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고은비-
dc.creator고은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9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lower factors on parental stress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who raise age 0 to 6 infants. In today’s society working mothers are steadily increasing and parents responsibility and requirement standard are getting higher than the past. Especially working mothers who combine a job, a housework and parenting at the same time complained of severe role burden and stress. And this high level of parental stress predicted to bring negative effect on mother’s mental health. Thus routinely accumulative stress threaten not only one’s own wellbeing but also conjugal relations and child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infants between the age of 0-6 are when the rapid human development occur dynamically, which high quality cares and interaction with nourisher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working mothers who have infants as the object of study. And also it attempts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 which became known as mediator between the stress and depression. Eventually, this paper aims to lead social interest and provide basis for working mother’s welfare intervention. For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150 working mothers who have infants in 8 nursery facil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rea.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analyze the effect of parental stress’s lower factors, and child’s difficult tempera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ing mother’s depression.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s lower factors(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I conducted a hier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s a result, material support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nd the rest of other factors have main effect on working mother’s depression. This result means material help such as money, products, service, and time has moderation effect between working mother’s parental stress and depression. and also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te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rough verifying the effect on parental stress to depression, provides basis data about working mother’s mental health. And discussion of the intervention for mother’s negative emotions and depressions, proper social support is important matter.;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 취업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양육에서의 책임과 부모 역할의 요구 수준은 더욱 높아지면서 양육자에게 높은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다. 가사, 육아와 더불어 사회생활을 병행하고 있는 취업모는 과대한 역할에 따른 부담과 양육스트레스를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취업모의 높은 양육스트레스는 현대 여성의 정신건강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렇게 일상적으로 지속되는 스트레스가 누적될 때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어머니 본인의 정신적 안녕뿐만 아니라 부부관계 및 자녀의 정서적 발달에도 부적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특히 신체와 기능이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양육자의 특별한 돌봄과 상호작용이 필요한 만 0세에서 6세 사이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우 가장 높은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생활사건에서 중재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적 지지 변인을 출처 중심이 아닌 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연구의 차별성을 두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소재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8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만 0세에서 만 6세 사이의 취학 전 아동을 둔 취업모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취업모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변인 별로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양육스트레스 하위 변인 중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을 중심으로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물질적 지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걸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취업모에게 지원되는 돈, 물건, 서비스, 시간 등과 같은 직접적인 도움을 의미하는 물질적 지지가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하위 변인에서도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는 유효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취업모가 지각한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가 독립적으로 취업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결과,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하위 변인인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모의 우울 간에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취업모가 지각하는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취업모의 우울에 주효과를 나타냈으며, 물질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취업모의 정신건강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취업모의 정신건강을 해치는 우울 및 기타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법을 논의함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양육스트레스 6 B. 취업모의 우울 9 1. 취업모의 우울 9 2.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11 C.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12 1. 사회적 지지 12 2.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14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B. 측정도구 18 1. 양육스트레스 척도 18 2. 우울 척도 20 3. 사회적 지지 척도 20 C. 연구절차 22 D. 자료분석 22 Ⅳ. 연구결과 23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3 B.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24 C. 양육스트레스 하위변인이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6 D.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별 조절효과 27 1.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27 2. 물질적 지지의 조절효과 28 3. 정보적 지지의 조절효과 29 4. 평가적 지지의 조절효과 30 Ⅴ. 결론 32 A. 연구결과 요약 32 B. 논의 35 1.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35 2.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 37 C.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 설문지 50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6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oder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arental Stress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dc.format.pagev,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