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현주-
dc.contributor.author박세희-
dc.creator박세희-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50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5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9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99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75-
dc.description.abstractSince digital-storytelling allows students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in the form of stories and to share them through SNS, the students often feel more confident in suggesting, sharing and practicing ideas. In this study, therefore, we adapted the digital-storytelling (DST) approach to SSI instruction. One hundred twenty two 9th grade students, located in G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DST-based SSI program over a semester. Data was collected by two questionnaires to examine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s as citizen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In addition, 24 students voluntarily responded to focus group interviews after the instruction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on DST-based SSI instruc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student’ mean scores on the questionnaires (i.e.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s as citizen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DST-based SSI instruction, especially, in the area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a literac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This program revealed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accountability for SSI and moral sensitivity. The interview data also supported the quantitative results. The students felt that DST-based SSI instruction provided them good opportunities for searching relevant information using smart devices and so being able to learn the related content more in depth. In addition, the students enjoyed re-constructing their understanding into a story, and it helped them to retain their understanding. Making DST also encouraged the students to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design, subtitles, sound, and music in screen composition and scene presentation, and it guided them to construct their opinions more sophisticate. This study revealed the potentials of DST-based SSI instruction as a good strategy to support students’SSI engagement.;디지털스토리텔링은 스토리 제작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결과물을 SNS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 결과를 타인에게 제안하고 공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에게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SSI 수업을 적용하여, 수업 적용 전과 후에 21세기 시민 핵심역량, 인성과 가치관에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6개 학급의 학생 122명이 한 학기 동안 참여하였다. 수업은 1주일에 4차시씩 진행되는 정규 수업 시간동안 이루어졌으며, 평소에는 교과서 진행을 따르는 일반적인 과학 수업을 진행하되 단원마다 해당 단원에 관련된 주제의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SSI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과학 교과의 4개 대단원과 관련된 SSI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참여 학생들은 수업 전후에 21세기 핵심역량, 인성과 가치관을 측정하는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또한 검사에 참여한 학생들 중 24명을 선정하여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SSI 수업에서의 경험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SSI 수업 후 학생들의 핵심 시민역량 중 정보기술 및 미디어 활용능력,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영역, 그리고 인성과 가치관의 영역 중 사회·도덕적 공감 영역의 하위인 도덕·윤리적 민감성 영역,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 영역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면담 결과, 학생들은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SSI 수업을 통해 능동적인 정보 검색의 기회를 얻게 되었으며, 관심 있는 부분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SSI 관련 디지털 스토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학습한 내용을 재구성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학습내용을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기억을 장기화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스토리를 제작하는 활동에서 학생들은 화면 구성, 장면 연출에 디자인, 자막, 음향, 음악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자신의 의사를 더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고민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학습한 내용을 이야기에 담아 표현함으로써 맥락적인 학습, 공감을 통한 학습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ocio-Scientific Issues) 교육 5 1. SSI 교육의 개념 및 특징 5 2. SSI 교육의 효과 7 3. SSI 교수·학습 방법 12 B. 디지털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 14 1. 디지털스토리텔링의 개념 및 특징 14 2. 디지털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적용 16 3.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의 효과 19 Ⅲ. 연구 방법 22 A. 연구 참여자 22 B.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SSI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22 1. 디지털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을 통한 수업 진행 단계 구성 23 2. 교과서 대단원에 따른 SSI 주제와 DST 활동 선정 25 C. 자료 수집 27 1. 검사 도구 27 2. 면담 29 D. 자료 분석 30 Ⅳ. 연구결과 32 A. 21세기 시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32 1. 협업능력 33 2. 정보기술 및 미디어 활용능력 36 3.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41 4. 의사소통능력 45 B. 글로벌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 및 가치관 47 1. 생태학적 세계관 48 2. 사회·도덕적 공감 51 3.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 57 C. 학생들의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SSI 수업에서의 경험 62 1. 탐색 단계 62 2. 사전 제작(콘티 제작) 단계 65 3. 디지털스토리 제작 단계 75 4. 웹상 공유 및 피드백 단계 83 Ⅴ. 결론 및 제언 88 참고문헌 93 부록1. 활동지(전기와 자기) 100 부록2. 활동지(외권과 우주개발) 103 부록3. 활동지(생식과 발생) 105 부록4. 수업 PPT자료(전기에너지 절약) 106 부록5. 학생 작품 결과물(전기에너지 절약) 108 부록6. 학생 작품 결과물(화학물질에 의한 환경오염) 109 부록7. 학생 작품 결과물(우주개발에 대한 예산투자) 110 부록8. 학생 작품 결과물(환경호르몬과 생식) 111 부록9. 빈도분석(21세기 시민 핵심역량) 112 부록10. 빈도분석(인성 및 가치관) 117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985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역량 및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Digital-Storytelling-based SSI Program on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 as Citizens-
dc.format.pagevii, 121 p.-
dc.contributor.examiner김성원-
dc.contributor.examiner한인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