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9 Download: 0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표현어휘능력에 따른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어휘능력 및 화용언어능력

Title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표현어휘능력에 따른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어휘능력 및 화용언어능력
Other Titles
Influence of mother's Korean vocabulary abilities on their children's vocabulary and pragmatics in Korean-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Authors
김은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최근 한국사회는 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등의 유입이 급증함에 따라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다. 여성가족부의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다문화가정은 278,036가구로 추정된다. 결혼이민자·귀화자는 총 304,516명으로 추정되며, 다문화가구 자녀의 수는 2015년 기준 총 19,882명으로 전체 중 학령전기 아동(만 6세 미만)이 45.8%, 초등학생(만 6세 이상 11세 이하)이 31.0%로 초등학생 이하가 76.8%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2015). 이렇게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면서, 이들의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의 많은 연구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어휘능력이 유의하게 지체되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Bialystok, Luk, Peets, & Yang, 2010; 김경미, 2008; 김영태, 오소정 2013; 황상심, 정옥란, 2008). 국내의 몇몇 논문들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화용능력에 대해서도 보고하고 있다. 4, 5세 다문화가정 아동의 화용능력을 연구한 김민성, 김화수, 이근용(2016)은 다문화가정 아동이 비다문화가정 아동보다 화용능력이 유의미하게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특히 환경적 요인 중 사회경제적 지위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능력과 상관이 있다고 보고하며(Hoff-Ginsberg & Naigles, 2002 Hoff, 2002;), 아동의 어휘발달을 중요하게 예측하는 변인이라고 보고한다(Eilers, Pearson, & Cobo-Lewis, 2006; Hurtado, Marchman, & Fernald, 2008). 가정환경에 있어서 부모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언어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어 왔기에 주 양육자로부터 충분한 언어자극이 필요하다(Hoff-Ginsberg & Naigles, 2002; Windsor et al., 2007). 이와 같은 맥락에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아동 언어발달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가 다수 보고되었으며(Bialystok, 2007; Hoff-Ginsberg & Naigles, 2002; Windsor et al., 2007),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중에서도 어휘력과 아동의 언어능력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우현경 외, 2008; 이수정 외, 2008). 그러나 어머니의 언어능력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본 국내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어머니의 언어능력과 아동의 언어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기존 연구에서도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인 화용언어능력을 검사하고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언어능력 중에서도 아동의 언어능력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어머니의 한국어 표현어휘력 점수 중앙값을 기준으로 두 집단을 나누어 자녀의 어휘능력 및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어휘능력 및 가정 내 환경 변인과 아동의 어휘능력, 화용언어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5세~ 9세의 다문화가정 아동 24명(형제 3쌍 포함)과 그 중국인 어머니 21명이었다. 종속변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동의 연령을 공분산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두 집단(어머니의 표현 어휘력이 높은 수준, 어머니의 표현 어휘력이 낮은 수준)의 문화적 어휘 표현 과제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마찬가지로 연령을 공분산으로 한 이원혼합 공분산분석(two-way mixed ANCOVA)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수용·표현 어휘력 과제에 따른 차이와 두 집단 간 화용언어평가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각각 살펴보았다. 이후 Bonferroni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어머니의 어휘능력,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각 환경 변인과 아동의 언어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편상관계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수용·표현 어휘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표현어휘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수용·표현 어휘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두 집단 간 문화적 어휘 표현 과제 수행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간 화용언어평가 수행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용·표현 어휘력과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표현어휘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화용언어평가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 수행력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화상대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은 상황문맥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과 이야기규칙,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 참조에 비해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상황문맥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은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와 참조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고, 아이러니 및 비유에 비해 유의하게 수행력이 높았다. 아이러니 및 비유는 상황문맥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뿐만 아니라 이야기규칙,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 참조에 비해 유의하게 수행력이 낮았다. 둘째, 중국인 어머니의 어휘능력,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가정 환경 변인과 아동의 언어능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한국어 표현어휘점수와 수용어휘점수, 한국어 문화적 어휘 표현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의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점수가 높았으며, 자녀의 화용언어평가 수행력이 높았다. 어머니의 한국어 수용어휘점수는 자녀의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 중 상황문맥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 능력 정반응률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모국어 수용어휘점수는 자녀의 언어능력 중 표현어휘점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가정 내 환경변인 중 어머니의 연령과 한국 거주기간, 어머니의 교육년수는 아동의 언어능력변인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아버지의 교육년수는 자녀의 표현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수용어휘점수는 표현어휘점수, 문화적 어휘 표현 과제 점수, 화용언어평가 전체 정반응률,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 중 상황문맥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이야기규칙, 참조의 정반응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아동의 표현어휘점수는 수용어휘점수, 화용언어평가 전체 정반응률,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 중 대화상대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이야기규칙, 참조의 정반응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문화적 어휘 표현 과제 점수는 수용어휘점수와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 중 이야기규칙의 정반응률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화용언어평가 수행력에 있어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관관계에서는 다문화 가정 내 환경 변인보다 어머니의 한국어 어휘력이 아동의 언어능력과 더 많은 상관이 있었으며, 아동의 어휘력은 아동의 화용언어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중국 출신 어머니의 한국어 어휘력과 자녀의 어휘력 및 화용언어능력 간 관계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and pragmatic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chinese mother’s korean expressive vocabulary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vocabulary ability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and pragmatic competence, median scores in the korean expressive vocabulary task taken by the chinese mothers was used for this study. All the chines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4 children (including 3 siblings) of 5 to 9 year o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21 Chinese mothers. Analysis of ANCOVA was used to measure the main effects of language ability performance of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measure the correlation among the vocabulary abilities of the Chinese mothers, the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and pragmatic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eptive and expression vocabulary ability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bility to perform cultural vocabulary expression tas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ragmatic competence in terms of correct response. Furthermor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s on subcategories in pragmatic language task. Communication ability depending on partn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bility of storytelling rules, indirect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and management and reference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of situational contex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indirect expression in comprehension and management, reference. However, ability of communication in situational contex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rony and figurative. The irony & figurative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orytelling rules, indirect expression in comprehension and management, and reference, as well as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situational context.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and their environment variable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it has found that the higher mother 's Korean expression vocabulary score, the receptive vocabulary score and Korean cultural expression vocabulary score are, the higher the scores of children’ expression vocabulary, receptive vocabulary, and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Mothers' Korea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was also correlated with child’s ability of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situational context. The mother's receptive vocabulary scores for their native language was correlated with child’s expression vocabulary. Although mother’s ag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education period and the family’s income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education period and child's expression vocabular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receptive vocabulary, expressive vocabulary, and pragmatic ability was significant. The children 's receptive vocabulary score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 were correlated with the expressive vocabulary score, the cultural vocabulary expressive task score, the overall pragmatic ability and subcategories in pragmatic language task except for the ability to indirect expression in comprehension and management. In conclusion, (1)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ceptive and expression vocabulary test, the total pragmatic competence, (2)in terms of correlation, the mother 's korean vocabulary was more correlated with the child' s language ability than the environmental variable in the multicultural fam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