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4 Download: 0

말 늦은 유아(late talker)와 일반 유아 주양육자의 직접발화 및 간접발화 비교

Title
말 늦은 유아(late talker)와 일반 유아 주양육자의 직접발화 및 간접발화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irect and overheard speech of the primary caregiver of late talker and typically development infant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주양육자는 유아가 태어나 최초로 인식하는 타인이며, 아동의 언어, 인지, 정서, 사회성 등 발달시기에 가장 오랫동안 상호작용하는 사람으로 주양육자와 유아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S아동의 언어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Schickedanz, 1978). 따라서 주양육자의 언어는 유아에게 영향력 있는 변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양육자와 유아 간 성공적인 의사소통 경험이 축적될수록 아동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유아기의 아동들은 언어능력수준에 많은 가변성을 보인다(Fenson et al., 1994). 이러한 가변성은 개인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유전적 요인과 같은 유아의 내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Oliver & Plomin, 2007), 유아기 때 부모로부터 자극되는 초기 언어 경험의 양도 상당하다. 한편 유아의 초기언어와 손짓에 반응해주는 부모가 제공하는 언어적 입력 양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부모와 유아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더 많은 대화와 다양한 어휘 및 제스처를 사용하여 유아의 언어습득에 도움을 준다면 이후 아동의 어휘력과 문법적 발달에서 언어적 입력이 풍부하지 못한 아동에 비해 우수한 수행력을 보일 수 있다고 한 바 있다(Hart & Risley, 1995; Hoff, 2003; Pan, Rowe, Singer, & Snow, 2005; Rowe & Goldin-Meadow, 2009; Huttenlocher, Waterfall, Vasilyeva, Vevea, & Hedges, 2010).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주양육자가 유아에게 풍부한 언어자극을 제공하는 입력양에 따른 말 늦은 유아와 일반 유아 집단 간 차이를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말 늦은 유아와 일반 유아 집단 주양육자들 간의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해 (a) 각 집단 주 양육자의 직접발화와 간접발화의 빈도수와 (b) 직접발화의 하위유형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생활연령 18~36개월의 말 늦은 유아와 주양육자 16쌍(남 11, 여 5), 그리고 이들과 생활연령이 일치하는 일반 유아와 주양육자 16쌍(남 10, 여 6)으로 총 32명이었다. 먼저 영아선별 교육진단검사(DEP)를 실시하여 인지능력이 정상범주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언어적 수행력에 따른 집단을 나누기 위해 영⋅유아 언어발달 선별검사(SELSI)와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 M-B CDI)를 실시하여 –1.25표준편차의 기준으로 말 늦은 유아와 일반 유아 집단을 구분하였다. 주 양육자는 모두 전문대 졸업이상의 학력과 30-40대 연령에 속하며, 유아 부모교육 또는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참가경험이 없는 주양육자들로 제한하여 선정하였다. 이후 주양육자의 가정 내 일상생활 상황에서 나타나는 주양육자의 직접발화 및 간접발화를 분석하기 위해 각 가정에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암밴드를 제공하여 일주일간의 일상생활 상황 녹음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에 다른 직접발화 빈도수 및 간접발화 빈도수에 대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2-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말 늦은 유아 주양육자와 일반 유아 주양육자의 6가지 직접발화 하위유형에 대한 차이가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 늦은 유아 주양육자 집단에서 보다 일반 유아 주양육자 집단에서 직접발화 빈도수가 유의하게 높게 산출하였다. 둘째, 주양육자의 직접발화 6가지 하위유형 중 질문하기, 시도하기, 설명 및 명명하기, 요구하기 유형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말 늦은 유아 주양육자가 일반 유아 주양육자 보다 질문하기, 요구하기 유형에서 유의하게 높게 산출한 반면, 반응하기, 설명 및 명명하기, 시도하기 유형에서는 일반 유아 주양육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말 늦은 유아 집단에 비해 언어 수행력이 높은 유아 집단에서 주양육자의 직접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이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여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발화한 비율이 높을수록 이후 유아의 어휘가 빨리 성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현어휘수가 더 높다고 밝힌 선행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 일반 유아의 주양육자가 유아에게 '반응하기'유형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말 늦은 유아의 주양육자가 유아와 상호작용할 때 '질문하기' 유형이 보다 높게 산출하는 것을 확인하여 집단 간 발화 유형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주양육자가 유아와 대화를 시도할 필요성은 있으나 유아에게 질문하기보다 유아가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것을 모방하거나 언어적으로 확장시켜 반응해주는 것이 유아의 언어능력을 촉진시킨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자면,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양육자와 유아 간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어떠한 언어적 형태로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지를 확인한 점에서 본 연구는 임상적 의의가 있다.;Because mothers are the first others the toddlers recognize in addition to spending the longest time interacting with the children during their linguistic,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lingu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toddler plays a great role in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Schickedanz, 1978). Therefore, because the mother's language is the most meaningful and impactful variable for the toddler, the more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experience between the mother and the toddler cumulates, there exists positive effect for the child’s lingual development. Additionally, children during their toddler years show much variability in their levels of lingual competencies (Fenson et al., 1994). Variability like