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김나영-
dc.creator김나영-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6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4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47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1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각기 다른 두 가지의 음성 채팅 환경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구두 상호 작용, 그리고 정의적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은 메신저를 이용한 음성 채팅과 컴퓨터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일종인 채팅 로봇을 이용한 음성 채팅의 효과가 학습자의 능숙도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고,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인원은 총 181명으로, 모두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이었다. 영어 능숙도 수준에 따른 음성 채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TOEIC Listening Test를 통한 능숙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 결과에 따라 학생들을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였고, 나아가 이들을 두 실험집단과 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총 16주의 연구 기간 동안 메신저 혹은 채팅 로봇을 이용한 음성 채팅을 일주일에 한 번 10분씩 진행하였으며, 채팅 내용을 녹음하여 본 연구자에게 모두 제출하였다. 먼저 각기 다른 음성 채팅 환경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OEIC Speaking Test를 이용한 사전-사후 말하기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각기 다른 음성 채팅 환경이 구두 상호 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이 제출한 음성 채팅 내용을 토대로 의미 협상 (meaning negotiation)과 주제 협상 (topic negotiation)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기 다른 두 음성 채팅 환경이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나 음성 채팅에 대한 인식 등 정의적 요인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음성 채팅 환경 모두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신저를 이용한 음성 채팅과 채팅 로봇을 이용한 음성 채팅 모두 동등하게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채팅 로봇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비추어볼 때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능숙도 수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채팅 로봇을 이용한 음성 채팅이 초급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채팅 로봇을 활용한 영어 학습이 한국의 초급 학습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음성 채팅 환경이 학습자들의 구두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의미 협상과 관련하여 보면, 채팅 로봇과의 음성 채팅에 참여한 그룹이 메신저를 이용해 학생들끼리 음성 채팅을 한 그룹 보다 더 많은 상호 작용을 하였는데, 이는 로봇이 갖는 음성 인식의 한계점으로 인해 의사소통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능숙도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면, 초급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같은 말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고급 학습자들은 의사소통에서 문제가 생긴 부분을 상대방에게 다시 물어보고 본인이 이해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제 협상과 관련하여서도 마찬가지로 채팅 로봇과의 음성 채팅 그룹이 메신저를 이용한 음성 채팅 그룹보다 더욱 많은 상호작용을 보였는데, 특히 모든 능숙도 수준의 학습자들이 채팅 로봇과 음성 채팅을 할 때 주제를 먼저 이끌어간다는 점이 돋보였다. 능숙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초급 및 중급 학습자의 경우에는 채팅 로봇과의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대화의 주제를 계속해서 바꾸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고급 학습자의 경우채팅 로봇과의 음성 채팅에서 대화를 회피하는 경향이 덜 한 것으로 나타나,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들이 채팅 로봇과의 구두 상호 작용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구축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각기 다른 음성 채팅 환경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았을 때 메신저와 채팅 로봇 모두 모든 능숙도 수준의 학습자에게 동일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곧 두 음성 채팅 환경 모두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태도나 음성 채팅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EFL 환경에서 영어 말하기 연습의 기회는 언제나 부족하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음성 채팅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학습자들은 더 이상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말하기 연습을 할 기회가 주어졌고, 이로 인해 영어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나 태도를 극복하게 되었으며, 이는 곧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 EFL 교수 및 학습 환경에서 이러한 음성 채팅 환경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단, 메신저와 채팅 로봇은 의사소통 도구로서 학습자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 수단일 뿐이지 결코 절대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영어 교사는 각 음성 채팅 환경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학습 목표에 맞는 적절한 활동을 개발하여 EFL 학습자의 동기유발 및 흥미유지를 통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wo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human-to-human voice-chat and human-to-robot voice-chat,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oral interaction, and a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s. 181 colleg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freshmen placed in the same class. The whole study lasted for sixteen weeks in the language laboratory using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ith a pretest-treatment-posttest struc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current proficiency level, all participants had TOEIC listening test before the actual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language proficienc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proficiency levels: beginning-level, intermediate-level, and advanced-level. And then, the participants at each proficiency level were further divided again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human-to-human voice-chat group, human-to-robot voice-chat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sixteen-week experiment, the participants practiced their speaking with two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Participants in human-to-human voice-chat group were randomly divided into pairs and had a voice-chat with their peers using Kakaotalk messenger program, while those in human-to-robot voice-chat group had a conversation with a chat robot, Indigo. With the selected topics, they could have a chat with their peers or robot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speak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use of voice-chat, all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take the TOEIC speaking tests as pre- and