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윤해림-
dc.creator윤해림-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41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4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5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5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40-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ce of brothers and sisters have a strong influence on child development. However, nondisabled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limited positive influence from interactions with their siblings compared to other sibling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lso, some parents are not interested in a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nondisabled children because they have to intensively care for their child with disabilities. Considering this restrictive environment and inappropriate interaction, it requires a special exertion for nondisabled siblings to have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ctivities based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on nondisabled siblings’ self-concept, social behavior,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wenty nondisabled sibling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have a sibling who use the community center and special education school, community relief center church. I was divided them into groups of ten. One group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one was a control group.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upper grades and lower grades and then into three small groups. The experiment was proceeded for 6 mon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nondisabled siblings’ self-concept(이경화, 고진영, 2006; Marsh, 1984), Home and Community Social Behavior Scale-2(Merrell, 2008), and communication scale with their parents(Barnes & Olson, 1982).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ANCOVA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nondisabled siblings’ Self-Concept level.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nondisabled siblings’ Social Ability level.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nondisabled siblings’ Communication ability with their parents’ level.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group activity by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for nondisabled siblings prove that it was an effective improve of their emotional ability such as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ability with their parents. However the results of social ability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This study has implication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ggest detailed method for nondisabled siblings, because the participants learn to control social emotional conflict and problems by this program. Second, the support for nondisabled siblings can improve the family’s interaction. Third, for their sakes alone, this study gives a chance to share their thought and emo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a follow-up study for disabled children’s whole family.;형제는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장애학생을 형제로 둔 비장애형제는 형제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충분히 누리기가 어렵다. 같은 이유로 부모는 장애를 가진 자녀에게 신경을 쓰느라 상대적으로 비장애형제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소홀하게 되기도 하며 일부는 부정적인 관계를 맺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제한적인 환경과 부적절한 상호작용을 고려할 때 비장애형제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위해서는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프로그램에서는 초등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초등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행동,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특수학교, 복지관, 교회를 이용하는 장애형제를 둔 초등 비장애형제 20명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10명은 학년을 고려하여 총 3개의 소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연구기간은 6개월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이 초등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행동,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자아개념 척도(이경화, 고진영, 2006; Marsh, 1984)’, ‘가정 및 지역사회 사회적 행동척도(Merrell, 200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척도(Barnes & Olson, 1982)’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이 동질하지 않은 사회적 행동은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에 참여한 초등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보다 유의하게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에 참여한 초등 비장애형제의 사회적 행동 변화정도와 통제집단 비장애형제의 사회적 행동변화 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에 참여한 초등 비장애형제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 비장애형제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이 초등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사회적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하여 비장애형제가 겪을 수 있는 일반적인 정서갈등과 어려움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장애형제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형제만을 지원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가족전체를 지원함으로써 비장애형제를 지원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II. 이론적 배경 7 A. 비장애형제의 사회정서능력 7 1. 형제의 장애가 비장애형제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7 2. 비장애형제의 정서적 요구 9 3. 형제지원 선행연구 12 B. 사회정서학습 15 1. 사회정서학습의 정의 및 특성 15 2. 사회정서학습의 5가지 핵심 역량 16 3. 사회정서학습의 효과 18 III. 연구 방법 21 A. 연구 참여자 21 B. 실험기간 및 장소 23 C. 독립변인: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 24 1. 구성절차와 내용 24 2. 매 차시 진행방식 32 D. 종속변인 측정도구 33 1. 자아개념 척도 33 2. 가정 및 지역사회 사회적 행동 척도 34 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35 E. 실험설계 및 절차 36 1. 사전검사 36 2. 중재: 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 36 3. 사후검사 37 F. 자료처리 및 분석 38 G. 중재충실도 38 H. 사회적 타당도 39 IV. 연구 결과 42 1.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42 2. 비장애형제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43 3. 비장애형제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44 V. 논의 및 제언 45 A. 논의 45 1.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45 2.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47 3.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47 B.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0 참고문헌 52 부록 64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89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정서학습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이 초등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행동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mall Group Activities Based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on Nondisabled Siblings' Self-Concept, Social Behavior,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c.creator.othernameYun Hae Lim-
dc.format.pagevi, 83 p.-
dc.contributor.examiner이숙향-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