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황선영-
dc.creator황선영-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0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0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09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053-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Korean tense acquisition of Chinese Korean students (CKS), whose native language has little morphological similarity to Korean, with a focus on deixis and deictic projection. Although tense is one of the first items to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some advanced learners have difficulties utilizing the Korean tense properly. However,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Korean tense acquisition focus mainly on the morphology or the basic meanings, no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unction of tense which can refer to various kinds of tim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acquisition of Korean tenses can be challenging due to their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discourse context. Thus we investigate whether CKS apprehend the tense the same way Korean native speakers (KNS) do when the speaker intends that it refers to a time point different from its basic meaning depending on the discourse context. We also investigate whether the choice of tense among CKS is the same as that of KNS when the coding time(CT) and the receiving time(RT) do not coincide.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ed: Part I clarifies the objectiv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introduces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literature on tense acquisition which are from perspectives of error analysis and interlanguage analysis. Moreover, Part I states the key research questions and necessary hypothes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personal experience from the field. Part II is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is part studies tense as a linguistic device conveying temporality, and also the theories on its acquisi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Morphosyntax and Discourse Pragmatics. First, from a morphosyntactic perspective, the structure and category of Korean tenses are investigated, and the basic meanings of tenses are studied. This part also introduces the discussion on how the combination of tenses can be affected by the internal semantic trait of the verb (Aktionsart, lexical aspect) on which the tense is put. Moreover in Part II, we study the acquisition theory based on the basic meaning of tenses, and the Aspect Hypothesis (AH) theory, which suggests that can influence the tense acquisition. Next, from a discourse-pragmatic point of view, tense is considered as a factor of time deixis. Thus, this part looks into the concepts of time deixis and deictic center, and further into the acquisition theory on discourse function of tense. Part III elaborat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y. It explains in details the research procedures and three stages of preliminary experiments. This part also introdu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e final experiment, the finalized data mining tools from the preliminary experiments, and the data analysis methods for the research questions. Parts IV and V describ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Part IV analyzes the tense apprehend of CKS based on six different types of tenses which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ctual time being referred to. This is to see if the effects of Aktionsart differ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e and its time referred, and find out about the clues utilized by CKS to capture the proper tense. Results showed that CKS the tenses similarly as KNS do when the tense coincides with the referred time, but when not, the of CKS differed from that of KNS. Moreover, the effects of Aktionsart on tense apprehend depen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e and its time referred to, and CKS tended to rely on their vocabulary or grammatical knowledge rather than discourse contexts when identifying the proper tense. Part IV concludes that CKS well acquired tense as a grammatical item, but have not acquired the variability of tense depending on the discourse context. This implies that the acquisition of the basic meanings of tense does not necessarily involve the acquisition of pragmatic items of tense, suggesting the need for teaching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 of tense and methods of utilizing discourse contexts. Part V compares the choice of tenses and their deictic center between KNS and CKS when CT and RT discord. This part suggests that although different in magnitude, KNS and CKS both put the deictic center on the speaker when the situation is closer to the speaker, and on the listener when the situation is closer to the listener. Also in this part, we observed the time deictic center being shifted within a discourse when person deixis shifted. Part VI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its significance and limi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to the fields of Korean Education and proposes further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questions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tense acquisition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morphology of the tense. Thus the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deixis and deictic projection on tense acquisition, looking into Korean tense acquisition of CKS from a new point of view. Using the concept of deictic projection allows us to explain the discordance of the tense and its referred time without modifying the basic meaning of the tense or the existing categories of tenses, which Morphosyntax could not fully capture.