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1 Download: 0

국악 기악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Title
국악 기악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Rubric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Music Instruments : Centeredon 2009 Revision 'MusicandLife'
Authors
선유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2009 개정 ‘음악과 생활’의 국악 기악 수행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대상 악기는 ‘음악과 생활’에 제시되어 있는 국악 실기 영역의 악기인 관악기(단소·소금), 장구, 사물놀이이며 대상 악기의 모든 제재곡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악기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개발된 국악 기악 루브릭은 교과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음악 수업에서 체계적인 국악 교육 및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교육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준을 위한 평가 도구로 ‘루브릭(Rubric)’을 선정하였다. 루브릭은 수행 결과의 질적인 특징을 서술식으로 표현한 채점척도로 학습자의 음악적 행위를 판단하는 음악과 수행평가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루브릭 평가 도구의 4가지 유형 중 ‘학습의 구체적인 진단과 처치’ 그리고 ‘수업-평가의 일체화’와 같은 수행평가 목적에 적합한 형태로 분석적 루브릭을 사용하였다. 여러 개의 분리된 척도를 사용한 분석적 루브릭은 학습자의 수행 성취도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진술을 사용하여 수업 반성 및 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수행평가의 본질적인 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이다. 고등학교 국악 기악 영역의 분석적 루브릭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국악 기악 루브릭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9 개정 ‘음악과 생활’의 성취기준과 10종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토대로 국악 기악 평가에 적합한 11개의 평가 준거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바른 연주 자세”, “연주법”, “장단”, “셈여림”,“가락”, “시김새 표현”, “음역의 이해”, “변형 장단”, “한배에 따른 형식”, “반복과 대조”, “호흡(앙상블)”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평가 준거는 3인의 국악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국악 기악 평가 준거로서의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또한 국악전문가에게 11개로 도출된 평가 준거 간 부분적인 통합의 가능성을 확인받아 관악기에는 5개, 장구에는 4개, 사물놀이에는 5개의 루브릭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루브릭 개발 절차 이론에서 살펴본 적절한 평가 척도 개수인 3∼5개의 조건에 부합하여 척도 설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과정을 통해 개발된 루브릭은 서울·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현직 교사 15인에게 ‘메타루브릭(Metarubrics)’을 사용하여 루브릭의 구성 및 현장 적합성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모든 악기의 루브릭에서 심동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이 추가되었으며, 사물놀이 루브릭에서는 합주의 특성을 포함한 구체적인 용어의 필요성에 따라 루브릭을 수정하였다. ‘메타루브릭’을 통해 수정된 루브릭은 현장 적합성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교 수행평가 현장에 적용되었다. 현장 적용 결과, 장구와 사물놀이 루브릭은 추가 수정 없이 현장에 적합한 루브릭으로 평가받았으며 관악기 루브릭은 모든 척도의 ‘하’ 수준을 재설정하여 실제 학습자의 수행 수준에 적용 가능한 최종 루브릭으로 개발하였다. 현장 적용에 참여한 현직 교사는 루브릭 활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진술하였으며, 진술 내용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루브릭의 현장 적합성 및 긍정적인 효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현직 교사는 루브릭의 적용을 통하여 ‘교수 준비의 유용성, ‘구체적인 평가 기준 제공’, ‘평가의 신뢰도 향상’을 장점으로 진술하며 루브릭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둘째, 현직 교사는 루브릭의 기대효과로 ‘교수 계획 수립’, ‘세부적인 평가 기능’, ‘능동적인 학습 반성 기회 제공’, ‘평가에 대한 인식 변화’, ‘평가 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전망할 수 있었다. 셋째, 현직 교사는 적용된 루브릭을 통하여 경험한 긍정적인 영향에 따라 루브릭의 지속적인 사용 의향을 밝혔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악 기악 수행평가에 적합한 성취기준을 토대로 4∼5개의 평가 척도와 고등학교 일반 교과에 적합한 3단계의 성취수준을 설정하여 관악기(단소·소금), 장구, 사물놀이의 분석적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루브릭은 실제 ‘음악과 생활’의 학습자에게 적용되었으며 이 결과에 따라 현장 적합성 검증을 받은 최종 루브릭을 완성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루브릭이 공교육에 적용됨으로써 질 높은 교육 환경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한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bjective and fair evaluation too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music instruments in 'Music and Life'. The target musical instruments are wind musical instruments (Danso, Sogeum), Janggu, and Samulnori which are musical instruments of the practical performance area of Korean music presented in 'Music and Life' and developed to be applicable to all the music for the target musical instruments. The Rubric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Music Instruments, which is designed specificall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instruments, can be expecte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and evaluation in music lessons that require specialized expertise. In this study, 'Rubric' was selected as an evaluation tool for objective and fair standards of music education. Rubric is a scoring scale that expresse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results and is suitable for music and performance evaluation to judge the learners’ musical behavior. Analytic rubrics were us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purposes such as 'specific diagnosis and treatment of learning' and 'unification of class-evaluation'. An analytic rubric using several separate scales can accurately identify learners' performance. It is a suitable evaluation tool that meets the intrinsic purpose of performing assessment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reflected in class reflection and planning using concrete statements. The results of analytical rubric development of the high school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ment area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11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instrumental music were derived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09 revised 'Music and Life' and the contents of 10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a traditional instrumental rubric.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rrect playing posture", "playing method", "changed beat", "dynamic", "garak", "expression of sigimsae", "understanding of transliteration", “varied rhythms”, “Forms according to tempo”, “repeat and contrast", and ”(ensemble)". The evaluation criterion derived was verified as a criterion for evaluation of instrumental music through interview with three Korean music experts. The rubrics were composed of 5 rubrics, 4 rubrics, and 4 rubrics in the windins truments, Janggu and Samulnori. These results comply with 3 to 5 condition, suitable evaluation scale reviewed in rubric development procedure theory to check the validity of scale set. Rubrics developed by the above method were evaluated by 15 teachers who have worked at their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do, applying Metarubrics for local conformity. As a result, to rubrics of all the musical instruments, psychomotor domain and affective domain were added. In rubric of Samulnori, specific terms were added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concert to improve the effect of concert. Revised rubrics applicable with metarubrics were applied to schools. As a result, Janggu and Samulnori rubrics were evaluated properly without additional revisions. But Wind rubrics were developed finally to apply to actual learner performance by resetting ‘the lowest levels of all the scales’ Presen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local applications expressed positive effect by using rubrics as follows. The local conformity and positive effect of rubric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checked once again by the statements. First, present teach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rubrics describing advantages of rubric such as 'availability of teaching preparation', 'providing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rubrics. Second, present teachers can expect 'establishing teaching plan', 'detailed evaluation function', 'providing active learning reflection opportunity', 'changing perception of evaluation', and 'improving reliability of evaluation results'. Third, present teachers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to use rubrics in accordance with positive effect that they experienced through rubrics appli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above suitable to evaluat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performance, 4 to 5 evaluation scales and 3 achievement steps suitable for general high school subjects were established. The analytic rubrics of wind instruments (Danso, Sogeum), Janggu, and Samulnori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rubrics were applied to the real learners of 'music and life'. And the final rubrics verified by local conformity were completed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of rubrics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of Korea that can be evaluated objectively and fairly can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of high school music. Lastly, I hope that the professional and objective rubric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by applying to publ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