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맞춤형 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Title
맞춤형 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Other Titles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daycare center directors regarding customized childcare
Authors
임효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daycare center directors regarding customized childcare. This study provides baseline data for providing childcare services that meet infant requirements and increase qualit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1. How do directors perceive customized daycare? 2. What are directors' requirements for customized daycare? In this study, 152 directors of public enterprises, social welfare corporations, corporate-institutions, private enterprises, offices, and family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ere surveyed. The researchers creat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ir review of relevant research and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wo categories and 14 questions. The frequency, percentage, case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 First, the directors recognized that improvements in child-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s are created by providing time-optimal childcare services even though childrearing at home is possible. Half of the directors believed that customized childcare is not necessary because the hours in which infants use the daycare center will not change compared to prior to customized childcare, even though customized childcare is necessary for improving parent-child attachment relationships in families where childrearing is possible. Customized childcare also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daycare centers, and is unsatisfactory to directors because it increases their workload. After implementing customized childcare, most daycare centers experienced a decrease in childcare revenues. Directors and childcare teachers' working conditions also changed, and these conditions were rated the least desirable. Directors said that there were no beneficiaries from customized childcare. They believed that there were no major improvement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childcare, and job duties increased while revenues decreased. From the directors' point of view, the fiscal burden (that is, the decrease in childcare fee revenues) was the largest disadvantage of customized childcare. Second, the directors thought that the hours of operation and childcare fees for the customized classes were not adequate, as daily activities such as nap time and snack time overlapped with daily work,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perating expenses between all-day classes and the customized classes. Therefore, the directors thought that across-the-board improvements for customized childcare were required, especially regarding qualifications for customized class and all-day class. The directors proposed measures to modify daycare hours of operation from 12 hours to 8 hours and charge additional fees for the all-day class in order to improve infants' desirable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o promote the use of the all-day class. The opinion that customized childcare needed to take root was in the minority. The directors were aware that the government, parents, and daycare centers all have a responsibility to provide childcare. Regarding policy, they asked that decision-making processes be publicized and modifications be mad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new childcare policies. Daycare center directors understand the purpose of customized childcare. Howeve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childcare, the hours that infants used the daycare center did not change. Rather, there were negative changes to childcare fee revenues and director/teacher working conditions, leading directors to believe that across-the-board improvements in customized childcare need to be made. Specifically, directors believe daycare center hours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develop desirable attachment relationships in children and promote the use of all-day classes.;본 연구는 맞춤형 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의 질을 높이고 영아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맞춤형 보육에 대한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맞춤형 보육에 대한 원장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의 국공립,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 민간, 직장, 가정어린이집 원장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관련연구 및 문헌조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총 2개의 범주 1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케이스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들은 맞춤형 보육의 취지가 가정에서 양육이 가능한 영아에게 적정시간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아이와 부모의 애착 관계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원장들은 가정에서 양육이 가능한 영아의 부모와의 애착관계 형성을 위해서 맞춤형 보육이 필요하나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시간이 맞춤형 보육 이전과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맞춤형 보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절반가량 있었다. 또한 맞춤형 보육이 어린이집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원장의 업무를 과중시켰기 때문에 만족하지 않았다. 맞춤형 보육 시행 이후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 변화된 점은 보육료 수입이었고, 여러 변화된 점 중 변화 정도가 큰 것은 원장의 근무여건과 보육교사의 근무여건이었으며, 변화된 점 중 바람직한 정도가 가장 낮은 것 또한 원장의 근무여건과 보육교사의 근무여건이었다. 원장들은 맞춤형 보육으로 유익한 대상이 없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맞춤형 보육 이후 크게 변화된 점이 없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불리한 대상은 원장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맞춤형 보육 이후 업무 증가 및 보육료 수입 감소 때문이었다. 원장으로서 맞춤형 보육으로 인해 겪은 어려움으로는 재정적 부담(보육료 수입 감소)이 가장 컸다. 둘째, 원장들은 맞춤반 운영시간과 맞춤반 보육료가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는데 그 이유는 낮잠시간 및 간식시간 등 일과와 겹치며, 종일반과 맞춤반 운영비 지출에 차이가 없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원장들은 맞춤형 보육에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 맞춤반 보육료, 종일반과 맞춤반의 자격 인정 방법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원장들은 영아들의 바람직한 애착관계 형성을 위한 방안과 바람직한 종일반 이용을 위한 방안에서 모두 어린이집 기본 운영시간을 12시간에서 8시간으로 조정하고 종일반 이용시 종일반 추가 보육료를 납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맞춤형 보육의 정착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소수에 불과하였다. 보육정책이 지향해야 할 점으로는 국가, 학부모, 어린이집이 함께 책임지는 보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보육정책 준비과정에서는 정책 결정 과정의 공개와 조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즉, 어린이집 원장들은 맞춤형 보육의 취지는 이해하나, 맞춤형 보육 이후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시간이 변화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보육료 수입과 원장 및 교사의 근무여건에 부정적인 변화가 있어 맞춤형 보육에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아들의 바람직한 애착관계 형성 및 바람직한 종일반 이용을 위한 어린이집 기본 이용시간 변경을 요구하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