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Differences of Early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itle
Differences of Early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uthors
김유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Late talkers are assessed to have obvious delays in acquiring language, in contrast to development in other areas (Robertson &, Weismer, 1999). Approximately, half of the late talkers keep up with their peers by age three (Paul, 1991; Rescorla & Schwarts, 1990; Rescorla et al., 1997). Even though they reach the normal range of linguistic ability in the elementary school-aged period, however, they receive significant lower scores in language assessment than their peers in the higher grades in school. (Paul, 1996; Rescorla 1993). Paul et al. (1997) insisted that residual linguistic deficits would remain on these children as they advance through the higher grades in school. This study hypothesized the residual deficits start from conceptualization stage. Out of theories on the representation of knowledg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preading activation model. The model is explained as a complex network of associations. Specific items are distributed in conceptual space with related concepts, and the concepts are linked by associations (McLin, & Solso, 2008). To examine the linkage of semantic, current study compared the similarity of words between late talkers (L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 total of 224 reports of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Pae & Kwak, 2011)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emantic relatedness of infants and toddlers from 8th month to 36th month. 196 reports were from Wordbank (wordbank.stanford.edu), and 38 reports were gathered by additional recruitment. KM-BCDI (Pae & Kwak, 2011) has two versions; one is for infants (8th month to 17th month), the other is for toddlers (18th month to 36th month). Out of 224, 55 were infants, and 169 were toddlers. Among them, LT infants were 7, and LT toddlers were 24. Semantic relatedness was measured by Jaccard’s Index. After measuring the similarity of each group, one-way ANOVA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Three pairs of comparisons were made: infants’ comprehension, toddlers’ expression, and toddlers’ comprehension. The differences between LT and TD were mostly significant within the lexical categories in comprehension, except for five categories: Body parts,' ‘Households,’ ‘Furniture and rooms,’ ‘Places,' and ‘Quantifiers'. For toddlers, there was significance in every lexical semantic category both in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The biggest difference was found in expressive vocabularies of toddlers. All three pairs of comparis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out categorie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xpressive vocabularies of toddlers as same as the result of the categorical comparison. The least significance was found in infants' comprehensive vocabularies. The potent of residual deficits was observed in the comparison without categories. The difference in categorical comparison showed parallel differences both in infants and toddlers, but comparison without categories in infants’ comprehension showed that there were words laid at the bottom while the other words were intermingled. The difference of infants' comprehension was the least in all three parts. However, the words at the bottom reveal the evidence of residual deficits. Through the comparison of infants’ comprehension, this study found the evidence of the residual deficits of language. Furthermore, the comparison through semantic network visualization showed the definite difference of the relatedness between TD and LT. With this results, the residual deficits are attributable to the semantic relatedness capacity.