this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personal differences. While the variability may be affect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genetics (Oliver & Plomin, 2007), initial language experience instigated by the parents during toddler years also takes a great part. Verbal inputs provided by the parents in reaction to the toddler's early language and gesture can affect the toddler's linguistic competencies. If more communication along with various vocabulary and gesture, compared to the ones by the other parents, is used to help developing the child's language during the lingu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parents and the children(Hart & Risley, 1995; Hoff, 2003; Pan, Rowe, Singer, & Snow, 2005; Rowe & Goldin-Meadow, 2009; Huttenlocher, Waterfall, Vasilyeva, Vevea, & Hedges, 2010).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bove, there rose a necessity to examine the abundancy of linguistic stimulation input, and the linguistic competencies of late-talking infant (LT). Accordingly, this experiment, in order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thers of late-talker (LT) and typically development infant group (TD), will examine (a) the frequency of child-direct speech and overheard speech, (b) subtypes of child-direct speech. Thirty-two pairs of mother-child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16 pairs of late-talking infants with their mothers (18~36month, 11 male, and 5 female) and 16 pairs of typically development infants of the same age with their mothers (18~36month, 10 male, and 6 female). First of all, DEP (Developmental assessment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planning, Chang et al., 2013) was administered in order to make sure the cognitive competency of the population was within the range of normal, then, in order to separate the groups according to the linguistic ability,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Kim et al., 2003) and K M-B CDI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Bae & Kwak, 2011) were administered which entailed the successful classification of the LT and TD group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negative one.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mothers' child-direct speech and overheard speech in their daily lives, each family was provided with a pair of a smart-phone and an armband for smart-phones so that they could record the everyday situations for a week. To find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frequency of child-direct speech and overheard speech, 2-way mixed ANOVA was analyzed; One-way ANOVA was us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late-talking children's mother and the group of typically development children's mother.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s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group of typically development children's mothers had higher child-direct speech than the group of late-talking children’s mothers by a meaningful amount. Second, among six different subtypes of child-direct speech by mothers, there existed a statistical gap between the groups in 'question,' 'attempt,' 'explanation & naming,' and 'demand'. In other words, while LT mothers group showed higher result in 'question,' 'demand'than the TD mothers group, the result for the LT mothers group was lower in 'reaction,' 'explanation & naming,' and 'attempt'. Through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in terms of child-direct speech by the mother's child group with higher linguistic ability tha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ersi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proves previous studies of which argued that higher frequency of child-direct speech helps developing the child's vocabulary faster which further causes higher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In addition, just like th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exists the gap among the groups in terms of speech type by confirming that while mothers of TD children's 'reaction' type appeared to be higher, mothers of LT children's 'question' type appeared higher. Therefore, although it is necessary for the mothers to try communicating with the children, allowing children to expand their language abilities and imitate the interaction rather than questioning children that stimulates their linguistic competency. In summary, through the result above, although the experiment proves that the mothers' direct lingu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us the study holds clinical meaning as it confirms the language type when interacting with the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