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3 Download: 0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과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과정 비교 연구

Title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과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과정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analysis of 5-year-old science education contents of Nuri curriculum and in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Authors
김주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는 생애최초의 교육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유아교육에서의 과학 영역 교육내용에 대해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유아교육은 전통적으로 활동중심 통합교육을 지향해 왔으며, 이에 따라 과학 영역의 유아교육에 대한 논의에서도 유아수준에 적합한 과학적 개념이나 원리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기보다는 어떤 활동을 제시해 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결과적으로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 역시 활동중심의 교육과정기준의 특징을 갖게 되었으며, 현장의 교사들의 고민, 즉 유아의 수준에 적합한 과학교육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그 기준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기준(NGSS) 유치원과정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과정 과학 영역의 교육내용 구성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과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과정의 특징은 각각 무엇인가? 둘째,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과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 과정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절차는 문헌 분석과 면담 등 두 가지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5세 누리과정 및 교사용 지침서와 해설서,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기준 유치원 과정에 관련된 문서자료를 비교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4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한국과 미국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한국 유치원 과학교육과정의 개선 과제에 대한 의견을 확인하였다. 먼저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과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과정의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과정은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핵심 아이디어, 과학과 공학의 실천, 관통개념 등 세 가지 차원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세 차원으로 구성되는 수행기대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반해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은 초·중등 교육과정과는 다른 독자적 형식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내용-내용범주-세부내용으로 제시되고 내용진술이 포괄적이다. 둘째,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의 수행기대와 한국의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 세부내용을 비교해보면, 수행기대는 수행기준으로 제시되었고, 세부내용은 주로 교육과정기준으로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개념적 지식을 ‘핵심 아이디어’로 제시하는 반면, 5세 누리과정에서는 탐구 활동 자체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과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 유치원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누리과정 과학교육 내용이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를 명확히 제시해 주지 않는데 비하여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은 ‘핵심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는데 교사들은 핵심 아이디어를 제시해 주는 것이 수업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둘째, 한국 유아교육과정 과학교육 내용도 초·중등 교육과 체계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교과전문가들이 유아교육과정 개정에 함께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한국 유아교육과정에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에서 제시되는 ‘핵심 아이디어’와 같은 과학적 개념 지식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예비교원양성 단계에서부터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서 과학교육 내용을 제시할 때, 유아가 수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성취기준’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이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가 성취해야 하는 지식과 기능 수준을 포함하는 수행기준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과정에서 과학교육 내용을 제시할 때는 단편적인 ‘사실’이 아닌,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의 핵심 아이디어와 같은 형태의 ‘개념’이나 ‘원리’에 해당하는 내용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교육과정에 과학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전체 구성 및 체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유아수준에 적정한 과학적 개념과 원리를 교육과정에서 제시할 수 있도록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고, 예비교원양성단계에서부터 유아 수준에 적정한 과학교육 내용이 무엇인지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orean and U.S kindergarten education concerning science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has been emphasized as the first-time educatio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traditionally pursued activity-oriented integrated education, and accordingly, discussion concerning science fiel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focused on what kind of activity to propose rather than discussing what the appropriate 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for early childhood level are. As a result,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cess also began to have a characteristics of activity-oriented education process standard, and thus concerns of teachers on-site, in other words, concerning what the appropriate science education contents are, it is actually difficult to figure out the standard. Based on this awareness of issu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field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and 5-year-old science education cont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5-year-old science education contents and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 what are the awareness of teache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5-year-old science education contents and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Research procedure proceeds with two procedures including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 Firstly,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documents of 5-year-old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 and manual and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Focusing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analysis, I will figure out the teachers’ awarenes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U.S,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cess by conducting an interview with 4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n recognized the improvement task of Korean kindergarten science curriculum. To begin with, the comparison analysis of 5-year-old science education contents and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since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consists of the form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and also provides 3 main ideas which are pract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penetrating concept and the expected practice composed of these three levels are suggested. On the other hand, 5-year-old science education contents are proposed as a different and independent form from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 and it offers content-sub-content-details of which description is more comprehensive. Second, when comparing and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expected practice and 5-year-old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contents’ details, the expected practice are proposed as a standard practice, and details are proposed as a curriculum standard. Third, while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suggests the conceptual knowledge which should be learned through activities as ‘a core idea’, 5-year-old curriculum points out the research activity itself. Next, the analysis about teachers’ awareness regarding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5-year-old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does not clearly suggest what should be taught, but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suggests a ‘core idea’ which would be helpful for teaching lessons. Secondly, there are opinions tha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contents in Korea, in order to systematically associate with primary, middle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course professionals participate in revision. Lastly,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lso needs to be concerned and learn consistently about ‘what to teach’ starting from the level of cultivation preliminary teachers to clearly suggest the scientific conceptual knowledge such as ‘core idea’ which is proposed in the U.S. next generatio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acquir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when proposing scientific education contents on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t has to propose the things for young children should achieve through class, as a form of ‘standard of accomplishment.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should be provided as a practice standard which includes knowledge and function level which the learners would achieve though classes. Secondly, when suggesting science education cont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t should clearly propose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and ‘principle’ like core ideas of U.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stead just fragmentary ‘fact’. Third, the review of the entire structure and system propos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contents. Fourth, the active discussion about ‘what should be taught’ is required in order that the curriculum can propose the scientific concept and principle suitable for young children level. And it is necessary to enable learning the science education contents, which are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 from the level of cultivating preliminary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