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9 Download: 0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부적응 행동 변화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부적응 행동 변화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Chang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uthors
서민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들은 그들의 낮은 지적 특성으로 인해 여러 환경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보이며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들의 부적응 행동은 아동기에 이루어야 할 중요한 발달과업을 방해하며 향후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문제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을 지니므로 이들을 위한 개입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개인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부적응에 미술치료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만 10세의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으로, 학교를 중심으로 생활 전반에 있어 부적응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과정은 2017년 8월 7일부터 2017년 10월 30일까지 주 2회 50분씩 아동의 부적응 행동의 감소를 목표로 총 22회기에 걸쳐 초기 단계, 중기 단계, 후기 단계의 3단계로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초기 단계(1회기 ~ 7회기)에서는 아동의 긴장을 완화하여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내재된 욕구와 감정을 점진적으로 탐색하고 표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중기 (8회기 ~ 16회기)는 초기에 형성된 안정적 정서를 바탕으로 내재된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며 자신의 주의집중과 공격적 행동, 사회적 미성숙한 행동을 조절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후기 단계(17회기 ~ 22회기)는 자신의 부적응 행동 조절의 유지와 내적 자원을 강화하며 종결을 준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아동ᆞ·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교사용(TRF: Teacher Report Form)을 실시하여 공격행동과 주의집중문제, 사회적 미성숙 소척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투사 그림검사로 집-나무-사람 검사(HTP: House-Tree-Person)와 학교생활화(KSD:Kenetic School Drawing )를 사용하여 미술치료 실시 전후의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미술치료과정에서 부적응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며 초기, 중기, 후기 세 단계로 나누어 매 회기 작품결과와 언어 및 행동의 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미술치료는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아동은 학업과 또래관계의 부정적 정서를 언어와 신체로 드러내는 것이 감소하고 무기력하고 위축된 모습에서 적극적으로 임하는 변화가 있었다. 아동은 연구자의 공감적 태도와 안정적인 미술치료 환경에서 정서의 이완을 촉구하는 매체로 활동하며 불안함을 낮추고 자유롭게 내면의 욕구와 감정을 표출하며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안정감을 느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후 아동은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감정 표현이 증가하며 안정감을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는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와 주의집중문제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매체 사용에 규칙을 준수하며 작품에 온전히 집중하고 욕구좌절 시에도 적응적 의사표현이 증가하며 분노와 공격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학교 생활로 확장하여 학급에서 주의집중과 공격적 행동을 조절하며 긍정적 소통과 교류의 가능성이 향상되어 또래관계가 개선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매체를 다루며 자신의 공격적이고 산만한 에너지를 창조적 에너지로 치환하고 아동의 행동을 연구자가 질문 및 요약, 명료화, 반영, 지지하는 개입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아동은 연구자와 적응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또래와의 관계에서 즐거움의 경험이 증가되었다. 셋째, 미술치료는 유아적이고 미성숙한 행동을 감소하며 아동의 성숙한 자기표현과 자아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아동은 부적응 행동이 감소되고 미성숙한 정서적 욕구로 퇴행하는 것이 개선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연구자의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태도와 미술 활동과 작품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며 자신의 내적 자원을 강화하며 주체적인 관계맺음이 가능해졌다. 아동은 긍정적이고 성숙된 자기표현과 자아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개인미술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Many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may have difficulty in adapting themselves to lots of environments and show maladjustment behavior due to poor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Since their maladjustment behavior is likely to interfere with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in childhood and even develop into problems in adolescence and adulthood, it is essential to make an intervention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ingle case study on personal art therapy for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showed maladjustment behavior wa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the child’s maladjus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10-year-old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showed maladjustment behavior across the routines, especially at school. Art therapy was given in a total of 22 sessions―two sessions weekly, 50 minutes per session―from August 7 to October 30, 2017 at three stages―early, middle, and late―with the objective of reducing the child’s maladjustment behavior. The early stage (Sessions 1-7) aimed to allow the child to relieve stress, establish trust-based relationships, and gradually explore and express inner needs and emotions. The middle stage (Sessions 8-16) aimed to allow the child to remove negative emotions on the basis of the stable ones formed at the early stage and control his attention, aggressive behavior, and socially immature behavior. The late stage (Sessions 17-22) aimed to allow the child to keep controlling his maladjustment behavior, reinforce his inner resources, and prepare for consolidation. The Teacher Report Form (TRF) of the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was used to analyze aggressive behavior, attention deficit, and social immaturity sub-scales, and House-Tree-Person (HTP) test and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were used as projective drawing tests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o observe the changes in maladjustment behavior during the course of art therapy, the art works and verbal and behavioral expressions were analyzed in each session at three stages: early, middle, and late.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stability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e child was less likely to express negative emotions verbally and physically in terms of academic work and peer relationships and became more active, instead of being spiritless and withered. The child seemed to feel emotionally stable by reinforcing emotional relief in the stable environment of art therapy based on the researcher’s empathetic attitudes, by becoming less anxious, by expressing inner needs and emotions freely, and by removing negative emotions. The child was more likely to make emotional expression and showed a sense of stability with positive self-expression and a sense of ego. Second,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e child was enabled to become aware of and control his attention deficit, aggressive behavior, and socially immature behavior and to control maladjustment behavior in the classroom by expanding the control of maladjustment behavior through art therapy into school life. He dealt with relief media, changed his aggressive and incoherent energy into creative one, controlled his immature, childish behavior, and controlled his maladjustment behavior by using the researcher’s interventions, such as questioning, summarizing, and clarification. The child reduced such maladjustment behavior, increased adaptive behavior, and improved peer relationships. Third, art therapy improved positive inter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s well as his peer relationships. The child controlled his maladjustment behavior through art therapy, expanded it into school life, reduced maladjustment behavior in the classroom, made more positive interaction, and improved peer relationships. He experienced adaptive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was more likely to make positive communication and exchange through the medium of the works, and had greater joy in peer relationships. These conclusions imply that personal art therapy may positively affect maladjustment behavior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