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2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상 양태 선어말어미 습득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상 양태 선어말어미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2 Korean Acquisi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Pre-final Endings by L1 Chinese Learners
Authors
정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한국어의 선어말어미는 시제, 상, 양태 의미를 나타내며 여러 개가 나란히 결합되기도 한다. 이렇게 의미와 형태가 복잡한 선어말어미는 특히 상 언어이자 고립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의 경우 습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선어말어미의 시제, 상, 양태 의미의 습득 순서와 양상, 그리고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의 습득 순서와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선어말어미의 시제, 상, 양태 의미 습득과 의무 양태, 인식 양태 의미 습득에 대한 것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선어말어미 두 개 혹은 세 개가 결합한 구조의 습득에 대한 것이었다. 그리고 두 연구 문제 모두 숙달도 변인이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시제, 상, 양태의 개념과 체계를 정리하였다. 이어서 시제, 상, 양태의 습득과 관련된 이론과 가설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제, 상, 양태가 어떻게 실현되는지 한국어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시제, 상, 양태 선어말어미 결합의 순서, 원리, 제약을 논의한 후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어말어미가 사용된 문장에 대해 문법성을 판단한 후 틀렸다고 판단한 문장은 수정하여 쓰도록 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6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을 표집하고 숙달도 검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상위 집단 30명과 하위 집단 30명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문법성 판단 검사 결과는 수치화하여 함축도표를 작성하고 이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은 ‘-었-’의 시제, 상, 양태 의미 순으로 습득하며,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겠-’의 의무 양태, ‘-겠-’의 인식 양태, ‘-더-’의 인식 양태, ‘-었-’의 인식 양태 순으로 습득하며,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인접한 두 선어말어미의 의미가 유사한 ‘-었었-’, ‘-었더-’를 먼저 습득하고, 의미가 충돌하는 ‘-었겠-’, ‘-겠더-을 나중에 습득하며, 이때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넷째, 학습자들은 인접한 세 선어말어미들의 의미가 유사한지 충돌하는지에 상관없이 ’-더-‘가 결합되지 않은 ‘-었었겠-’을 먼저 습득하고, ‘-더-’가 결합된 ‘-었었더-’, ‘-었겠더-’를 나중에 습득하며, 이때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들은 과거시제 의미는 습득하였고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는 습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모국어에 없는 목표어의 범주가 언어 보편적이면 습득이 가능하며, 목표어의 범주가 언어 특수적이면 습득이 어려움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자들은 인식 양태를 잘 습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더-’를 습득하지 못해 ‘-더-’가 포함된 결합 구조에서는 다른 선어말어미들을 통해 그 의미를 파악하지만 ‘-더-’가 홀로 사용된 경우에는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교육적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와 의미 기능이 일대다의 관계를 목표 문법은 핵심 의미를 먼저 교수한 후 다른 의미들이 등장했을 때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인식 양태는 명시적으로 의미를 설명하고 충분한 용례를 제시하며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문법 형태소의 결합 구조는 충분한 입력을 제공하는 한편 학습자가 이해에서 생산의 단계까지 갈 수 있도록 교수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시제, 상, 양태, 세 범주를 아울러 논의를 진행하였다. 둘째,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 셋째, 언어 유형학적으로 한국어와 다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모국어에 따른 제2언어 습득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넷째, 정적인 측면과 동적인 측면을 함께 살펴보았다. 앞으로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과제를 통해 학습자의 이해와 생산의 측면을 다각적으로 관찰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Pre-final endings of Korean indicate tense, aspect, and modality and several pre-final endings of Korean are combined side-by-side. Such pre-final endings which have complex meanings and forms are not easy to be acquired especially for learners whose mother tongue is Chinese, which is isolating language .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nese learners’ sequence and pattern of acquisition of pre-final endings’ tense, aspect, modality meaning and sequence and pattern of acquisition of pre-final endings’ combined structures. In chapter Ⅰ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by identifying the nee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reviewing the prior studies. First research question is about acquisition of the meaning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of pre-final endings and the meaning of epistemic modality and deontic modality. Second research question is about acquisition of structure in which two or three pre-final endings are combined. Additionally, both research questions aimed to explore whether a factor of proficiency level has an effect. In chapter II, first, the concept and system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are described. Then, theories and hypothes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were reviewed. In addition, it explored how tense, aspect, and modality are expressed by focusing on Korean pre-final endings. After discussing the order, principle, and constraints of combination of tense, aspect, modality pre-final endings, it examined the meaning of pre-final endings’ combined structures. Chapter III described the study method. In this study, a grammatical judgment task was developed. 60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30 Korean native speakers were sampled. Through a proficiency test, Chinese learners of Korean were divided into 30 in the upper group and 30 in the lower group. By quantifying their grammaticality test results, implicational table was created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comparison analysis were conducted. Chapter IV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leaners acquired in order of meaning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of ‘-eoss-’ and had a difference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Second, learners acquired in order of deontic modality of ‘-gess-’, epistemic modality of ‘-gess-’, epistemic modality of ‘-deo-’, and epistemic modality of ‘-eoss-’ and did not have a difference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Third, learners first acquired ‘-eosseoss-’, and ‘-eossdeo-’ of which two adjacent pre-final endings have similar meaning. ‘-eossgess-’, and ‘-gessdeo-’ of which meaning is in conflict were later acquir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at the time. Fourth, learners first acquired ‘-eosseossgess-’ which is not combined with ‘-deo–’ regardless of whether the meaning of adjacent three pre-final endings is similar or collides. ‘-eosseossdeo-’, and ‘-eossgessdeo-’ which is combined with ‘-deo-’ were acquired later. At this time,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Moreover, Chinese learners acquired the meaning of past tense while they did not acquire pre-final endings’ combined structures. This implies that if the grammatical category of target language that is not in the native language of a learner is language universal, acquisition is possible whereas if the grammatical category of target language is language specific, acquisition is difficult. Furthermore, learners did not acquire epistemic modality well. Particularly, as they did not acquire ‘-deo-’, they did not understand the meaning when ‘-deo-' was used alone, although they grasped the meaning through other pre-final endings in a coupled structure containing ‘-deo-'. Chapter V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describ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form and the semantic function have a one-to-many relationship, it is effective to additionally explain the target grammar when other meanings appear after teaching the core meaning first. Second, for epistemic modality, teachers should explain the meaning explicitly, present enough examples and lead learners to use. Third, for the combined structure of grammatical morpheme, teachers should provide enough input and learners should be taught such that they can reach the stage of production from the stage of understand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discussed tense, aspect, and modality together. Second, it defined the meaning of pre-final endings’ combined structures in depth. Third, by targeting the leaners whose mother tongue is Chinese which is different from Korean based on language typology, it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in accordance with mother tongue. Fourth, this study looked at both static and dynamic aspects of acquisition. In future, further research, which observes various aspects of learners'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through various tasks by targeting learners of other languages, will hopefully follow.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