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가족구조의 변화를 겪은 조손가정 아동의 개인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가족구조의 변화를 겪은 조손가정 아동의 개인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f Individual Art Therapy with a Child raised by Grandparents, who experienced a Change in Family Structure
Authors
최현화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하연
Abstract
With the radical changes in the modern society,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function and values appeared. In this process, the reduction of traditional family function and family disorganization accompanied, which increases the types of family.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affects family members' overall lives in the long term, and especially, has grea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mpacts on children in the development process. Since children are very likely to have further expanded maladjustment problems in their growth process, early intervention is needed, which can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art therapy with a child raised by her grandparents, who experienced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and would understand what she experienced in the process. Since the inner worlds the child raised by her grandparents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were complex and divers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worlds by the method of case study to observe them in depth.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is a third-grade girl student in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o attended a total of 35 sessions of art therapy for 50 minutes once a week from January 2017 through October 2017. In this process, data such as individual art therapy and interviews, verbatim recordings, recorded and transcribed in each session, the researcher’s observation diary, her works of art and the pictures of the works were collected. The details of what the participan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drawn by conducting repeated reviews of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in the study came to ha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her self-expression increased. The participant suppressed her feelings at the early stage of art therapy and showed defensive and avoidant attitudes. And yet, she relieved herself by expressing the repressed feelings through the work of art and found a sense of security. In addition, facing her intrinsic emotions through the work, her defensive and avoidant attitudes decreased, and she achieved the expansion of self-expression. Second, the participant in the study came to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herself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her self-esteem improved. The participant faced her negative self through the work of art and expressed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that and resolved them. Through this, she could face a positive self-image, and her self-esteem improved. The participant gradually strengthened her will through the work of art and experienced internal growth, discovering and perceiving the power in herself in this process. Third, the participant in the study came to recognize and accept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 had high shock, anxiety and sense of loss coming from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in the early stage of art therapy, but through the work of art and communication with the researcher, she could objectively see her family herself. The participant found psychological stability by the re-experience of the lost maternity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er and strengthened the internal base of support. In this process, the participant came to have the power to flexibly cope with psychological shocks coming from the continuous change of family structure.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 expressed her intrinsic emotions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achieved the expansion of self-expression. She came to have a positive self-image, and thus, she could have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e family environment that could continually change. Like this, it was noted that the children raised by her grandparents, who experienced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had a positiv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is study attempted a qualitative approach to a special case of a child raised by grandparents, who experienced the process of a change in family structu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would understand what the child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hild’s experienc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amily becomes a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and hopefully,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hildren who experience maladaptive emotions in the process of various changes of family structure.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가족의 구조와 기능,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 가족 기능의 축소와 가족해체가 수반되어 다양한 형태의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가족구조의 변화는 장기적으로 가족구성원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발달과정에 있는 아동에게 심리적, 정서적으로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가족구조의 변화는 아동기 성장 과정에서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아동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조속한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가족구조의 변화를 겪은 조손가정 아동에게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아동이 경험한 것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손가정 아동이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내면세계는 복잡하고 다양하기에 이를 심층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사례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G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여아로 2017년 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주 1회 50분 총 35회기의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인미술치료와 면담, 매 회기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작업 및 작품사진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반복 검토하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을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심리, 정서적 안정을 찾았으며 자기표현이 늘어났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초기에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였으며 방어적이며 회피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을 이완시키고, 억압된 정서를 표출함으로써 해소하고 안정감을 찾았다. 또한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 안에 내재된 감정을 직면하면서, 방어적이고 회피적인 태도가 감소되어 자기표현의 확장을 이루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 과정에서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참여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자아를 직면하고 그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표출하고 해소하였다. 이를 통해 긍정적 자아상을 마주할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참여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점차 자신의 의지를 다졌고, 이 과정에서 자신 안에 내재된 힘을 발견하고 인식하여 내적인 성장을 경험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가족구조의 변화를 인정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초기에 가족구조의 변화에서 오는 충격과 불안, 상실감이 높았다. 그러나 치료적 환경 내에서 미술작업을 통해 참여자 스스로 자신의 가족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가족구조의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사와의 치료적 관계에서 상실했던 모성을 재경험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찾았고 내적 지지기반을 다졌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는 지속적인 가족구조의 변화에서 오는 심리적 충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치료 과정에서 내재된 정서를 표출하였으며 자기표현의 확장을 이루었다.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정환경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이처럼 가족구조의 변화를 겪은 조손가정의 아동이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족구조의 변화과정을 겪은 조손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특수한 사례에 대해 질적인 접근을 시도한 것으로, 아동이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경험한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가족구조의 변화 과정에서 아동의 심리, 정서적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 시도로, 다양한 가족구조의 변화 과정에서 부적응적 정서를 경험하는 아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로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