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at the semantic relatedness is a key factor in word learning in infancy and that the weak semantic relatedness in early age could remain linguistic residual deficit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the academic evidence for urging early intervention of ‘at risk' children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on late talkers.;말 늦은 아동은 다른 발달 영역에 비해 일반적으로 언어 습득에 확연한 지연을 가져오는 것으로 설명된다 (Robertson &, Weismer, 1999). 말 늦은 아동 중 1/2이 일반적으로 만 3세 안에 또래 아동의 언어 수준을 따라잡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Paul, 1991; Rescorla & Schwarts, 1990; Rescorla et. al., 1997). 그러나 말 늦은 아동에 대한 후속연구는 말 늦은 아동들이 저학년 학령기에는 또래 규준에 적합한 언어 발달능력을 따라잡는다고 하더라도, 통제그룹과 비교하여 다양한 언어적 기능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갖게 되고, 고학년 학령기에서 이러한 문제는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Paul, 1996; Rescorla 1993). 이를 통해, Paul(1997)과 그의 동료들은 말 늦은 아동들에게 설명되지 않은 잔존하는 언어적 결손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말 늦은 아동이 표현어휘의 정도에 따라 평가되기 때문에, 말 늦은 아동의 설명되지 않는 언어적 결손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서는 언어가 산출되는 과정에 기반하여 아동의 언어적 표현과 이해를 모두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Levelt(1991)는 낱말이 산출되기 위해서는 개념적 단계(conceptualizer), 형식화 단계(formulator), 그리고 조음단계(articulator) 세 단계를 거쳐서 처리된다고 설명하였다. 언어의 산출은 생각과 지식이 구어로 제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 있는 언어가 산출되기 위해서 생각과 지식이 어떠한 형태로 저장되고 확산되어 있는지 검토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 늦은 아동들에게 잔존하는 언어적 결손이 발화산출의 개념화부터 시작한다고 보았다. 지식의 저장된 여러 형태에 대한 여러 가설 중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 확산 모형에 근거하여 지식의 저장된 형태를 가정하였다 (Collins & Loftus, 1975). 활성화 확산 모형은 개념 마디들이 고리로 연결되어있다고 보는 일종의 망 모형(network model)이다. 본 연구는 말 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이 이러한 어휘 개념의 저장된 형태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말 늦은 아동과 일반아동 그룹간의 의미 연결 망을 살펴볼 수 있는 어휘간 연결성을 그룹 간 비교 연구해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생후 36개월 미만의 아동 224명으로, 생후 8개월 이상 17개월 미만의 영아 55명과, 생후 18개월 이상 36개월 미만 아동 169명으로 구성되었다. 참가 아동은 “웹베이스 영∙유아 어휘 은행(word bank) 개발을 통한 한국어-영어 교차 어휘 발달 연구”에서 수집하여 어휘은행에 공개된 196명의 데이터와 추가적으로 모집한 38명으로 이루어졌다. 총 224명의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 발달 평가(K M-B CDI; Pae & Kawak, 2011; 이하 KM-BCDI)를 통해 말늦은 아동을 분류하였고, 영아 55명중 7명, 유아 169명중 24명이 말늦은 아동으로 평가되었다. 어휘간 연결성은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을 통해서 KM-BCDI 각 단어간 출현율을 자카드 계수(Jaccard’s Coefficient)로 상관 분석하여 유사도를 측정한 다음 말 늦은 아동 그룹과 정상 발달 아동 그룹의 표현어휘와 이해 어휘의 유사도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영아의 표현어휘의 평균 원점수가 0점 이었기 때문에 유사도가 측정되지 않았고 영아표현어휘에 대한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휘간 연결성에 대한 비교는 범주의 유무로도 비교하였다. KM-BCDI는 영아용은 18개(284 단어), 유아용은 24개(641 단어)의 의미범주로 나누어져 있다. 각 범주 별로 그룹간 유사도를 비교하였고, 범주 별로 비교하였을 때, 영아 이해어휘는 18개의 범주 중 13개의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경우 표현어휘와 이해어휘 모두 정상발달 아동과 말 늦은 아동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범주 별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유아 표현 어휘로 나타났다. 범주를 제거한 단어의 유사성 비교에서도 세 비교군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기에서도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유아 표현 어휘의 유사도로 나타났으며, 차이가 가장 적은 것은 영아 이해 어휘였다. 그러나 범주 별 비교와 차이점은, 범주를 제거한 단어의 유사성 비교를 통해 영아 이해어휘의 유사도의 비교를 통해 말 늦은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에서의 잔존하는 언어적 결손의 잠재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다른 그룹에서는 이 정상발달아동과 말 늦은 아동의 유사도가 평행적으로 차이가 났지만, 영아 이해어휘에서는 말 늦은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 사이의 유사도가 혼재되어있는 가운데 현저히 유사도가 낮은 어휘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표현뿐만 아니라 이해어휘의 유사도의 비교를 수행한 결과, 이해어휘에서도 모두 말 늦은 아동과 정상발달아동의 유사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말 늦은 아동의 낮은 단어 간 유사도 즉 낮은 어휘간 연결성이 영아에서부터 유아까지 지속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말 늦은 아동의 잔존하는 언어적 결함이 의미적 연결성에서 보여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복잡한 의미적 연결성이 어휘의 이해와 표현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휘간 유사성의 정도를 각 그룹간의 시각적 비교를 위해 동시출현 키워드 네트워크 구축 소프트웨어인 Vosviewer를 통해서 의미 망을 시각화 했다. 또한, 본 연구는 섣불리 평가와 진단을 할 수 없는 36개월 미만의 아동 중 고위험군(at risk)에 있는 영∙유아의 언어중재의 중요성을 촉진하고 영∙유아의 조기중재에서 어휘적 측면에서의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며 중재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