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김새롬-
dc.creator김새롬-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5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9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9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1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러한 구성 방안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의 구성 방안은 무엇인가? 2.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의 구성 방안이 유아와 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공립병설유치원인 하늘유치원 만 5세 구름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구름반 유아 28명, 연구자인 담임교사 1명이다. 연구자는 구름반 자유선택활동 영역의 배치 모습과 구름반 주간교육계획안, 자유선택활동 영역에 대한 동료 교사 및 유아의 생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흥미를 반영하여 자유선택활동 영역을 구성해야한다는 인식은 있었으나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따라 교사 주도로 구성되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6월 27일부터 11월 4일까지였으며 유아의 흥미를 반영하기 위해 영역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의견 및 제안을 수용하여 유아와 함께 영역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자유선택활동 영역 구성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해결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의 순서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활동사진, 동영상 녹화, 음성 녹음, 유아 활동 기록지, 현장노트 작성, 동료 교사와의 면담, 가정연계활동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흥미를 반영하여 자유선택활동 영역을 구성하기 위해 대⋅소그룹 활동으로 유아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교실 내 공간을 유아와 함께 변화시켰다. 연구자는 유아와 함께 구성할 영역을 투표하고, 투표결과 선정된 역할 영역을 관찰하였으며 놀이주제를 정하고, 결정된 캠핑놀이 주제에 대해 탐색하고 알아보았다. 또한 캠핑놀이에 필요한 교구를 만들고 놀이 약속 및 영역의 이름을 정했다. 그 후 캠핑놀이 영역을 구성해 본 소감을 함께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유아가 공간의 확장을 요구하여 공간을 재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유아와 함께 공간을 구성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1차 실행 평가를 통해 유치원 내의 다양한 교구 및 재료를 탐색하는 것, 자유선택활동 영역 구성 시 소그룹 활동을 추가하는 것, 가정연계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2차 실행 방안을 계획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유치원의 자료실을 탐방하였고, 자유선택활동 전 영역의 바구니를 유아와 함께 재구성하면서 소그룹 협의 활동을 추가하여 유아의 다양한 생각을 들었다. 그리고 친구와 놀이하고 싶은 교구를 선정하여 가정에서 가져와 놀이를 진행하는 가정연계활동을 진행하였다. 둘째,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 구성을 통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 놀이가 활성화되고, 교실 내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문제 발생 시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를 통해 자유선택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유아의 능력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현장에서 자유선택활동 영역이 구성되어 있는 모습을 살펴보고, 유아의 흥미를 반영하여 영역을 구성하기 위해 반성적 사고를 통한 실행 연구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사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 영역 구성에 대해 반성적으로 되돌아볼 필요가 있으며, 유아와 함께 영역을 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적용함으로써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야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노력은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1년의 활동 안에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의 흥미를 반영하여 자유선택활동 영역을 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교육 현장에서는 각 연령의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게 자유선택활동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고안하여 적극적으로 실행해야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seek and implement a plan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this configuration plan on children and teachers.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lan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2. What impacts does the plan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the children's interest have on children an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Cloud Class for children aged five at public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Sky Kindergarten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 children in Cloud Class and the researcher, the teacher in charg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arrangement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in Cloud Class, the weekly education plan of Cloud Class and what co-worker teachers and children thought about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As a result, they had a perception that they should configure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the children's interest, but a problem that it was configured by the teacher’s leading according to the life topics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une 27 through November 4, 2016, and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 domain to reflect children's interest, the researcher planned and executed the activities with the method of accepting children's comments and suggestions and arranging the domain with the children.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tudy in the following order: Recognizing the proble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seeking measures for a solution, first execution, evaluating the first execution, seeking a plan for second execution, second execution and evaluating first and second executions.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with methods such as motion picture, video recording, voice recording, children’s activity chart, field note-taking, interview with co-working teacher and family-related activity and categorized and encoded them for analysis by each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figure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the children's interest, their opinions were gathered from big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 classroom space was changed with them. The researcher voted the domain to configure with the children, observed the domain of rol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poll, decided the play topics, explored and examined the decided camping play topics. In addition, the researcher made teaching aids required for the camping play, chose the play promise and domain name. Then, the researcher talked about the feeling about the configuration of the camping play domain with them. In addition, the children asked for the expansion of space, and the researcher talked about the method of relocating the space and did an activity of configuring the space with the children.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first execution, the researcher realized the exploration of various teaching aids and materials in the kindergarten, the addition of small group activitie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 necessity of the family related activity and planned the second execution plan. In the second execution, the researcher talked about free-choice activities, visited the kindergarten’reference room, reconstructed the basket of the entir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with the children, added small group consultation activity and heard their various thoughts. Also, the researcher did a family-related activity in which they choose the teaching aids by which they want to play with their friends and bring them from home to play. Second,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the children's interest on children and teachers, it was recognized that it vitalized the children’s free-choice activities play and allowed them to use classroom space freely, and they solved problems when they occurred. Teachers made efforts to vitalize free-choice activities through self-reflexive thinking and recognized the children’s abil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examined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in the field of children’s education and conducted executive research through self-reflexive thinking in order to configure the domain,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Thus, the teacher should look back on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currently operating, reflectively and go on improving it actively by seeking and applying measures for configuring the domain with children. In particular, these efforts should continue in the activities for one year, instead of one-off activities. Second, it sought measures for configuring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Thus,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execute it, actively, considering various measures to configure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for the level of children’s development at each 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3 C. 연구자 배경 3 Ⅱ. 이론적 배경 6 A. 자유선택활동 6 B.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 구성 9 Ⅲ. 연구방법 15 A. 실행연구 15 B. 연구대상 16 C. 연구절차 17 D. 자료 수집 및 분석 24 Ⅳ. 연구결과 26 A.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의 구성 방안 26 B.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의 구성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51 Ⅴ. 논의 및 결론 66 A. 논의 66 B. 결론 및 제언 73 참고문헌 76 부록 80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18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자유선택활동 영역 구성을 위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ction Research for configurating of the domain of free-choice activities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dc.creator.othernameKim, Sae Rom-
dc.format.pagev, 84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은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