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16 Download: 0

AAC 그림상징 유형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동작 및 상태 상징인식 비교 연구

Title
AAC 그림상징 유형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동작 및 상태 상징인식 비교 연구
Other Titles
Perception of Ewha-AAC Graphic Symbols for Verbs and Adjective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연석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최근 태블릿 PC의 보급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다양한 기기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접근이 쉬워졌다. 고가의 AAC 기기보다 손쉽게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윈도우, 안드로이드, 또는 iOS 플랫폼 기반의 AAC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급성장하였고 국내에서도 한국어 기반의 다양한 AAC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영어 기반의 AAC 도구를 번역하거나 수정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언어재활 현장에서도 한국어 기반의 다양한 AAC 프로그램 적용이 용이해졌다(연석정, 2017). 그러나 다양한 AAC 기기의 개발과 접근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AAC 어휘 선정과 상징체계의 선택기준이 없고,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현장에서는 많은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가 AAC 적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김영태, 박은혜, 2007).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사람은 철자 상징체계를 사용하여 쉽게 의사소통할 수 있으나 문해 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어린 연령의 아동이나 읽기와 쓰기 학습이 불가능한 심도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단일 의미 상징인 그림상징체계(graphic symbols)를 사용하여 AAC 적용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박은혜, 김정연, 2004). 그림상징체계는 참조하는(referent) 대상이 연상되는 정도인 도상성(iconicity)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림상징의 도상성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명사를 표상하는 그림상징체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추상적인 개념(예, 동사, 형용사)을 시각화한 그림상징체계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Schlosser & Sigafoos, 2002). 또한 그림상징체계 연구가 대부분 정상 성인 또는 정상 발달을 하는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다양한 장애집단으로 확대하여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상징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에서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실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상징이름을 제시하고 상징을 선택하게 하는 과제들이 대부분이여서 실제 일반화하여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AAC 사용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의사소통 목적으로 그림상징체계를 사용하려면 국내 문화와 언어개념을 반영한 상징체계 중심으로 장애 특성, 연령, 언어능력, 및 인지능력을 고려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상징 유형에 따른 동작과 상태를 표상하는 그림상징 인식의 차이와 그림상징의 선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 15명, 지적장애 아동과 수용어휘능력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 및 지적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 총 45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AAC 그림상징은 한국의 언어와 문화 특성을 반영하여 그 타당성이 검증된 이화-AAC 상징체계에서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두 가지 유형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맥락 중립적 그림상징(Context- Free Symbols)은 의미의 표상 방법이 대화맥락에 중립적인 상징이며, 맥락 의존적 그림상징(Context-Bound Symbols)은 구체적인 특정 사물을 제시하여 단일 의사소통 상황에 의존적인 그림상징이다. 그림상징 이름대기 검사는 한 번에 하나의 그림상징을 제시하여 각 그림상징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하여 대답하게 하였다. 그림상징 선택하기 검사는 세 가지 대화맥락(대화맥락-그림상징 일치 조건, 대화맥락-그림상징 불일치 조건, 대화맥락이 없는 조건)에서 짧은 스크립트를 제시하고 검사자의 질문에 그림상징을 선택하여 대답하게 하였다. 그림상징 선호도 검사는 같은 의미의 두 가지 그림상징을 동시에 제시하여 어떤 그림이 더 좋은지 또는 선호하는지 질문하고 하나의 그림상징을 가리키게 하였다. 모든 검사는 삼성 갤럭시 탭 태블릿 PC의 파워포인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과 그림상징 유형에 따른 그림상징 이름대기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아동의 그림상징 이름대기 정확도는 수용어휘능력이 동일한 일반 아동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동일 연령의 또래집단과 비교했을 때는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상징 유형에 따른 그림상징 이름대기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맥락 의존적 그림상징의 이름대기 정확도가 맥락 중립적 그림상징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과 그림상징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아 세 집단 모두 그림상징 유형 간 이름대기 정확도 차이의 크기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대화맥락 조건(대화맥락-그림상징 일치 조건, 대화맥락-그림상징 불일치 조건, 및 대화맥락이 없는 조건), 및 그림상징 유형에 따른 그림상징 선택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 대화맥락 조건, 및 그림상징 유형의 삼차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 중립적 그림상징의 선택 정확도는 세 집단 모두 대화맥락-그림상징 불일치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대화맥락이 없는 조건, 대화맥락-그림상징 일치 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맥락 의존적 그림상징의 선택 정확도는 세 집단 모두 대화맥락-그림상징 일치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대화맥락이 없는 조건, 대화맥락-불일치 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과 그림상징 유형에 따른 그림상징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그림상징 선호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림상징 유형 간 선호도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세 집단 모두 맥락 의존적 그림상징에 대한 선호도가 맥락 중립적 그림상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적장애 아동이 동일 연령의 또래집단 보다 그림상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상징인식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수용어휘능력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 대화맥락이 그림상징 선택 정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상징 유형은 대화맥락-그림상징 일치 조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집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간 그림상징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림상징 유형 간에 차이는 유의하여 모든 집단이 맥락 의존적 그림상징을 맥락 중립적 그림상징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동작 또는 상태의 의미를 전달하는 그림상징 선택 시 연령, 수용어휘능력, 대화맥락, 및 그림상징 유형을 고려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지적수준에 따른 차이 검증과 성인 대상으로 연령을 확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Perception of graphic symbols is influenced by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age, intellectual abilities, language & communication skills, and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graphic symbol perception of the two symbol types(context-free symbols vs context-bound symbols) of school-ag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fteen school-ag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two groups of typically-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n=15, CA-TD group) and for receptive-vocabulary abilities(n=15, RV-TD group) completed the AAC graphic symbol naming task, graphic symbol identification task, and graphic symbol preference task. A Samsung Galaxy Tab S tablet PC with a 10.1-inch. touch screen was used to enable tasks. Task were delivered using Microsoft PowerPoint. For the symbol naming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name each symbol. A total of 46 stimulus, including 23 symbols from each type, were randomly presented to each participant one at a time. In the identification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symbols in three context conditions(context-symbol matched condition, context-symbol mismatched condition, and non-context condition). In the preference task, two symbol types were presented to participants to determine preference between CFS and CBS via a paired-stimulus procedure. A location of CFS and CBS in each page of the stimulus slides was randomly presented during each trial. Data for graphic symbol naming were analyzed using a 3(groups) × 2(symbol types) two-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wo symbol types and three groups. Post hoc analyses using Scheffe’s method revealed that accuracy percentage of symbol naming for ID and RV-T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A-T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D and RV-TD. Accuracy percentage of CBS nam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F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for symbols types and groups. Data for accuracy of identification were analyzed using a 3(groups)×2(symbol types)×3(context condition)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re were significant two-way and three-way interactions for groups, symbol types, and context-condition. All children correctly identified more symbols in the context-symbol matched than context-symbol mismatched and non-context. Percentage mean accuracy of identification scores was higher for CBS than CFS. These interactions revealed that context condition and symbol types affect identification of symbols. Data for graphic symbol preference were analyzed using a 3(groups)×2(symbol types) two-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his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symbol types. All children prefer CBS to CFS. However, there was no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for symbols types and groups. This study revealed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with perceiving graphic symbols representing verbs and adjectives. To select the best matching graphic symbol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o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or AAC specialists should consider the symbol type, conversation context and receptive-vocabulary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