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소혜-
dc.contributor.authorNI, XUBING-
dc.creatorNI, XUBING-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12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1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1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137-
dc.description.abstract과학 기술의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같은 작품을 다양한 매체 형식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중에 소설을 기반으로 각색한 드라마 열풍이 세계적 범위로 불고 있다. 하지만 각색 드라마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원작 소설과 드라마의 스토리텔링에 집중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수용자의 심리에 초점을 두어 先 소설 後 드라마 수용자와 先 드라마 後 소설 수용자가 소설과 드라마의 수용과정에서 각각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하고 매체의 수용선후에 따라 수용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도록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을 보면 우선 2장에서 연구배경과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소개한다. 소설 원작과 각색한 드라마의 개념을 소개하고 발전과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소설과 드라마 간의 특성 차이를 비교하고 트랜스미디어의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였다. 다양한 수용자의 심리에 초점을 두었기에 선행연구를 찾아보고 각색 드라마의 수용동기와 수용효과를 정리하여 분석했다. 3장에서는 연구문제와 연구대상을 제시하였다. 원작 수용을 통해 각색 드라마에 어떤 기대가 있는지, 기대에 부합하는지, 원작 수용을 하지 않음으로써 수용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원작수용자의 역할 등 문제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사례를 소개하고 연구방법으로 질적 방법론에 대해 소개했다. 『마이 선샤인』은 원작과 각색 드라마가 모두 성공한 작품이기에 연구사례로 선정하고 그 줄거리와 스토리텔링 변형 부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질적 방법론에 대해 인터뷰 문제를 어떻게 작성하였는지, 결과를 어떻게 분석하였는지를 소개하였다. 5장은 인터뷰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결과를 정리하였다. 주로 (1) 원작 수용자의 복합적인 동기 및 높은 신뢰도, (2) 수용 과정에서 원작과 비교하는 심리, (3) 각색 드라마에 기대 및 우려, 이 3 가지 측면에서 先 소설 後 드라마 수용자와 先 드라마 後 소설 수용자 간의 수용효과 차이를 파악하였다. 6장은 마지막 부분으로써 앞에서 논의한 내용들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정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1 B. 문제제기 및 연구의미 2 Ⅱ. 이론적 배경 4 A. 각색 TV 드라마의 의미 및 전개 4 1. 소설 원작을 각색한 드라마의 개념과 정의 4 2. 소설 원작을 각색한 드라마의 발전과 현황 6 B. 매체 전환에 따른 스토리텔링 변형 9 1. 소설과 드라마 간의 특성 비교 9 2.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의 및 구성요소 13 3. 스토리 변형에 따른 원작 충실도 17 C. 각색 드라마 수용자에 대한 이론적 검토 20 1. 각색드라마 수용동기 20 2. 각색드라마 수용효과 23 Ⅲ. 연구문제 및 모델 26 Ⅳ. 연구방법 29 A. 연구사례 29 1. 연구사례 선정 이유 29 2. 줄거리 요약 30 3. 변화된 스토리 부분 31 B. 연구 방법 33 1. 질적 방법론 33 2. 인터뷰 문제 작성 37 3. 분석 방법 38 Ⅴ. 연구결과 39 A. 원작 수용자의 시청동기 및 사회 역할 39 1. 원작 수용자 시청동기의 복합성 39 2. 원작 수용자의 사회적인 역할 45 B. 수용과정에서 원작과 비교 47 1. 원작 고유한 내용에 중시 47 2. 변형이나 추가하는 내용에 관심도 차이 59 C. 각색 드라마에 대한 기대 및 걱정 65 1. 원작 기준으로 각색된 대본에 높은 신뢰감 65 2. 일정하지 않은 제작수준에 따른 걱정 67 Ⅵ. 결론 및 논의 69 참고문헌 72 부록1. 심층 인터뷰의 설문지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75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원작소설과 각색드라마의 수용선후가 수용양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마이 선샤인』의 중국사례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 85 p.-
dc.contributor.examiner박동숙-
dc.contributor.examiner최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