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소셜미디어 팬덤에서의 사회관계 연구

Title
소셜미디어 팬덤에서의 사회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 Relationship of Fandom in Social Media : Focusing on fans using Weibo
Authors
ZHU, TAOJIE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동숙
Abstract
본 연구는 SNS에서 팬덤의 사회관계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여 SNS에서 팬덤의 사회관계에 관한 연구가 사이트 기반의 온라인 팬덤의 사회관계에 관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이트 기반의 플랫폼 TIE BA 및 SNS 플랫폼 Weibo를 선택하여, 디지털 민속지학 방법을 통해 팬들이 각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는 형태와 해당 팬 실천 활동에 대해 참여관찰을 진행하는 동시에 팬들에게 인터뷰를 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어서 수집한 자료를 근거이론에 의해 해석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팬과 팬, 팬과 기획사(기업), 팬과 스타, 그리고 팬과 기타 주체(主體) 사이의 관계 등 측면에서 팬덤 사회관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결과를 보면 우선, 팬과 팬 간의 관계는 보다 평등성이 강화되는 동시에 ‘영향력자’와 ‘일반수용자’의 새로운 권력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팬들 사이에는 자본주의적인 매매관계도 형성하고 느슨한 유대관계가 강한 유대관계로 발전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그다음, 팬과 대중문화 텍스트 생산자의 역할을 행하는 기획사(기업) 간에 점차 협력적인 관계가 나타났다고 볼 수가 있다. 팬과 스타 본인 간에는 ‘팔로우-팔로잉’의 관계를 통해 상호작용을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종의 환상적인 관계로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SNS에서 팬덤 구성원들이 같은 대상을 좋아하는 팬들과의 연결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주체(主體)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으므로 팬덤의 사회관계가 확장되는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팬들이 SNS에서 사회관계를 맺고 유지해 나가는 과정에서 팬덤의 개인화를 일으킨다는 추세가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이는 팬덤이 집단 및 공동체 중심의 네트워크에서 팬 개개인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형태로 변화하는 현상의 결과이다. 팬덤에 대해서는, 이러한 개인화 추세는 팬 개개인의 의견과 취향이 존중되는 긍정성도 갖지만 팬덤으로서 갖고 있는 결속력이 약화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본 연구는 팬덤의 이러한 변화들에 깊은 논의를 이루지 못하는 다소 미흡한 연구이지만 SNS를 팬덤문화의 연구 소재로 삼아 팬덤 연구의 영역을 넓혔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relationships of fandom in SNS. The study of the social relation of fandom in SNS can be done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social relation of the online fandom in the site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site - based platform TIE BA and SNS platforms Weibo, and participated in observing the fans' use of each media platform and their fan activities through digital ethnography metho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grounded theory and analyzed the changes of fan social relation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ns and fans, fans and organizers (companies), fans and stars, and fans and other subjects. As a result, the relation between fan and fan was strengthened more equally and new power form of 'influencer' and 'general audience' emerged.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among fans to develop a capitalist trading relationship and a loose tie - up relationship. Next, it can be seen that there has been a grad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 and the agency that plays the role of producer of the mass culture text (enterprise). Fans and stars may be able to interact through 'follow-following' relationships, but they seem to have some sort of fantastic relationship.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network relation of fandom is prominently displayed because the fandom members can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various subjects without limiting themselves to the fans who like the same object in the SNS.This study suggests that fans tend to personalize fandom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 in SNS. This is the result of the phenomenon that the fandom is changed into the network type focusing on individual fans in the collective and community-oriented network.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tendency of personalization of the fandom may be affirmative that individual opinions and tastes of the fan are respected, but the bond that fandom has may be weakened. Although this study is a somewhat lacking study that does not discuss deeply the changes of fandom, it can be meaningful that SNS has expanded the scope of fandom research by using it as a research subject of fandom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