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9 Download: 0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 요구탐색

Title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 요구탐색
Other Titles
The Exploration of Cultural Competencies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Needs of Employees Adult Learners
Authors
이선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성인의 삶을 이루는 활동 영역은 경제활동 영역과 여가활동 영역으로 나뉜다. 경제활동은 생활문화 형성을 위한 노동으로 구성되어 직업 역량, 전문 지식 개발과 연계되고, 여가활동은 예술문화와 사회문화를 위한 시간으로 구성되어 개인의 취미 활동이나 사교를 위한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 모든 문화역량들이 어우러질 때 성인학습자는 총체적으로 삶을 누리고, 높은 삶의 질에 도달한다. 특히 경제자본 시대가 문화자본 시대로 이행되는 흐름 속에서 사회는 문화역량 개발을 통한 감성·문화적 기반을 가진 성인학습자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성인교육은 생활문화역량 향상에 집중되어 있었으므로, 예술문화와 사회문화로의 관점 확장이 필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평생교육 관점의 문화예술교육이 교육방법론으로 대두되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 요구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통해 형성된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그들이 원하는 교육방식, 교육목적에 대한 요구 내용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인교육과 문화역량의 관계를 살펴보고, 문화역량 및 문화예술에 대한 경험이 문화예술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수준에 대한 기술과 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평생교육학에서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 속성과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과 문화예술 경험, 문화예술교육 요구는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 성인교육과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측면에서 역량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문화역량과 문화예술 경험, 문화예술교육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에 있어 성인학습자의 경험 및 자기인식의 중요성과 인적자원개발의 개인개발 및 학습 여정으로서의 관점에 적용하여, 문화역량, 문화예술 경험의 교육적 효과성,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관계를 연계해볼 수 있었다. 성인학습자 중에서도 직장인을 연구대상자로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최근, 문화예술 기반 교육으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직장인은 문화예술교육을 접할 실질적인 기회가 적다. 직장인들도 평생학습자이자 시민으로써 문화예술교육법에서 규정한 문화예술 향유와 관련 교육을 누릴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 측면의 문화예술 교육대상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현재의 문화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와 교육가능성을 모색하는 기초 연구가 요청되는 상황이었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인학습자들이 가진 문화역량 요소 별 수준과 문화예술 경험 여부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서로 다른 직종으로 구성된 상시근로자가 10인 이상인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의 범주로 모집문건을 통해 인터넷 설문을 이용했다. 자체 제작한 설문지 200부를 배포하여 186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응답을 완료하지 않은 1건을 제외한 18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들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은 문화예술 교육 경로에 대한 요구와 교육 형태에 대한 요구에 차이를 나타냈다.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있는 학습자들은 ‘관련 학원 수강’을 통해 ‘실기 실력을 쌓고자 함’이 가장 높았고,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않는 학습자들은 ‘평생교육기관’을 통해 ‘문화 행사에 참여해 교육받고자 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들의 문화예술교육 유·무가 문화역량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역량 수준을 군집화 하여 평균값이 높은 군집일수록, 문화예술교육 필요성이 높고, 정규교육과 비정규교육의 효과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문화역량은 하위 요소 별로 여성일수록, 문화예술 경험이 있을수록, 평생교육 기간이 길수록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체 응답자의 31.9%가 현재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있으며, 초·중·고 재학보다 초·중·고 졸업 후 받은 예술교육 경험자가 문화예술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인 성인학습자들의 1년 내 문화예술 참여 경험이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긍정적인 인식으로 나타나, 평생교육 영역의 성인 문화예술 참여 기회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직장 내 교육 및 지원 필요성에 대한 이유로 업무 스트레스 관리 및 해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함과 같은 예술문화역량 향상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에 바라는 점은 실천 가능한 시간대에 다양한 수준 별 프로그램과 장소 제공, 직장인에게 일상적으로 다가올 활발한 홍보 필요, 지역기관과 기업 간 연계 프로그램 바람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문화예술 경험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여 통합적 문화역량 향상을 도모하기를 제언하였다. 실질적으로 성인교육 제공 영역에서는 직장인 성인학습자들이 문화예술에 노출되게끔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시간대를 다양화해 접근성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꾀해야 한다. 또한 학교교육 경험이 평생교육 관점에서 추후의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발전되어야 하며,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학습하는 성인들의 교육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 이 연구는 문화역량 영역 중 예술문화역량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므로, 사회문화역량을 연결하는 깊이 있는 연구가 요청된다. 후속 연구로 사회문화역량을 추가한 문화예술교육 내용을 질적 연구로 탐색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까지 연구가 확장되어야 하겠다. 또한 평생교육기관, 지역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성인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확대되기를 바란다.;The activities of adult life are divided into economic activity area and leisure activity area. Economic activity is composed of labor for the formation of life culture and is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and expert knowledge. Leisure activities consist of time for art culture and social culture, and appear as activities for individual hobbies and social activities. When all these cultural competencies are combined, adult learners enjoy life as a whole and reach high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the flow of economic capital era to the era of cultural capital, society has demanded adult learners with emotional and cultural background through art culture formation and cultural capacity development. Among them,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focused on enhancing living culture capacity,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viewpoint into art culture and social culture in the future. In order to realize this effectively,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emerged as a methodology in term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In this study, this study explores the