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4 Download: 0

담화 기반 문법 교수를 위한 ‘구’ 계열 종결어미의 담화 맥락 연구

Title
담화 기반 문법 교수를 위한 ‘구’ 계열 종결어미의 담화 맥락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scourse context of type ‘구’ final endings for discourse based grammar teaching
Authors
염정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 말뭉치에 나타난 ‘구’ 계열 종결어미 ‘-구나’, ‘-군’, ‘-군요’의 담화 맥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담화 차원에서 반드시 교수되어야 할 담화 맥락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실제 교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자리 잡게 되면서 문법 교수 역시 기존의 문장 단위에서 벗어나 담화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논의에 기초한 것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 결과 한국어 교육에서는 개별 문법이나 표현 범주, 유사 문법 단위에서 담화 맥락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반면, ‘구’ 계열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장 단위에서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었으며 간혹 담화 차원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구나’, ‘-군’, ‘-군요’ 중 특정 항목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어 각 항목 간 차이점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2장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여러 논의를 바탕으로 담화 및 맥락의 개념과 ‘구’ 계열 종결어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담화의 범위를 구어로 한정하고 맥락의 구성 요소를 담화 유형, 담화 참여자, 담화 배경, 담화 기능의 4가지로 정리하였다. 또한 ‘구’ 계열 종결어미의 특성을 통사적 측면, 의미적 측면, 담화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실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분석 대상이 되는 한국어 모어 화자 말뭉치의 세부 구성을 제시하고 분석 기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혔다. 본 연구는 21세기 세종계획 말뭉치 1,434,747어절과 드라마 대본으로 구성된 준구어 말뭉치 1,658,820어절을 합한 총 3,093,567어절의 한국어 모어 화자 말뭉치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분석 기준은 2장에서 살펴본 맥락의 4가지 구성 요소인 담화 유형, 담화 참여자, 담화 배경, 담화 기능을 기본으로 하되 담화 유형과 담화 참여자에서는 각각 장르와 화청자의 개별적 특성 및 관계적 특성을 하위 분석 기준으로 추가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 말뭉치 분석을 통해 ‘-구나’, ‘-군’, ‘-군요’의 담화 맥락적 특성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담화 차원에서 교수될 필요가 있는 정보를 정리함으로써 효과적인 담화 기반 문법 교수 방법을 제언해보고자 하였다. ‘-구나’, ‘-군’, ‘-군요’의 출현 빈도는 담화 유형, 담화 참여자, 담화 배경 모두에서 대체로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곧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서로 다른 담화 맥락에서 각 문법 항목을 특징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담화 기능의 경우 각 문법 항목 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과 비교하면 가장 큰 간극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구’ 계열 종결어미는 첫째, ‘-구나’를 목표 문법으로 설정하고 둘째, 담화 참여자의 관계적 특성을 중심으로 담화 맥락 정보를 제시하며 셋째, 담화 기능은 나선형 교육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교수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그 동안 이론적 측면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던 ‘구’ 계열 종결어미의 담화 맥락적 특성을 한국어 모어 화자 말뭉치를 통해 직접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구나’, ‘-군’, ‘-군요’의 담화 맥락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각 항목 간의 차이를 밝히고 이를 교육적 관점에서 정리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실제 ‘구’ 계열 종결어미를 교수하는 현장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다양한 교수 방안을 제안하는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by selectively proposing the context information that must be taught in the discourse level through analyzing type ‘구’ final endings ‘-구나’, ‘-군’, ‘-군요’ that appear in the Korean native speaker corpus. This is based on the discussion that grammar teaching needs to move away from the sentence levels and takes place in discourse levels as the actual communication ability has become as an important goal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1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looks over the preceding study. As a result,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very actively engaged in basic research to reveal the discourse contextual characteristics in the units of individual grammar, expression category and similar grammar.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n the final endings of type ‘구’ focused primarily on explaining its meaning in sentence units and even though a discourse study was rarely conducted,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구나’, ‘-군’, ‘-군요’ because only specific items of them were analyzed. Chapter 2 discusses the concepts of discourse and context, and the nature of the final endings of type ‘구’ that is based on the various discussions that have taken place. Through this, the scope of the discourse was limited to the spoken language and the components of the context was arranged into discourse type, discourse participants, discourse background, and discourse func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endings of type ‘구’ were identified in the aspect of syntactic, semantic, and discourse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actual analysis. Chapter 3 presents the detailed composition of the Korean native speaker corpus that is the analysis target and explains the specifics of the analysis criteria. This study uses the 3,093,567 words corpus of Korean native speaker composed of 1,434,747 words from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and 1,658,820 words from a drama script. The analysis criteria are based on four of the context components discussed in Chapter 2: discourse type, discourse participants, discourse background, and discourse function. Additionally genre and individual․relational characteristics were added for discourse type and discourse participants as a sub analysis criteria. Chapter 4 discusses the discourse context characteristics of ‘-구나’, ‘-군’, ‘-군요’ by actual corpus analysis and proposes an effective discourse based grammar teaching method by organiz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needed in the discourse aspect. The frequency of appearances for ‘-구나’, ‘-군’, ‘-군요’ was largely different in the discourse type, discourse participants, and discourse background. This shows that the Korean natives speakers are typically using each grammar item in different context of the discourse. Meanwhile, the discourse function did not seem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ammar item, but the gap was found to be the biggest compared to the Korean textbook.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ings were proposed. Firstly, ‘-구나’ should be the goal grammar, secondly, the discourse context information should be offered with mainly focusing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participants, thirdly, according to spiral curriculum, the discourse function should be taught stage by st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rectly identified the discourse context characteristics of the type ‘구’ final endings that were mainly discussed through the theoretical aspects by the Korean native speaker corpus. Also by analysing the discourse context of ‘-구나’, ‘-군’, ‘-군요’ together and organizing them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is study has the differentiation comparing to other stud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actual teaching field and support the further study that proposes various teaching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