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4 Download: 0

한글 음절구조의 입체모형 중재가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의 받침 읽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글 음절구조의 입체모형 중재가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의 받침 읽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3D-model of Hangul syllabic structure intervention on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uthors
서솔명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nd abroad for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positively influences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By the way, It is reported that the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is not effective in the final consonant due to the unique writing system of Korean. The Korean writing system, a phonemic syllabary, is unlike that of most other alphabets. The graphemes are not written one after another in a linear form, but are grouped together into a syllable block consisting essentially of a phonetic syllable, which makes Korean an alphabetic syllabary(Taylor & Olson, 1995). For this reason, the training is required for final consonant in Hangul to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1) the effect of 3D-model of Hangul syllabic structure intervention on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2) generalization effect in untrained word, and (3) maintenance effect.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Every session comprise 5 minute test, 50 minute training and 5 minute proving in intervention, and test is performed prior to training. Subjects took a tests about trained word in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hase and untrained word in generalization phase. In intervention phase, subjects were trained 2 times a week during 8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ugh degree of performance improvement and effect size is differed from each subjects, reading ability of all subjects is improved. In the case of reading abili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all subjects showed a rising tendency, and the effect size were big or large. Second, after finishing th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effect was measured. There are generalization effect in untrained word for all subjects. Third, maintenance phase started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phase. In maintenance phase, all subjects showed maintained reading ability in trained word.;읽기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훈련을 실시한 논문들이 국내외 다수 발표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통해 음운인식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음운인식 훈련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보고되었는데, 이는 한글의 특성에 기인한다. 한글은 음소문자이다. 그러나 여타의 다른 음소문자와는 다르게 자모를 일렬로 배열하지 않고 2개 이상의 자모를 묶어서 쓰는 모아쓰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음절이라는 단위를 출현시켰다. 음절은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들 중 종성에서는 음운인식 훈련의 효과가 미미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음운인식 훈련을 통해 단어재인 수행력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음운위치별 오류율 분석에서 종성의 오류율은 낮아지지 않았다. 때문에 종성에 대해서는 음운인식 훈련 외에도 다른 중재 접근법을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읽기장애 아동 대상 중재연구 중에는 음운인식 훈련과 자소-음소 대응 훈련을 결합한 연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특별히 이와 같은 방법으로 종성에 대한 읽기 중재를 실시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한글이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규칙적인 표층표기체계라는 점에 근거하여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중재할 경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운인식과 자소-음소 대응관계를 교수 요소로 하는 합성(synthetic) 접근법을 기초로 한글 음절구조의 입체모형 중재를 실시하여 (1) 학령기 읽기 장애아동의 받침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2) 훈련하지 않은 단어에 대한 일반화 효과와 (3) 중재가 끝난 후에도 향상된 받침 읽기 능력이 유지되는지에 대한 유지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받침이 포함된 1-2음절 단어에서 종성을 탈락하거나 대치하는 등의 읽기 오류를 보이는 초등학생 3명을 대상아동으로 선정하였으며, 중재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를 이용하였다. 매 회기 60분씩 진행하였고, 회기별 수행력 데이터 수집을 위한 평가 5분, 받침 읽기 훈련 50분, 그리고 다음 회기의 단계설정을 위한 검증(proving) 5분으로 이루어졌다. 중재는 최대 24회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단계별로 최대 회기수를 채우지 않아도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준거를 설정하였는데, 매 회기 실시한 검증에서 정답률이 연속해서 3회기 동안 85% 이상 유지될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 음절구조의 입체모형 중재를 3명의 읽기장애 아동에게 실시한 결과, 수행력의 증가 정도와 효과 크기는 각각 달랐지만 모든 대상아동의 받침 읽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 크기를 살펴보면 대상아동 3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대상아동 1과 2 또한 중재의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보다 중재 단계에서 정답률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기초선, 중재, 일반화 단계에서 실시한 일반화 평가에서 대상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의 정답률보다 중재 단계에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고, 기초선 및 중재 단계와 비교했을 때 중재 종결 직후 실시한 일반화 단계에서 정답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중재가 진행될수록 모든 대상 아동의 정답률이 상승하였는데, 이것으로 중재의 효과가 훈련 받지 않은 단어의 받침 읽기에서도 일반화 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3명의 대상아동 모두 중재가 끝나고 3주간의 휴지기 이후에도 중재를 통해 향상된 받침 읽기 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단계와 비슷하거나 향상된 수행력을 보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도 받침 읽기 능력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한글 음절구조의 입체모형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의 받침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받침 읽기 중재 도구로서 입체모형의 효용 가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글 종성에 대한 중재 연구가 많지 않은 가운데 앞서 보고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