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Relative Clause Sentence Processing and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Title
Relative Clause Sentence Processing and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uthors
유지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The morphosyntactic limitation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have been examined extensively (Friedmann & Novogrodsky, 2004; Leonard et al., 2003; van der Lely, 2005). Yet, it is not clear how children with SLI process complex syntactic structure (Hesketh, 2006; Norbury & Bishop, 2003; Schuele & Nicholls, 2000) and whether their impaired syntactic system or their limited processing ability would mediate the syntactically complex sentences. Moreover, these children have limited executive function (EF) system compared to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lthough EF is known to be one of resources to involve in processing complex sentences, research exa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EF and complex sentence processing in children with SLI is rare.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the complex sentence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LI and the link between EF and sentence processing in the two groups. Twenty-four children with TD (TD group) and nineteen children with SLI (SLI group)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ll children completed the standardized tests of language and nonverbal IQ. They also completed the on-line and off-line sentence processing task using Relative Clause (RC) sentences and a series of EF tasks including WM, inhibition, and shifting. Linear mixed effect model and generalized linear effect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s on the on/off-line sentence processing task and correlation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link between EF and sentence processing in children with SLI and children with TD. Results showed that the two groups of children did not differ on performance of the on-line processing of complex sentence while they differed on performance of the off-line comprehension task with the SLI group underperforming the TD group across RC sentence types. Also, despite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n performance of EF tasks between the SLI group and the TD group, all three core components of EF were broadly related with the on/off-line sentence processing in the SLI group whereas only verbal WM was related with the accuracy of the off-line comprehension task in the TD group. Together, the real-time processing mechanism for syntactically complex sentences may not differ between children with SLI and children with TD with both groups using the similar word-order strategy when they process the RC sentences. However, the impaired syntactic knowledge in children with SLI seemed to lead to the unsuccessful post-integrative process, resulting in poor comprehension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LI. In addition, EF system may be more involved in processing complex sentences in children with SLI presumably to compensate for their lower language ability than children with TD.;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통사형태론적 제한에 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행해져 왔다 (Leonard et al., 2003).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통사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그리고 복잡한 문장을 처리할 때, 손상된 통사적 시스템이 관여하는지 혹은 손상된 제한된 처리 능력이 관여하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Hesketh, 2006; Norbury & Bishop, 2003; Schuele & Nicholls, 2000). 또한,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제한된 집행기능은 잘 알려져 있다. 집행기능이 통사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처리하는데 관여하는 자원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집행기능과 복잡한 문장처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복잡한 문장처리에 관해 살펴보고, 두 그룹 안에서 집행기능과 문장처리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24명의 학령기 정상발달 아동들과 19명의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두 그룹의 아동들의 문장처리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주격/목적격 관계절과 핵명사의 위치에 따라 다른 관계절 (SS vs. SO and OS vs. OO)을 준비하였으며, 이 문장들을 이용한 on-line (실시간 단어처리 반응시간 측정) 그리고 off-line (문장 이해 정확도 측정) 문장처리 과제를 실시하였다. 모든 아동들은 또한 작업기억, 억제능력, 전환능력을 측정하는 집행기능 과제들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정상발달 아동들과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관계절을 이용한 on-line문장처리 시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off-line이해과제에서는 모든 관계절 유형에서 정상발달 아동들이 단순언어장애 아동들보다 높은 정확률을 보였다. 또한, 집행기능 과제 중 전환능력과제를 제외하고 다른 과제에서 두 그룹의 수행력에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정상발달 아동들의 경우, 언어적 작업기억과 off-line이해과제의 수행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경우, 모든 집행기능과 on/off-line문장처리과제의 수행력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들과 정상발달 아동들이 통사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읽을 때, 그들의 실시간 문장처리 메커니즘엔 큰 차이가 없어 보이며 두 그룹의 아동들은 단어 순서에 의존하는 비슷한 문장처리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읽은 단어들을 통합하여 이해하는 과제에서 정상발달 아동들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인 것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손상된 통사형태론적 시스템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에게서 보인 on/off-line문장처리수행력과 집행기능과의 연관성에 의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통사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처리할 때 정상발달 아동들에 비해 낮은 언어능력을 보상하기 위해 집행기능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나 집행기능과 문장처리 사이에 효과적인 상호작용은 제한된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