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8 Download: 0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음운인식의 차이

Title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음운인식의 차이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anguage Expressiveness and Phonologic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ctivities
Authors
유지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음운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가 언어에 대한 흥미를 갖고 효과적인 언어발달을 이룰 수 있는 교육방법을 모색하고, 교사가 하루일과 중 전이시간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언어표현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2.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음운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만 4세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음운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공립단설 J유치원의 만 4세반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23명씩이다. 연구는 2016년 9월 8일부터 11월 11일까지 약 9주 동안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는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28일까지 총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기존 방식대로 전이시간동안 손유희, 배운 노래 부르기, 짧은 플래시동화 보기 등의 전이활동을 하였다.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은 유아언어교육에 관한 문헌과 연구,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였으며, 한 활동이 끝나고 다른 활동을 시작하기 전까지인 전이시간동안 흥미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3~5분 정도 소요되는 짧은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알아보기 위해 장영애(1981)가 제작한 언어능력 측정 검사 도구 중 언어표현력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음운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고연경(2002)의 음운인식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노상혜(2012)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에 대해 t 검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언어표현력 검사의 하위영역인 단어 수, 문장 수, 내용의 일치, 내용의 연계, 창의적 표현 모두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을 통해 유아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이미 알고 있는 언어적 지식과 새로운 언어지식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익히고, 상황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절히 표현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유아의 음운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운인식의 하위영역인 음절·음소 탈락과 음절·음소 변별 모두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을 하면서 음절과 음소가 지닌 말소리에 관심을 갖고 활용하는 과정이 유아의 음운인식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을 통해 유아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말소리에 집중하여 음절과 음소에 대해 지각하고 활용하는 경험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음운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이시간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말놀이 활동을 전이활동으로 계획하고 실행함으로써 효율적인 하루 일과를 구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anguage expressiveness and phonologic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ctivities. In this wa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 way for young children to have an interest in language and to achieve effective language development, and to provide a way for the teach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transition time during the day. The following are the subjects for inquiry associated with the issue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expressive ability (language expressivenes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using the transition time? 2. What is the difference in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 in the activity using the transition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of 4-year-olds according to whether they participate in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children in the 4th grade of J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and 23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for 9 weeks from September 8, 2016 to November 11, 2016 in the order of preliminary study,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nd the comparative group made the usual activities such as chant, singing songs, and short flash fairy tales during the transition time.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ctivities were referred to the literature and research on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nd the teacher's guidebook for the 4-year-old. The transition time, which is the gap between one activity to another, has been set up from 3 to 5 minutes in order to engage young children’s intere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pressive ability of young children, we used the language expressiveness domain of the language ability measurement test tools made by Chang Young-ae (1981). Moreover, in order to find out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infants, we used Ko Yeon-kyung(2002)’s phonological awareness test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ang Hye Noh(2012).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in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make young children improve the language expressiveness. In particula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of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demonstrated better performance in the usage of word variety, the number of sentences, the contents coincidence and the contents cohes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rough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ctivity, the infant can organically link the already known and new language knowledge along, and by having the opportunity to properly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appropriate judgment that each child could make, helps to improve the language expressiveness. Second,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improves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the infant. Especially,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ctivi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difference on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test, in the usage of syllable / phonemic sub-region of syllable recognition and the syllable-phoneme discrimination, It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that the use of the speech of syllables improves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infants. In conclusion, through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ctivities, young children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better and voluntarily, focusing on speech and experience in perceiving and utilizing syllables and phonemes.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by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transition time-based words play at the time table of the pre-school education system could lead to an effective day for young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