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저소득 부자(父子)가정 여아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Title
저소득 부자(父子)가정 여아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n Art Therapy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 Child in a Low-Income Father-Child Family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하연
Abstract
본 연구는 저소득 부자(父子)가정 여아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이며,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저소득 부자가정의 여아가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위해 부자가정에서 물질적· 정서적 결핍을 겪고 있는 10세 여아를 대상으로, 개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6년 5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서울 A초등학교 교육 복지실에서, 주 1회 60분씩 35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검사(PPAT), 빗속의 사람그림 검사(PITR), 그림 이야기 검사(DAS), 자기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매 회기별 미술 작품과 언어·행동표현 등의 관찰기록과 동영상, 녹취록 내용을 토대로 아동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고, 미술치료 초·중·후기 세 단계별 아동의 정서·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가정과 학교에서의 아동의 변화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는 학교 교육 복지실 담당교사와 수시로 면담하였고 아버지 면담을 2회 병행하였다. 미술치료 모든 진행과 결과 분석은 미술치료 전문가의 슈퍼비전을 받았으며,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은 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자유로운 정서표현, 자기이해 및 자기 수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아동은 긍정적 자아상 확립을 바탕으로, 타인과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아동은 분리와 개별화의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되었고, 결국 자신의 주체성을 획득 하였다. 둘째, 저소득 부자가정의 여아는 미술치료 미술작업 과정에서 작품과의 관계를 통해 가족에 대한 자신의 양가감정을 인식, 표출 할 수 있게 되었다. 아동은 초기의 피상적이고 경직된 가족관계를 탈피하여 결국에는 가족, 특히 아버지와 진솔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가족 간 긍정적 상호관계가 증진되었다. 셋째, 대상아동은 미술치료사와의 관계를 통해 초기 아동기에 박탈당한 모성애착을 재경험 하였으며 대인관계 발달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아동은 사회적 관계에서, 특히 또래와 친밀한 상호작용을 하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저소득 부자가정의 여아는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표현 및 미해결된 감정해소, 자기이해와 수용, 긍정적 관계 경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긍정적 자아상이 강화되었고 자신을 관계 속에서 분리 및 개별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신의 상황적 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다루고 가정, 학교 및 사회에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루며 잘 적응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한부모 가정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진행한 미술치료 사례연구는 대부분 가구주와 아동의 성별 구분이 없이 진행되어 왔다. 모성애착 결핍은 아동의 정서․심리발달 문제뿐만 아니라 특히, 여아의 사회 부적응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소득 부자가정 여아를 대상으로 대인관계 증진을 위해 진행된 미술치료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저소득 부자가정 여아가 경험한 것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사례로서, 부자가정 여아들의 대인관계 증진 및 사회적응 연구를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This is a single case study on art therapy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 girl in a low-income father-child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changed the child’s psychology and behavior and how the process affected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personal art therapy program was run from May 2016 to March 2017 for a ten-year-old girl suffering from material and emotional deprivation in a father-child family. Art therapy was provided in 35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a session weekly in the educational welfare room of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investigate the child’s changes both at home and at school, the researcher frequently interviewed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educational welfare room at school in addition to two interviews with the father.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test, Person-In-The-Rain (PITR) test, Draw-A-Story (DAS) test, and self-esteem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changes following the progra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ild’s changes on the basis of the art works, the observations of verbal and behavioral expressions, the videos, and the transcripts in each session along with her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at three stages of art therapy: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The analysis of art therapy progress and its results was supervised by an expert in art therapy.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determined how effective art therapy was in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 girl in a low-income father-child family.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rt therapy enabled the child to make emotional expression freely, have a self-understanding, and make self-acceptance. This experience of art therapy allowed the child to see herself and others on the basis of the established positive self-image. She has got a new perspective based on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and ultimately become independent. Second, the girl in the low-income father-child family was enabled to understand and express her ambivalence over her family through the relationships with her works during the course of art-making in art therapy. She could abandon the existing superficial and rigid family relationships and ultimately communicate sincerely with her family―particularly her father―and saw mutual relationships with her family become more positive. Third, the child reexperienced maternal attachment, which had been deprived in early childhood, and saw development of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mproved through the relationships with the art therapist. She could establish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ocial relations, particularly through intimate interaction with peers. Art therapy provided a girl in a low-income father-child family with an important chance to improve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e had her parents divorced in her infanthood and was reared by her father with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As a result, insufficient care, lack of maternal attachment, and lack of positive communication negatively affected her emotional and interpersonal development. Art therapy gave her opportunities to see and accept herself and other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to reinforce positive ego-image and make positive mutual exchange through art-making with a therapist. This process of art therapy made positive therapeutic changes in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le she became independent again on the basis of self-reli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