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외현적 시연(vocal rehearsal)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 연구

Title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외현적 시연(vocal rehearsal)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Nonword Produ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ocal Rehearsal Condition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uthors
이슬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아동은 성인에 비해 언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Gathercole & Baddeley, 1993) 언어의 습득과 발달을 위해 언어자극에 대한 수많은 모방과 반복을 필요로 한다. 아동의 언어 습득에 있어서 언어 정보의 부호화(encoding)와 저장 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곧 언어 발달로 연결된다(Stanonvich & Siegel, 1994). 하지만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언어 발달 과정의 대부분 측면에서 전반적인 지체 및 결함을 보인다.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언어적 결함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어휘 학습의 결함은 음운 단기기억(음운 기억 체계)의 결함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Alt & Spaulding, 2011). 어휘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낯선 음운 정보는 일시적으로 음운 저장소에 저장되는데 이 과정의 어려움을 음운 단기기억의 결함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원활한 어휘 습득을 방해하게 된다(Gathercole & Baddeley, 1990; Swank, 1994). 음운 단기기억과 어휘 학습의 관계는 가장 대표적으로 Baddeley(1986)의 작업기억 모델(working memory model)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 모델에서는 어휘 학습의 결함을 작업기억의 한 요소인 음운루프(phonological loop)의 결함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음운루프는 음운 단기기억으로 통용되며(Juffs & Harrington, 2011) 음운 저장소와 시연(rehearsal)을 하위 요소로 가지고 있다. 음운 단기기억의 용량은 제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단기간 저장된 정보는 소멸하기 때문에 정보 유지를 촉진하는 시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Henry, 1991). 즉 능동적인 시연은 음운 정보를 음운 단기기억에 보다 오랜 기간 동안 보유할 수 있도록 촉진하며 나아가 어휘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시연은 아동이 스스로 습득하고 그 효과를 깨달아 자발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으로 알려져 있다(Oxley & Norris, 2000). 하지만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경우, 시연을 자발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비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음운 정보가 음운 단기기억에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Alt & Spaulding, 2011). 때문에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시연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과 시연을 통해 음운 단기기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다. 시연은 제시된 정보를 기억할 때 유용한 방법으로써 내현적 시연과 외현적 시연으로 구분된다. 이 중, 외현적 시연은 아동에게 시연을 훈련하거나 시연의 효과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시연 여부와 횟수의 파악이 용이하고 조절이 가능하여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음운 단기기억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외현적 시연의 횟수를 조건화하여 시연 조건에 대한 음운 단기기억 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음운 단기기억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시연 방법과 정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과 비단어 산출 시 발생하는 오류유형을 분석하여 음운 단기기억의 질적·양적인 차이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어휘력과 비단어 산출 수행력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음운 단기기억의 향상이 어휘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5-7세 언어발달지연 아동 17명,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외현적 시연 조건(시연 억제, 외현적 시연 5회, 외현적 시연 10회)에 대한 비단어 산출 과제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혼합 분산분석(two way mixed ANOVA)과 오류유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집단의 어휘력과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은 비단어 산출 수행력에 있어 집단 간 차이가 유의했다. 즉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모든 외현적 시연 조건에서 더 낮은 비단어 산출 수행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집단 내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했다. 이는 외현적 시연의 횟수가 어떠하든 외현적 시연을 실시했을 경우가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비단어 산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집단 간 비단어 산출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했다. 외현적 시연 5회 조건에서는 두 집단의 수행력 차이가 크지 않으나 시연 억제 조건과 외현적 시연 10회 조건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비단어 산출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각 집단의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의 오류유형을 분석한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시연 억제 조건에서 왜곡을 가장 많이 보였으며 외현적 시연 5회와 10회 조건에서는 음운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반면 일반 아동 집단은 모든 외현적 시연 조건에서 음운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셋째, 각 집단에서 어휘력과 비단어 산출 수행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능력은 어휘력과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이 낮으며 이를 통해 음운 단기기억 능력이 유의하게 낮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외현적 시연이 음운 단기기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음운 단기기억 능력과 어휘력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음운 단기기억 능력은 비단어 산출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시연을 훈련시키고 아동이 시연을 사용함으로써 음운 단기기억 능력을 향상시켜 어휘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temporarily stores phonological information. Because this information is quickly deleted, rehearsal that promote information retention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hearsal method of improving th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bility by examining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according to the vocal rehearsal condition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otal 34 children in two group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17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ged from 5-7 years old and 17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same age range. The study utilized nonwords and abstract pictures with 3 different conditions of rehearsal suppression, vocal rehearsal 5 times, vocal rehearsal 10 times. According to the vocal rehearsal condition, the children had to rehearsal and then to produce the nonwo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between two groups and the error typ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nd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in rehearsal suppression condition and vocal rehearsal 10 times condition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ly,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had different error types according to the vocal rehearsal condition, but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ad constant error types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Thirdly, both group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nd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of the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re lower than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ich means that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have a lower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capacity. In addition, rehearsal has a positive effect on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mprovement, and it implies an association between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bility and vocabular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of training the rehearsal to the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mproves th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bility and positively affects the vocabul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