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9 Download: 0

다문화 이혼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Title
다문화 이혼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Divorced Family
Authors
조수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다문화 가정에서 부모의 이혼은 아동에게 정서적, 환경적으로 큰 변화이며,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초래하는 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이중문화로 인한 문화적응의 어려움, 언어문제, 학교적응문제, 정체성 형성의 어려움 등의 산재된 문제들을 겪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가지는 문제와 더불어 부모의 이혼과 같은 특수한 사건으로 가정과 학교현장에서 불안과 우울, 위축, 공격성, 주의집중문제 등의 정서·행동문제를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러한 정서·행동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미술치료 개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가 다문화 이혼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다문화 이혼가정 아동에게 실시된 미술치료 단일사례로써 미술치료의 기초적인 임상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사례의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12세 다문화 이혼가정 아동으로서 부모의 이혼으로 불안과 우울, 위축, 공격성 등의 정서·행동문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학교생활의 부적응문제를 겪고 있는 남아이다. 아동종합심리검사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는 정서·행동문제, 부모자녀간의 불안정적인 상호작용 문제, 인지학습문제가 시사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6일부터 2016년 9월 30일까지 주 1회, 70분씩 실시하였고 총 21회기 진행한 개인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이다. 다문화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감소를 위해 미술치료의 초기단계(1~5회기)에는 아동과 연구자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비 구조화된 작업방식과 매체 탐색 작업을 통해 자유로운 정서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중기단계(6~15회기)에는 아동의 억눌린 욕구나 정서를 표출하고 정서 수용 및 지지를 통해 안정감을 형성하며 자신의 긍정적 정서를 재 경험하는 것을, 후기단계(16~21회기)에는 내적 자원을 강화하고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을 실시하여 아동의 불안과 우울, 위축, 사회적 미성숙, 공격성, 주의집중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투사 그림검사인 집-나무-사람(HTP: House-Tree-Person) 검사와 동적 가족화(KFD) 검사, 동적 학교생활화(KSD) 검사를 토대로 미술치료 실시 전후의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상생활과 대인관계 측면의 내용은 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 담당교사의 소견을 참고해 보충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의 사전·사후 결과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의 T점수가 임상범위에서 정상범위로 감소하였고, 사전의 외현화 문제행동 T점수가 임상범위는 아니었지만 매우 높은 수준의 T점수를 나타냈는데 사후 검사에서는 감소되었다. 또한 정서·행동문제 소척도인 불안과 우울, 위축, 사회적 미성숙, 신체증상, 공격성, 주의집중 등의 T점수 모두 감소되었다. 둘째, 아동이 직접 보고한 투사그림 검사로 집-나무-사람(HTP), 동적 가족화(KFD), 동적 학교생활화(KSD)검사의 사전·사후 결과 비교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불안과 우울, 위축, 사회적 미성숙, 공격성이 모두 감소되었다. 셋째, 아동은 미술치료 과정의 창조적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불안과 우울, 위축, 공격성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적절히 해소하고 정서조절 능력 향상으로 가정과 학교에서 문제행동이 감소되었으며 나아가 가족에 대한 소망, 미래의 꿈 등을 표현하는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넷째, 아동이 가진 높은 수준의 불안감, 긴장감, 위축감 등의 불편한 정서는 미술치료과정에서 무조건적인 수용과 지지 및 공감을 통하여 완화되었으며 미술치료과정에서 긍정적인 관계의 재 경험을 통하여 가족관계 및 교우관계 등의 대인관계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정서·행동문제를 나타내고 있는 다문화 이혼가정 아동이 정서·행동문제가 적절히 감소되고 자존감이 향상되어 자신의 긍정적 미래를 꿈꿀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관련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In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al divorce is a major emotional and environmental change to children and children 's emotions. It can be seen as a risk factor that causes behavior problems.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have sporadic problems such as cultural adjustment problems, language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problems. In addition to these specific problems of thes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by such parental divorce cases, since there are many children expressing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trophy, aggression, and distraction in the home and school scene, the intervention of art theraphy is needed to alleviate these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divorced family put in an unstable parenting environment due to parental divorce, and also aims to provide basic clinical data of art therapy as a case applied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divorced famil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12-year-old child of multi-cultural divorced family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uffering from learning under-achievement and maladjustment of school life due to unstable parenting attitude after their divorce.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psychological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ported t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parent-child unstable interaction problems, and cognitive learning problems. This study is about a single case of personal art therapy that has been conducted 21 times in total and was implemented from April 6, 2016 to September 30, 2016, once a week for 70 minutes. To reduc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the early stages of art therapy (1 to 5 sessions) was focused on establishing trust between children and researcher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free self-expression through media work. The middle stage of art therapy (6th to 15th sessions) was conducted to express children 's desire and emotion, re-experiencing their positive emotions, to form a sense of security through emotional acceptance and support. In the latter period (Session 16 ~ 21), the goal was to strengthen internal resources and improve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The test was implemented using the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ratings scale by a tool of K-CBCL(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to examine the anxiety, depression, atrophy, social immaturity, aggression, distraction, and somatic symptoms objectively. In addition,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of pre and post inspection based on House-Tree-Person (HTP) test, Dynamic Family Planning (KFD) test, and Dynamic School Life (KSD) test, which are projection figure inspectors. The contents of the daily life and interpersonal aspects were supplemented by the findings of the mother and the teachers in charge who were the main care-giver of the child. According to these purpo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s meaningful i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K-CBCL for mothers, the Behavior Rating Scal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T score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ecreased to the normal range in the clinical range. The T score of pre-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very high at the post test, though it had not reached in the clinical range, while in the post- test, the problem behavior T score has decreased. Also, in sub-scal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social immaturity, physical symptoms, aggression, and perceived distraction, T score were all decreased.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in comparison of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house-tree-person (HTP), dynamic familyization (KFD), and dynamic school life (KSD) test which reflects a child's own projection of picture. Anxiety, depression, social immaturity, and aggressiveness were all reduced compared to the pre- test, and th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was able to reliably recogniz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im and express his or her own positive future. Third, children 's high level of anxiety, tension, feeling unfitted, and frustration were solved through re-experiencing of positive relationships such as unconditional acceptance and support, empathy and the level of social relations such as family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has been improved. Fourth, there were positive changes that children can solv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through creative activities of art therapy process, reduce problematic behaviors in home and school by improving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furthermore express hopes for family and dreams of the future. Based on the conclusions above, I hope that children of multi-cultural divorced family who are show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o be able to dream for their positive future, and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on the clinical scenes of the art therapy for the relat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