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신재은-
dc.creator신재은-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22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2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7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7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28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생으로부터 폭력 피해를 당하는 교사들의 사례가 언론을 통해 많이 보도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생을 보호해야 하는 교육자로서의 입장이나 불미스러운 사건을 알리고 싶어 하지 않는 학교의 사정으로 인해 폭력 피해를 경험하였더라도 이를 공론화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학교폭력법)’은 학교폭력을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폭력 사건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폭력을 당하는 피해 교사는 보호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근 교권침해 사건으로부터 교사를 보호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교원의 지위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교권보호법)’은 사후처리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교사 대상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나 교사가 개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은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국내에서 교사 대상 폭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그마저도 단순한 실태조사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폭력 피해 교사의 회복 요인을 탐구한 연구는 대부분 질적 연구로 수행되어 제한된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에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학생에 의한 교사 대상 폭력의 실태와 이로 인한 교사의 정신건강상의 손상을 알리고, 이로부터 교사를 보호해줄 수 있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은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심리적 외상이며, 이들의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교사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개입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학생으로부터의 교사 대상 폭력의 피해 실태를 알아보았다. 둘째,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교사의 심리사회적 변인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셋째,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심리적 외상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을 조사하기 위하여 직접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중학교 교사 585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여 최종적으로 총 49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년 간 학생에 의한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는 494명 중 307명으로, 응답자 중 62.1%가 지난 1년 간 교사 대상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많이 경험한 폭력의 유형은 ‘비방 및 배제’(279명)였으며, 다음으로 ‘언어적 폭력’(237명), ‘신체적 위협’(210명), ‘신체적 폭력’(31명) 순이었다. 지난 1년 간 전체 연구대상자가 경험한 교사 대상 폭력은 7.13회였으며, 피해 교사만을 대상으로 집계하였을 때는 평균 11.48회였다. 이어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폭력 피해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본 결과,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부장교사보다는 일반교사일수록, 담임교사일수록 유의하게 폭력 피해 경험이 높았다. 폭력 유형별로 살펴보면 여성은 남성보다 ‘신체적 위협’을 더 많이 경험하였으며, ‘신체적 폭력’은 담임교사 여부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기간제/기타 여부에 따라서는 모든 폭력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 대상 폭력 경험과 교사의 심리사회적 변인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에 앞서, 독립변수변수 t 검증을 통하여 폭력 피해 경험 유무에 따라 각 변인들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들의 정신건강 상태와 자아탄력성 수준, 사회적 지지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어서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교사의 심리사회적 변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폭력 피해 경험과 심리적 외상은 정신건강 상태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 상태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영향력의 크기는 심리적 외상,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폭력 피해 경험 순이었다. 셋째,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심리적 외상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심리적 외상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이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심리적 외상을 통한 간접적 영향 또한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넷째,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아탄력성과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방식은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은 교사 대상 폭력의 피해 경험에 대한 보호요인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생에 의한 교사 대상 폭력 피해의 실태를 조사하고 학생에 의한 폭력 피해 경험이 교사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교사 대상 폭력의 심각성을 알리고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알렸다. 그리고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변인의 역할을 확인하고 학생에 의한 폭력 피해로부터 교사의 정신건강을 보호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앞으로 이에 대한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Recentl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ases reported where teachers suffer from student violence. Despite the magnitude, however, it is highly unlikely that teachers can publicize their experiences due to their status as an educator who is bound to protect their students or due to their school’s attitude toward the matter, where the school does not want to reveal any potentially disgraceful deeds of its own. Moreover, while the Act on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School Violence Act) was established a few years ago, its definition of school violence is restricted to those targeted to students, thus not serving to protect those teacher victims. Also, the Special Act on Improvement of Teacher’s Status and Prot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 Protection Act), which has recently been implemented to protect teachers from teacher’s authority infringement, puts its focus on the follow-up treatments only, not presenting any practical solutions such as how teachers can prevent or deal with the violence towards themselves. Furthermore, research on violence against teachers has attracted little attention in Korea, most of which holds nothing more than a simple survey. Even those studies that aim to examin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recovery of teacher victims were mostly conduct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a small number of cases, which poses challenges to drawing generalizations. The primary aim of the present thesis is to reveal the rea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and the consequent damage to teacher’s mental health and to investigate those psychosocial factors that help promote teacher’s well-being. The very factors that are presented to affect teacher’s mental health are self-resilience, coping,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trauma. With these factors, the present thesis further attempts to serve as a fundamental study towards developing