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1 Download: 0

Screening Life and Dreams

Title
Screening Life and Dreams
Other Titles
20세기 한국 민족영화와 문예봉의 삶과 꿈
Authors
SONG, Xiaoqian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Kyong-Mi D. Kwon (권경미)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story of a Korean actress Moon Ye-bong (문예봉/文藝峰, 1917–1999). As a movie star who established her stardom in the colonial era and participated in founding the North Korean film industry, Moon’s very life and aspirations reveal an alternative history of modern Korea. By examining her experiences and works, this study attempts to rediscover the strategies and tactics of one spectacular Korean woman who not only survived Korea’s tumultuous 20th century but also shaped its film culture and history. Born into an actor’s family, Moon Ye-bong started her acting career when she was still a teenager and during the short blossom of Korean national cinema in the mid-1930s, Moon Ye-bong starred in several successful commercial films and established her stardom as a movie star of the sound era. Her typical screen image of this period as a modern Korean woman who loved and struggled, fulfilling the audiences’ fantasies. In real life, however, Moon was a professional actress who left the safety of her father’s home to seek her own career. Her on/off camera images of this period provided a portrait of “New Woman” (신여성/新女性) in Korea, representing the zeitgeist zeal, modern anxieties, and social conflicts of colonial Korea.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interrup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national cinema. During the “Total Mobilization” period (1938–1945), Moon Ye-bong had to face the dilemma between maintaining her nationalist ideologies and pursuing her own film career. To continue her career life and provide for her family, Moon chose to collaborate with the authority and quickly adjusted her strategy. Her image in the war-time Korean cinema set up a new female model as a “Woman Behind the Guns” (총후부인/銃後婦人) who was disciplined as the dedicated and loyal worker of the empire and the brave female soldier behind the battle field of the war. After Japan’s defeat in 1945, Moon transformed herself again and left for Pyongyang in 1948. There the former pro-Japanese film star had refashioned herself once again to be a new model citizen of North Korea and a “Female Revolutionist” (여성 혁명자/女性革命者) who exemplified the successful reeducation of the new orthodoxy and thereby obtained the new legitimacy of her new identity. With her legacies from the past and unremitting efforts, Moon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new paradigms of cinema and explored the diverse possibilities in her film career. However, in the mid-1960s and Moon was sent away from Pyongyang in an exile and was kept away from the silver screen for more than 10 years. The misfortune did not destroy her desires and dreams of being an actress. When she was finally allowed to return to the film industry in the late 1970s, she restarted her career immediately. In the following years, Moon played supporting roles in several film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unification activities until her death in 1999. Crossing the boundaries of ideology, history, and politics, Moon Ye-bong completed her own legendary story as a woman who shaped but was also shaped by her times. This study thus tries to look into her life and dreams to write a feminist history by reconsidering her films, life, and the stories