post-tes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Similarly, structured questionnaire-based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the pre-test and after the post-test to examine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wo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After the post-survey, there was an interview. The major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dicating speaking ability improvement to be an outcome of participating in both voice-chat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human-to-human voice-chat and human-to-robot voice-chat are equally effective in improving speaking ability. Regarding proficiency level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at beginning-level learners could benefit more from participating in both voice-chat conditions. Second, in terms of oral interaction, human-to-robot voice-chat engaged the participants to interact more actively and negotiate meaning more frequently in terms of confirmation check, clarification request, repetition, and reformulatio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showing that types and frequencies of meaning negotiation vary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s. Relatively low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use repetition moves more frequently than high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In contrast, advanced-level learners significantly used more confirmation check strategies. Regarding topic negotiation,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in human-to-robot voice-chat group more involved in initiating, continuing, changing, and avoiding topics. It is noticeable that the participants at all proficiency levels in human-to-robot voice-chat group mostly took initiative asking questions. As for topic shifts, beginning- and intermediate-level learners in human-to-robot voice-chat were likely to change the topic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human-to-human voice-chat. Regarding topic avoidance, advanced-level learners in human-to-robot voice-chat group were less likely to avoid the topic. Third, with regards to the effects of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on affective factors, positive results were found. In respect to attitudes towards English language learning, participants’ responses as a result of voice-chat were positively observed.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voice-chat condition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learners’ confidence in English, beliefs in the improvement of their speaking ability, interests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motivation to develop their language skills. Also both voice-chat conditions could reduce their anxiety level and stress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both voice-chat conditions.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lso report that participants involved in two different types of voice-chat group showed positive reactions towards the use of modern technology. In addition, results reveal the participants at all levels of proficiency can benefit from voice-chat. There are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grounded on the above findings. The current study provides new insights on the use of chat robots in EFL language classroom settings, suggesting that EFL teachers try to integrate chat robots into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which can result in successful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Therefore, language instructors should have not only technology literacy to make the best use of technology in their class, but also competence to implement appropriate technology i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especially in the human-to-human voice-chat and human-to-robot voice-chat, wa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n addition, because the participants most likely participated in the voice chat from different station, the variations i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eripherals, recording system, and internet connection may have influenced participants’ quantity and quality of particip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1 A.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1 B. Research Questions 7 C. Organization of the Study 9 Ⅱ. LITERATURE REVIEW 10 A. Speaking in EFL Context 10 1. Speaking Ability 11 2. Oral Interaction 17 3. Affective Factors 24 B. Voice-Chat 28 1. Human-to-Human Voice-Chat 30 2. Human-to-Robot Voice-Chat 36 Ⅲ. METHODOLOGY 43 A. Overall Research Design 43 B. Participants 45 C. Materials 46 D. Procedures 54 E. Data Analysis 56 Ⅳ. RESULTS AND DISCUSSION 62 A. Effects of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on Speaking Ability 62 1. Effects on Speaking Ability 63 2. Effects on Speaking Ability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s 74 B. Effects of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on Oral Interaction 88 1. Effects on Oral Interaction 88 2. Effects on Oral Interac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s 130 C. Effects of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on Affective Factors 163 1. Effects on Affective Factors 164 2. Effects on A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s 198 Ⅴ. CONCLUSION 220 A. Major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221 B. Pedagogical Implications 227 C.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229 REFERENCES 231 APPENDICES 250 KOREAN ABSTRACT 2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4093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Effects of Different Voice-Chat Conditions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Oral Interaction, and Affective Factors-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음성 채팅 환경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구두 상호 작용, 그리고 정의적 요인에 끼치는 영향-
dc.format.pagexii, 25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