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e strong need of teaching the pragmatic items in the fields of Korean education, and imply that making a list of the teaching items of pragmatic traits will allow this study to be a valuable baseline data.;본 연구는 중간언어 화용론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형태적 유사성이 적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시제 습득 양상에 대하여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시제는 초급 단계부터 학습이 이루어지는 항목이나 고급 학습자들도 한국어 시제를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모습이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시제 습득이 어려운 까닭을 시제가 담화 맥락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국어 시제 습득 연구는 시제 형태소에 초점을 두거나 시제의 기본 의미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시제가 다양한 시간을 지시하는 기능이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자의 의도와 담화 맥락에 따라 시제가 기본적 의미와 다른 시간을 지시하는 경우에 초점을 두고, 이를 직시와 직시적 투사의 개념으로 설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간과 시제 표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시제의 유형을 분류한 후,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같이 시제를 이해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발화시와 수신시가 달라 직시적 투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같은 방식으로 시제를 사용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학에서 이루어진 시제 습득 관련 선행 연구를 오류 분석 연구와 중간언어 분석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헌 연구와 학습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가설을 세웠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먼저 형태통사론과 담화화용론에서 시간성을 나타내는 언어적 장치로서의 시제에 대한 논의를 정리한 후, 각각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시제 습득 이론을 알아보았다. 형태통사론에서는 한국어 시제 체계와 범주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시제의 기본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용언의 내적 의미 자질이 시제 결합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어 시제의 기본 의미를 대상으로 한 습득 이론을 고찰한 후, 용언의 의미 자질이 시제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상하는 시상 가설 이론을 정리하였다. 담화화용론에서는 시간 직시의 개념과 직시의 기준점에 대해 알아보고, 직시적 투사가 일어나는 상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시제의 담화 기능에 대한 습득 이론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를 밝히고, 예비 실험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와 3단계의 예비 실험을 통하여 확정된 자료 수집 도구에 대해 기술한 후,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분석 방법을 설명하였다. Ⅳ장과 Ⅴ장에는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시간과 시제 표현의 일치 여부에 따라 6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시제 이해를 살피고, 시제 이해에 동작류가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가 시제 이해를 위해 활용하는 단서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과 시제 표현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도 한국어 모어 화자에 근접하게 이해하고 있었으나 시간과 시제 표현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다르게 시제를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시제 습득에 동작류가 미치는 영향도 시간과 시제 표현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시제 이해 시 학습자들은 담화 맥락보다 어휘나 문법적 지식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다. Ⅳ장에서의 연구 결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문법 항목으로서의 시제는 습득하였지만, 담화 맥락에 따라 가변적으로 활용되는 시제는 습득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제의 기본 의미에 대한 습득이 화용적으로 사용되는 항목에 대한 습득을 함의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시제의 담화화용적 기능과 담화 맥락 활용 방안에 대해 교수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발화시와 수신시가 불일치하는 상황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시제와 시간 직시의 기준점을 분석해 보았다. Ⅴ장의 연구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권 학습자 모두 화자 중심의 상황이라고 인식하면 시간의 기준점을 화자에게 두고, 청자 중심의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시간의 기준점을 청자에게로 옮기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담화 내에서 인칭 직시가 바뀌는 지점에서 시간 직시의 기준점이 달라지는 모습도 포착할 수 있었다.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며 한국어 교육 현장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습득 연구가 형태와 기본적 의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데 문제를 제기하고, 시제의 습득에 직시와 직시적 투사의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과 다른 관점에서 학습자의 시제 습득을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직시적 투사의 개념을 적용하면 문법론에서 설명이 어려웠던 시간과 시제 표현의 불일치 현상에 대해 시제의 기본 의미를 수정하지 않고 기존의 시제 범주를 유지하면서 설명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 현장에 화용적 항목에 대한 교수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화용적 항목을 교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오류 분석에서의 한국어 시제 습득 연구 6 2. 중간언어 분석에서의 한국어 시제 습득 연구 8 C.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15 Ⅱ. 이론적 배경 19 A. 형태통사론에서의 시제 20 1. 시간성과 시제 20 2. 동작류와 시제 34 3. 시제 습득 40 B. 담화화용론에서의 시제 48 1. 시간 직시와 시제 48 2. 시제 습득 64 Ⅲ. 연구 방법 69 A. 연구 절차 69 B. 예비 실험 74 1. 연구 참여자 75 2. 자료 수집 도구 개발 및 수정 방안 76 C. 본 실험 80 1. 연구 참여자 81 2. 자료 수집 도구 83 3. 자료 분석 방법 92 Ⅳ.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이해 95 A. 시간과 시제 표현의 일치 상황 96 1. 과거 사건이 과거 시제로 나타나는 경우 96 2. 현재 사건이 현재 시제로 나타나는 경우 100 3. 동작류의 영향 105 B. 시간과 시제 표현의 불일치 상황 108 1. 현재 사건이 과거 시제로 나타나는 경우 109 2. 미래 사건이 과거 시제로 나타나는 경우 114 3. 과거 사건이 현재 시제로 나타나는 경우 121 4. 미래 사건이 현재 시제로 나타나는 경우 126 5. 동작류의 영향 129 C. 학습자의 활용 단서 135 1. 어휘 활용 136 2. 문법적 지식 활용 141 3. 선후행 발화 활용 145 D.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이해에 대한 해석 148 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사용 152 A. 상황 인식에 따른 시제 사용 152 1. 화자 중심 상황 153 2. 청자 중심 상황 157 B. 시제 사용의 변이 163 C.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사용에 대한 해석 171 Ⅵ. 결론 174 A. 연구 결과 요약 175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78 참고문헌 181 부록 1. 설문지(한국어 모어 화자 대상) 191 부록 2. 설문지(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대상) 201 ABSTRACT 2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30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습득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직시와 직시적 투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Tense Acquisition of Chinese Korean Students : A focus on deixis and deictic projection-
dc.format.pageix, 21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