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교령-
dc.creator김교령-
dc.date.accessioned2018-03-05T16:30:09Z-
dc.date.available2018-03-05T16:30:0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8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80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2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의 지표 중 영⋅유아 지표를 추출하고, 추출한 지표를 바탕으로 국내 모니터링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 데이터 이용가능성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SDGs 영⋅유아 지표는 어떠한가? 2. SDGs 영⋅유아 지표의 모니터링 현황에 따른 국내 데이터 이용가능성은 어떠한가? 2-1. SDGs 영⋅유아 지표의 국내 모니터링 현황은 어떠한가? 2-2. SDGs 영⋅유아 지표의 국내 데이터 이용가능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SDGs의 지표 244개(중복지표 제외시 230개)이다. 이는 지표 관련 기관간 전문가 그룹(Interagency and Expert Group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IAEG-SDG)의 보고서인 ‘Tier classfication for Global SDG Indicators – as of April 20, 2017’에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는 SDGs의 지표 중 영⋅유아 지표를 추출하기 위하여 영⋅유아 관련 키워드(모성, 출생, 신생아, 영아, 아동, 5세 이하, 초등교육 전, 유치원, 학교, 연령별, 인구)를 선정하였고, 키워드를 기준으로 1차 추출한 지표는 총 42개였다. 이를 Richardson, Brukauf, Toczydlowska, & Chzhen(2017)과 UNICEF(2017)의 연구와 비교하여 영⋅유아 지표는 최종적으로 총 40개로 추출되었다. 추출된 영⋅유아 지표의 목표, 세부목표 별 분포를 알아보고, 영⋅유아와의 관련 정도에 따라 직접 관련이 되는 경우는 영⋅유아 중심 지표로, 간접 관련이 되는 경우는 영⋅유아 관련 지표로 분류하였다. 영⋅유아 지표의 국내 모니터링 현황을 통해 국내 데이터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영⋅유아 지표의 Tier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지표 중 Tier 1에 해당하는 지표의 모니터링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데이터 이용가능성을 Bruckauf, Cook(2017)이 제시한 데이터 이용가능성과 질 기준을 수정⋅보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DGs의 지표 244개 중 영⋅유아 지표는 40개로 추출되었다. 영⋅유아 지표는 SDGs의 17개의 목표 중 13개의 목표에서 찾을 수 있었고, 목표별로 나누어보면 목표 3, 목표 4, 목표 1, 목표 7, 목표 16에서 많이 추출되었다. 영⋅유아 지표는 관련정도에 따라 영⋅유아 중심지표와 영⋅유아 관련 지표로 나누어 졌는데, 영⋅유아 관련 지표의 비중이 더 높았다. 그러므로 유아교육분야에서 SDGs를 검토할 때, 목표 4에 해당하는 교육뿐만이 아닌 건강, 복지, 위생, 환경과 관련된 목표로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유아 지표의 Tier 구성을 살펴보면 Tier 1이 절반에 해당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목표 1과 목표 16을 제외하고 절반 이상의 지표가 Tier 1에 속해 있었다. 영⋅유아 지표 중 Tier 1 지표는 3/4가 모니터링 되고 있었으나 지표별로 모니터링 수준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모니터링 현황을 바탕으로 데이터의 이용가능성 및 질을 분석한 결과, 비교가능성, 대표성, 정확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충분성은 낮게 나타났다. 즉, 각 지표의 해석, 적용, 수집방법, 현황 등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 없이 모니터링 수준이 향상되기는 어려우므로 이를 총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SDGs를 이행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tract indicators related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among the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to investigate the data availability of using domestic data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monitoring situation based on extracted indicato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1. What are SDGs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2. What is the availability of domestic data for infant and young child indicators? 2-1. What are the domestic monitoring status of SDGs infant and child indicators? 2-2. What is the availability of domestic data for SDGs infant and child indicator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230 indicators of SDGs. It is presented in the ‘Tier classifications for Global SDG Indicators – as of April 20, 2017’, which is a report of the Interagency Expert Group on SDG Indicators (IAEG-SDG). In order to grasp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of SDGs indicators, it selected infants and young child-related keyword and extract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based on it. A total of 42 indicators were extracted first. The primary indicators were finally extract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Richardson, Brukauf, Toczydlowska, & Chzhen(2017) and UNICEF(2017), 40 indicators were finally extracted. And the study examined how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are distributed based on the goals and targets. Also, according to the level of correlatio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it analyzed the indicators related to the infants and young child-centered indicator, and the indicators related to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order to figure out the status of domestic monitor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and data availability, the study analyzed the tier system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Among them, the status of monitoring Tier 1 indicator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data availability standards proposed by Bruckauf, Cook(2017).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DGs a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were found to be highly related. Extract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were found in 13 among 17 SDGs goals, and many were extracted from Goals 3, 4, 1, 7, 16. A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keyword, which are infants and young child-centered indicator and infants and young child-related indicator, and the percentag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were hig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DGs be reviewed not only in education but also in various aspects such as health, welfare, hygiene, and the environment in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when looking at the tier constitution of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Tier 1 is the highest, accounting for the highest percentage, and more than half of the indicators belong to Tier 1 except for Goal 1 and Goal 16. The 3/4 of Tier 1 indicators were monitored amo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dicators, but the level of monitoring was very different for each indicator. Analysis of the data availability and quality based on the monitoring status has shown that comparability, representativeness , accuracy were relatively high, but sufficiency were low.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monitoring level without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interpretation, application, collection method, and status of each indica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mplement SDGs by establishing a system to oversee all of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5 B.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영유아 11 C.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지표 15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연구도구 19 C. 연구절차 2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4 A.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영유아 지표 24 B.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영유아 지표의 데이터 이용가능성 29 Ⅴ. 논의 및 결론 39 A. 논의 39 B.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6 ABSTRACT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06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영⋅유아 지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모니터링을 위한 국내 데이터 이용가능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Infant and Child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 Focusing on domestic data availability for monitoring-
dc.creator.othernameKim, Kyo Ryoung-
dc.format.pagevi, 53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