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경-
dc.contributor.author박소연-
dc.creator박소연-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9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55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7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music creation lesson using smart app affected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music creation class. For this purpose, 63 student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divided into Group A and Group B. Each of them was applied to music creation class using smart app and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a research tool, was analyzed by using SPSS ver.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t-test were conduct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Moreover,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documenting individual interviews, open-ended questions, and teacher observation report after the cours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interest and satisfaction of the two groups.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by groups, Group A using smart ap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interest and satisfaction, whereas Group B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interest and satisfaction. Secon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Group A with smart app showed interest in a new form of music creation lesson and continued their interest even after completing the tasks. On the other hand, Group B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howed interest in touching musical instruments rather than music creation, and their interest in class varied depending on individual musical competence such as music dictation and music literacy. The result showed that using smart app in which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was more efficient to enhance their interest in music class than the traditional music class with notation and music-reading. Third, Group A using smart app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smart app, experiencing the sense of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directly participating in music creation and listening to their completed music together. In contrast, Group B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howed different satisfaction on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musical instruments usage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musical competence, like the aspect of interest. Fourth, the analysis of the completeness of students’ works and their contents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Group A using smart app had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and perfection of the contents than Group B, and the influences of the students’ musical competence were relatively small. Fifth, since the musical creation class using smart app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its creation and playing, it was difficult to foster classroom environment, such as preparing the devices or checking the smart app, although it took less time th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 It demonstrated that a lot of tim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accompany to lead the music class using smart app in the places without smart environment.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develop music creation class using smart app and to apply the class to actual middle school students, proving its effectiven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moting studies on effective music creation lessons and to making more students enthusiastically engaged in music creation class.;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앱을 활용한 음악창작수업이 중학생의 음악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음악창작수업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63명을 A집단과 B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스마트앱을 활용한 음악창작수업과 전통적인 음악창작수업을 실시하고 스마트앱을 활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얼마나 효과적인지 비교하였다. 연구 도구인 설문지는 SPSS Ver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후 실시한 개별 면담과 개방형 문항, 교사관찰일지 등의 자료를 문서화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분석 결과 두 집단의 사후 흥미·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별로 사전과 사후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앱을 활용한 A집단은 흥미도와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B집단은 흥미도와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 분석 결과 스마트앱을 활용한 A집단은 새로운 형태의 음악창작수업에 보다 관심을 보였으며 과제를 완성한 이후에도 수업에 대해 지속적인 흥미를 보였다. 반면, 전통적인 수업의 B집단의 경우 음악창작보다는 악기를 만지는 것에 관심을 보였으며 시창‧청음이나 독보력 등 개인의 음악적인 능력에 따라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보와 독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방식의 음악창작수업보다는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앱을 활용하는 것이 음악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스마트앱을 활용한 A집단은 음악창작에 직접 참여하고 완성된 음악을 함께 감상하는 과정에서 대체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꼈으며 스마트앱의 사용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냈다. 반면,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B집단의 경우 흥미도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음악적 능력에 따라 음악 창작에 대한 성취감과 악기의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성취감과 만족도는 음악을 창작한 후 자신의 창작물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극대화 되는데, 전통적인 수업보다는 스마트앱을 활용한 수업에서 그 과정이 더욱 수월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두 집단의 작품의 완성도와 음악창작 내용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앱을 활용한 A집단이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B집단에 비해 수업내용의 이해도나 작품의 완성도가 높았으며, 학생들의 음악적 역량이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스마트앱이 학생들의 음악창작을 쉽고 간편하게 해주었기 때문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다섯째, 스마트앱을 활용한 음악창작수업은 창작과 연주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통적인 음악창작수업에 비해 소요되는 시간은 적었으나 기기를 마련하거나 스마트앱 구동을 확인하는 등 수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스마트 환경이 조성되어있지 않은 곳에서 스마트앱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재정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앱을 활용한 음악창작수업 지도안을 개발하고 실제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그 효과성을 입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음악창작수업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많은 학생들이 음악창작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2 C. 연구의 내용 3 D. 용어의 정의 3 E.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스마트앱을 활용한 음악창작활동의 중요성 6 B. 음악교육에서 흥미만족도의 중요성 11 C. 음악창작수업을 위한 스마트앱 12 D. 선행연구 고찰 21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4 A. 연구대상 24 B. 연구설계 24 C. 연구절차 25 D. 연구도구 36 E.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40 Ⅳ. 연구결과 및 분석 42 A. 연구 참여자의 특성 42 B. 집단에 따른 사전 흥미도만족도의 동질성 검증 45 C. 집단에 따른 흥미도만족도 비교 46 D. 질적 분석 결과 48 Ⅴ. 결론 및 제언 69 참고문헌 73 부록1. 설문지 77 부록2-1. 스마트앱을 활용한 음악창작수업 지도안 82 부록2-2. 전통적인 음악창작수업 지도안 90 부록3. 수업 활동지 98 부록4. 전통적인 음악창작수업 악보 101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691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스마트앱(App)을 활용한 음악창작수업이 중학생의 음악수업에 대한 흥미·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usic Creation Lesson Using Smart App on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usic Class-
dc.format.pagevii, 104 p.-
dc.contributor.examiner류정연-
dc.contributor.examiner최은식-
dc.contributor.examiner박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