strategies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teachers, by examining their own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se aims, I suggested the main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a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Second, how do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 their mental health? Third, does psychological trauma caus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Fourth, how strongly do teacher’s self-resilience, coping,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To look into the rea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an on and offline survey based on a questionnaire I developed, which was filled out by 585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while the actual number of cases used in the study ended up with 494 cas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307 out of 494 teachers, that is, 62.1%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s with violence against teachers within one year. The most frequent type of experiences was ‘slander and exclusion(n=279)’, followed by ‘linguistic violence(n=237)’, ‘physical threats(n=210)’, and ‘physical violence(n=31)’. The average number of violence experiences by total respondents within one year amounted to 7.13 times and that by teachers who underwent violence was 11.48 times. Demographically, the younger the teacher is, the less experienced he/she is, the more common his/her status is (general teacher, class teacher), the more likely he/she would have violence experiences. In terms of the violence types, women experience more ‘physical threats’ than men do, while ‘physical violenc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when he/she serves as a class teacher. Note that whether a teacher is a full-time or a part-time teacher did not hold significantly in any of the violence types. Second, before investigating how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 their mental health, I conducted a t-test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the factors depending on the violence experiences. As a result, the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levels of those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against teachers were significantly low. Subsequently, I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how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 their mental health, and found out that the violenc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trauma negatively affects the mental health, while the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it. With regard to the effect size, psychological trauma was followed by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violence experiences in order. Third, to find whether psychological trauma causes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I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hich demonstrated that psychological trauma has part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it causes an indirect effect when violence against teachers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the teachers Fourth, I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whether the teacher’s self-resilience,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represent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The result clearly shows us that the self-resilience,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reveal moderating effects, whereas social support does not. In conclusion, the present thesis aimed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and confirmed that the teacher’s violence experiences by students negatively affect their mental health, which is to ring the alarm concerning the seriousness of the matter and further emphasize the need of practical resolutions. In addition, it succeeded to identify the roles of some of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mental health and figure out those factors that can, in actuality,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teachers from violence by students, which helps develop strategies that teachers can take advantage of and presents directions to future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8 A. 교사 대상 폭력 8 1. 교사 대상 폭력의 개념 8 2. 교사 대상 폭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10 B. 교사의 정신건강 12 1. 정신건강의 개념 12 2. 교사의 정신건강 13 C.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 15 1. 자아탄력성 15 2. 스트레스 대처방식 18 3. 사회적 지지 22 4. 심리적 외상 26 Ⅲ. 연구방법 30 A. 연구대상 및 절차 30 B. 연구도구 31 1. 폭력 피해 경험 설문지 31 2.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 32 3. 자아탄력성 검사 33 4.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34 5. 사회적 지지 척도 35 6.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수정판 36 C. 분석방법 37 Ⅳ. 연구결과 38 A. 학생으로부터의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 유형별 실태 38 B.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의 차이 41 C.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 43 1.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에 따른 정신건강과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차이 43 2.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심리적 변인 및 정신건강의 관계 44 3.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심리사회적 변인 45 4.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심리적 외상의 매개효과 46 5.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47 6.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49 7.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소극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50 8.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52 Ⅴ. 결론 및 논의 54 A. 요약 및 논의 54 1. 교사 대상 폭력의 실태 54 2.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폭력 피해 경험과 심리사회적 변인 57 3.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심리적 외상 59 4. 교사 대상 폭력 피해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61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4 참고문헌 67 부록1. 설문지 83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35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 대상 폭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심리적 외상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Violence against Teachers and their Mental Health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Trauma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coping-
dc.creator.othernameShin, Jae Eun-
dc.format.pageix, 94 p.-
dc.contributor.examiner김안나-
dc.contributor.examiner신태섭-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