제한시키고 우선 대학 입시라는 일차적 목표에 총력을 기울이려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교육관과 실행이 일치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자녀 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대부분 학부모 자신의 사회적 경험에 비추어 설정된 경향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일차적으로 부모로부터 설정된 학벌 획득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성적 경쟁에 참여하게 되고, 더 높은 입시 성적을 획득하고자 사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학부모들이 깊은 성찰 없이 교육 목표가 대학입시라는 통로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것으로 믿기 때문에 과도한 입시 경쟁이라는 병목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획일적이고 외재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도한 학습 경쟁과 그에 따른 불안감을 겪게 되는 등의 어려움을 가진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더 많은 사교육을 함으로써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거나, 불안감 완화를 위해 자녀의 심리 상담 및 약물치료를 하는 등으로 해결하려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자녀교육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는 궁극적인 교육관과 전혀 무관한 방법에 매몰되어 오히려 자녀의 전인적 발달을 저해하게 된다. 둘째, 소규모 사교육을 하는 학부모들은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 여부에 상관없이 사교육의 동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에 만족하고 있는 경우, 학부모들은 특수 목적에 맞추어 진행되는 교육과정, 학생들의 특성화된 입시에 맞추어 설계된 학교의 평가제도, 그리고 학생 중심의 학교 운영을 만족하는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반면 대부분의 경우 일반 중, 고등학교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는 학교교육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에 만족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요인으로는 학습자 개별적 학습 관리가 부재하고 학습 및 심리 지도가 미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래 관계 지도 및 인성 함양 지도가 부족하고 지나친 행정 위주의 학교 운영 그리고 학교교육이 본질적 역할을 잘 실행하지 못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들은 교육관을 실천하는 데 있어서 학교교육에서 충족되지 못한 요인을 전반적으로 소규모 사교육에서 대신 감당해주기를 기대하며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학부모들은 입시나 성적과 같은 학습적인 측면뿐 아니라, 유대감과 자존감 등 교육 본질적인 면에서도 소규모 사교육에서 해결하려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공교육에서 본질적 그리고 학습적 영역에서 만족하지 못한 교육 수요자의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사교육은 학부모의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기대를 반영하여 그들의 만족감을 높이려고 하는 양상을 보인다. 학부모들은 다양한 교육관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재로서는 대학입시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소규모 사교육에 여러 가지 기대와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교육은 본질적으로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가치를 발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