told by her. Arranging these stories chronologically, the dissertation is then divided into five chapters. The study object and purpose as well a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method are introduced in Chapter 1. Chapter 2, 3, and 4 construct the main body and each chapter covers one period of Moon’s life focusing on her representative images: Chapter 2 (1917–1936) on “New Woman,” Chapter 3 (1937–1945) on “Woman Behind the Guns,” and Chapter 4 (1946–1965) on the “Female Revolutionist.” The final stage of Moon’s life (1966–1999) along wit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discussed in Chapter 5. In the turbulent history of modern Korea, Moon Ye-bong kept on refashioning herself to meet the demands of both the audiences and the authority to become the ultimate survivor. By re-examining her life and dreams,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the inner strategy of the actress and the human agency of a woman who at times was pushed to the frontline but who continuously pursued her own career and life. Through Moon Ye-bong’s stories, this study also aims to connect the fragmented histories and provide a fuller or alternative views of Korea’s 20th century albeit from a female perspective.;본 연구는 한국 여배우 문예봉(文藝峰, 1917–1999)의 생애사에 대한 재탐구라고 할 수 있다. 문예봉은 일제 식민지 시대에 대표적인 영화 배우의 지위를 확립하고, 월북한 후에 북한 영화 산업 창립에 참여한 20세기 한국영화사의 중요한 인물이다. 여성으로 여성의 목소리를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여성의 선택을 세계에 보여준 그녀의 삶과 꿈은 또 하나의 20세기 역사를 구성했다. 이 여배우의 인생 경험과 작품을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는 그녀의 인생 전략을 고찰하고,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의 한 여성의 인간적인 힘을 재발견하고자 시도했다. 한 배우의 가정에서 태어난 문예봉은 십대 소녀 때에 이미 연기 경력을 시작했다. 1930년대 중반 한국영화의 짧은 번영기에 스타의 지위를 확립했다. 신여성(新女性)은 바로 문예봉의 전형적인 이미지였다. 은막 밖에서의 그녀도 아버지의 집을 떠나 자신의 삶을 위해 일을 하는 직장 여성이었다. 은막 안과 밖의 문예봉은 한국 신여성의 초상화를 제공하면서 식민지 사회의 시대 정신, 고뇌 및 불안, 그리고 갈등을 재현했다. 그러나 1937년의 중일 전쟁의 발발로 인하여 한국 영화의 발전이 중단 되었다. 문예봉 직장생활과 가족부양을 위해 당국과 협력했다. 전시 영화에서 나타난 문예봉의 이미지는 총후부인(銃後婦人)이란 새로운 여성 모델로 요약할 수 있다. 총후부인은 제국을 위해 무조건 전쟁을 지지하는 후방에서 일하는 여성을 지칭한다. 문예봉의 선택과 작품은 이 어두운 시대의 부정적인 역사인데, 다른 한편으로는 이 특별한 시기에 사람들의 경험을 기록한 시대의 각주로 볼 수 있다. 해방 직후 문예봉은 자기 혁명을 시작하고 1948년 3월 15일 서울에서 북한으로 갔다. 평양에서 그녀는 새로운 경력을 시작하고 그녀의 이미지도 새로운 정통성을 지키기 위해 새로운 합법성을 얻은 모델 시민인 여성 혁명자(女性革命者)로 다시 태어났다. 과거의 유산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문예봉은 새로운 영화 패러다임 구축에 참여하고 연기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했지만, 1960년대 중반의 예술가 숙청 움직임 속에서 문예봉도 평양에서 “추방”됐다. 하지만 10여년의 불행한 생활도 그녀의 연기에 대한 신념을 파괴할 수 없었다. 1970년대 후반에 영화 산업에 복귀한 후, 그녀는 즉시 연기 경력을 다시 시작했다. 그 후의 십몇 년 동안에 문예봉은 여러 영화에서 보조 역할을 했으며, 1999년 임종 전까지 통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념적 · 역사적 · 정치적 경계를 넘어, 문예봉은 시대를 형상화시킨 한 여성으로서의 전설적인 이야기를 완성했다. 본 연구는 그녀의 삶과 꿈으로 들어가서 그녀의 이야기와 그녀가 알려준 이야기들 문화유물주의(Cultural Materialism)의 시선에서 여성주의의 역사(Feminist History)로 탐구한 시도이다.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연구의 대상과 목적,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을 제1장에서 소개했다. 2, 3, 4장은 본체를 구성한다. 각 장에서 시기별로 문예봉의 이미지를 토론했다. 제2장(1917–1936)은 신여성에, 제3장(1937-1945)은 총후부인에, 제4장(1946–1965)은 여성 혁명자에 집중한다. 각 시기의 문예봉의 대표작을 선택하여 영화 분석도 진행했다. 문예봉의 마지막 인생 단계(1966–1999)는 5장에서 논의되었으며, 연구의 전반적인 결론도 같은 장에서 다루어졌다. 시대가 그녀를 만들었고, 그녀도 시대를 만들었다. 격동의 역사에서 문예봉은 궁극적인 생존자로서, 관객과 권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계속해서 자신의 이미지를 바꿨다. 그녀의 삶과 꿈을 검토함으로써 한 여배우의 내적 전략과 이 한 여성의 인간적인 힘을 발견했다. 그녀는 시대의 전선으로 몰린 수동적인 대상에서 그녀 자신의 길을 택할 수 있는 능동적인 주체가 되었다. 이와 같은 문예봉의 생애사를 통해 살펴본 조각난 역사의 재결합, 그리고 여성의 시선에서 활력과 창조로 완성된 역사 서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