need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adult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mpetencies formed through life and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and to search for the desired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purpos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education and cultural competenci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ies and experience in culture and arts. The meaning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nalysis for each lev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cultural competency attributes of adult learners and experienc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competency of adult learners, culture and arts experience,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nee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 Methodology were us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competency in terms of adult education and adult learners, we hav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ies, culture and arts experience,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link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ies,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s experience,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applying it to the viewpoint of personal development factors and learning journey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adult education. Among the adult learners, the reason for setting the employees as research subjects is as follows. In recent years, despite the changes to cultural arts-based education, workers have little practical opportunity to access arts and culture education. Even though the workers have the right to enjoy cultural arts and related education prescribed by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Law as lifelong learners and citizens, they are being neglected in the subject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It is required to conduct a basic research on adult literacy to find the possibility of culture art education by grasping current cultural competence level.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needs of adult learner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cultural competencies and experience of cultural arts. The survey used Internet questionnaires through recruitment documents for categories ranging from SMEs to large corporations with 10 or more regular workers with different occupations. 200 copies of self-mad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186 copies were retrieved. 185 valid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mong adult learner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demand for education path and educational form. The learners who are receiving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ve the highest ability to 'build up their practical skills' through 'attendance at related institutes', and those who do not receive arts and culture education want to ‘participate in cultural events’ through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the highes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adult learners has a positive effect on cultural competencies level. The higher the average level of cultural competencies level, the higher the necessit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higher the effect of formal education and irregular education. Cultural compet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emale subordinate factors, cultural experience, and lifelong learning duration. Third, 31.9% of the respondents are currently receiv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hose who have received arts education after graduation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recognized that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more necessary.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al arts within a year of the adult learners is positively perceived to participate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 the future. Fourth, as the reason for the need for education and support in the workplace, the highest frequency of art culture capacity improvement such as management of work stress and elimin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e desire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to provide programs and places at various levels at practical times, to actively promote publicity to the workers, and to connect local institutions and businesse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future adult cultural learner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ulture and arts and provide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the integrated cultural capacity. Actually, in the area of ​​providing adult education, adult learner should be actively promoted to be exposed to culture and arts, diversify time zone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school education experience should be developed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 futu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choice of adults who voluntarily learn arts and culture should be broadened.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arts and culture competencies in the field of cultural competence, so it is required to carry out deep research linking social and cultural competency. As a follow-up study, we will explore the cont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has added socio-cultural competen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study should be expanded to realize the social value through adult arts education of adult learner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actively utiliz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local institutions to expand the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