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성지민-
dc.creator성지민-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5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78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2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dago' complement sentence with different verb types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Dago' complement sentences were used with two different types of verb to examine structure produced, verb produced, and their error types. A group of 15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M=6.8) was compared with a group of 15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M=6.6).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12 items; 6 of complement sentences with communication verb, 6 of complement sentences with mental state verb. A short story was presented through video for each items and asked to say the situation that heard in complement sentence with correct verb. The quest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structure accuracy in complement sentence with different verb typ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Does the verb accuracy in complement sentence with different verb typ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3) Does the verb accuracy correlated with age and expressive word ability for each group of children? (4) What are the error types of complement sentence production for each group of children? Two-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s. In addition, the error types in groups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occur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follows; The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ly difficulty in structure accuracy compared with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ce depending on verb types. Also,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difficulty in verb accuracy but no significance with verb types. However, two 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with verb types. Mental state verb accuracy correlated with age in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Both groups showed grammatical errors most frequently and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emantic errors second most while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didn'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whe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ttempt to produce complex sentence forms, they have weakness to gather all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in one sentence. Based on these findings,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re seemed to need more support for use of complex sentence with variety types of verb at the same time.;상대방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적절한 문장 구조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의미적으로 알맞게 전달할 수 있어야한다. 때문에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하게 되는 문장 구조는 단순한 문장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도를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복잡한 구조의 문장을 사용하게 된다. 복문의 유형 중 한 종류인 보문은 내포문에 속하는 문장 구조로 복문의 형태 중 가장 이르게 발달한다(Bloom, Tackeff, & Lahey, 1984; Diessel, 2004; Diessel & Tomasello, 2001). 아동은 보문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이나 믿음을 전달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인용하여 이야기할 수 있다. 이렇게 의사소통 기능이 강한 보문구조는 특정 동사들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러한 동사는 대체로 구체적인 담화에 참여하는 발화 행위나 마음속의 생각을 표현하는 인지 행위를 나타낸다(Diessel, 2004; Owen Van Horne & Lin, 2011). 일반적으로 인지 동사는 의미적으로 매우 추상적이며 관찰되지 않는 현상을 표현해야하기 때문에 습득과 사용에 있어서 높은 인지 수준이 요구된다. 또한, 동사의 습득 및 발달은 동사가 가지고 있는 구문적, 의미적 습득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곧 동사의 사용이 구문 구조의 사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복문 구조 산출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지만, 보문 구조의 특성에 주목하여 사용을 알아본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보문 산출 과제를 통해 문장 구조 정확도를 살펴보고 보문 구조 산출 시 동사 정확도가 어떤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5-7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으로 총 30명을 대상으로 보문 산출 과제를 진행하였다. 집단 간 보문 산출 과제 수행 시 동사 유형에 따른 문장 구조 정확도와 동사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 혼합 분산분석(two 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고, 각 집단의 동사 정확도와 변인(연령, 표현 어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보문 산출시 문장 구조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산출 과제의 문장 구조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집단 내 요인으로 동사 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주효과와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보문 산출 시 동사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동사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동사 정확도를 살펴 본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집단 내 요인으로 동사 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동사와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연령, 표현 어휘력과 보문 산출 시 동사 수행 정확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는 어떤 변인과도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인지 동사 수행도와 연령, 인지 동사 수행도와 발화 동사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보문 산출 과제 수행 시 오류 빈도 및 오류유형을 분석한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는 문법형태소 오류를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뒤이어 의미 오류, 불완전수행 오류, 모른다 오류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문법형태소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불완전 수행 오류가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 의미 오류, 어순 오류, 모른다 오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보문 산출 시 문장 구조 정확도와 동사 정확도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장 구조 정확도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구문 구조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된 바와 연결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동사 정확도에서도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보문 구조에 익숙하지 않고 구문 내에서의 동사 사용에 있어서 들은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일반 아동 집단과 달리 언어발달지연 집단의 동사 유형에 따른 동사 정확도와 연령, 표현 어휘력 간에는 아무런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구문구조에 취약함을 보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다른 기제의 결함에서 기인된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해 볼 수 있다. 일반 아동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 문법형태소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뒤이어 의미 오류가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문장에 필요한 어떤 요소를 생략하거나 첨가시켜 의미를 변화시킴으로써 구조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의미적인 오류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보문 구조에 대한 이해 및 표현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중재 시 문장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여러 의미 유형의 동사를 구조 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아동의 문장 구조 발달 7 B. 아동의 동사 발달 10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B. 연구과제 19 C. 연구절차 23 D. 자료 분석 방법 24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6 F. 신뢰도 26 G. 예비실험 26 Ⅳ. 연구결과 28 A.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보문 산출 과제 수행 시 동사 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문장 구조 정확도 비교 28 B.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보문 산출 과제 수행 시 동사 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동사 정확도 비교 30 C.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동사 정확도와 각 변인(연령, 표현, 어휘력)간 상관관계 33 D.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보문 산출 과제 수행 시 오류 빈도 및 오류유형(의미 오류, 문법형태소 오류, 어순 오류, 모른다, 불완전 수행) 분석 35 V. 결론 및 논의 37 A. 결론 및 논의 37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2 참고문헌 44 부록 53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506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동사 유형에 따른 '-다고' 인용 보문 산출 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duction of Korean ‘-dago’ Complement Sentence Depending on Verb Type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dc.format.pageviii,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