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임지욱-
dc.creator임지욱-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40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4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5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7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59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on the independence and accuracy of design work for three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workplace where they are really working now, and target behaviors were selected after pre-observation and interviews of their co-workers. Their target behavior was design working.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as a visual support in this study is organizational strategy. This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 with three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During the baseline, they received only verbal direction. During intervention, they were instructed how to use a smart phone for work plan and performance. Three participants worked for design used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at the workplace. The rate of the independence wa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item they were able to carry out independently and the rate of accuracy in working was also calculated by the number of items they accomplished correctly out of total number of items they accomplished correctly out of the total number of item(both numbers would then be multiplied by 100). To examine whether the intervention effect was maintained, the maintenance itself was measured again 4 weeks after termin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ce design working of all three participants with ASD impro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at their workplace. Second, independence design working of all three participants with ASD maintain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at their workplace. Third, accuracy in design work of all three participants with ASD impro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at their workplace. Forth, accuracy in design work all three participants with ASD maintain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at their workplac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dependence and accuracy of design work and the effects can be maintained when applied to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최근 자폐 범주성 장애의 출현율이 급증하면서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지원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는 생애 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장애로, 학령기를 지나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일생에 걸친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오늘날에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독립적인 성인기 삶을 위해 가장 중요한 영역인 직업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자폐 범주성 장애인은 장애 특성으로 인해 특히 직업을 가지기가 힘들고, 직업을 갖게 되더라도 이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이 직업을 가지고 성공적으로 직장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애 특성을 고려한 직장 내 지원이 필요하다.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지원을 제공함에 있어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이 시각적 학습자라는 점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인은 청각적으로 제시된 정보보다 사실적이고 시각적으로 제시된 정보를 처리하는데 강점을 보이기 때문에 이들에게 시각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은 중재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시각적 자료 제시 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으며, 조작이 쉽고 사회적 수용을 높일 수 있다는 강점을 갖는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은 실행기능이나 조직화에 어려움을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시간 관리, 계획하기 등의 영역에서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영역은 직장에서의 독립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기 때문에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적절한 지원이 요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는 시각적 단서를 활용하여 자신의 일과를 스스로 조직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는 다른 사람의 감독이나 촉진 없이 계획한 업무를 순서에 따라 시작하고 완수하는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계획 및 수행 교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장애 특성을 고려한 중재로 특히 직장에서 독립적으로 직무를 수행해야하는 이들에게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직장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계획을 가르치고 이를 수행하였을 때 이들의 디자인 업무 수행률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실제 이들이 근무하고 있는 직장에서 실행되었다. 먼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업무 수행을 관찰하고 이들의 직장 상사와의 면담을 통해 직장에서 가장 지원이 필요한 직무인 디자인 업무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디자인 업무는 실제 직장에서 이들이 가장 많이 수행하는 업무로 원본 그림을 스캔한 후 A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스캔한 그림을 트레이싱하고 웹하드와 메일로 업로드 및 상사에게 보고하는 일련의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중재-유지의 단계로 실시하였고, 유지는 중재가 종료된 4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디자인 업무의 수행률은 일련의 디자인 업무를 과제 분석하여 제시한 전체 단계 중 독립적으로 수행한 단계의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정확도는 연구 참여자가 완료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채점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인 모두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로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수행률이 향상되었다. 둘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인 모두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로 향상된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수행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셋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인 모두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로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넷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인 모두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로 향상된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정확도는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내 디자인 업무의 수행률 및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변화된 행동은 4주 뒤에도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인기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계획 및 수행 교수를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을 직장에서 제공하였을 때 자폐 범주성 장애인도 단순 직종이 아닌 전문적인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음에 의의를 가진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이 실제로 근무하고 있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연구가 실시되었고,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는 점에서 현장 중심의 직무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7 C. 용어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A.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인기와 직업 10 1.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인기 특성과 지원의 필요성 10 2.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업 13 B.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지원 전략 20 1. 시각적 지원 전략 20 2. 조직화 전략 27 C.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계획 및 수행 29 Ⅲ. 연구 방법 31 A. 연구 참여자 31 B. 실험 기간 33 C. 실험 환경 34 D. 실험 설계 및 조건 34 E. 관찰 및 측정 43 F. 관찰자간 신뢰도 46 G. 사회적 타당도 48 Ⅳ. 연구결과 51 A.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가 디자인 업무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 51 B. 변화된 디자인 업무 수행률 유지 55 C.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가 디자인 업무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56 D. 변화된 디자인 업무 정확도 유지 58 Ⅴ. 논의 및 제언 59 A. 논의 59 B. 연구의 제한점 67 C.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88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88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 교수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수행률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 phone on the independence and accuracy of design work for the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t their workplace-
dc.format.pagev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