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제영-
dc.contributor.author이현미-
dc.creator이현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02-
dc.description.abstract2016년 자유학기제 전면시행과 진로교육 집중 학년·학기제 시행 계획 발표로 학교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어, 자신과 직업의 세계를 이해하고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해 나가는 수준으로 정의되는 진로성숙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생애 첫 진로를 선택하게 되는 중학교시기에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올바른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기 위해서는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주로 개인 관련 요인과, 개인 및 가정, 개인 및 학교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되어 왔다. 청소년의 진로성숙에는 학생 개인을 비롯한 학생 주변 환경이 모두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학생 개인과 직접 관련된 개인요인, 학생이 속한 가정배경과 관련된 가정 요인, 학생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것과 관련된 학교생활요인의 통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진로성숙도는 진로 계획 수준,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 직업에 대한 수단적 태도로 보았고,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생 개인 요인, 가정 요인, 학교생활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교육정책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가정·학교생활 요인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둘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2013)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63개 중학교 2학년 학생 3,076명이고, 분석방법은 t검정과 F검정,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 중에서 자아존중감은 진로 계획 수준,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직업에 대한 수단적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습자로서 자기 이해는 진로 계획 수준,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업에 대한 수단적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가 및 취미활동 시간은 진로 계획 수준,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직업에 대한 수단적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요인 중에서 부모신뢰관계는 진로 계획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부모양육태도(합리적 설명)는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요인 중에서 동아리활동은 진로 계획 수준과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에 대한 수단적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 상호작용은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교사 상호작용은 진로 계획 수준,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자아존중감을 높게 유지하여 진로성숙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교육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스스로 자기 이해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해야한다. 셋째, 가정에서는 부모가 자녀들의 진로성숙을 위하여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동아리활동을 비롯한 다양한 체험활동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생활에서 교사 및 친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교만족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설문 데이터를 직접 설계하여 연구를 진행한 것이 아니라 ‘경기교육종단연구’2차년도(2013) 자료에서 조사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한된 문항만을 변수로 활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횡단으로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연구의 정확성을 높이려면 시계열적 분석을 시행하여 진로성숙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교급별, 학년에 따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경기도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된 연구 자료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전국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지역의 학교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후속적인 연구에서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Free Learning Semester is fully implementing, and Career Training Course Intensive Semester has been announced to be enforced in 2016. As beginning of the implementing, the role of Career Training Course Intensive Semester in public educa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Also, it can be expected that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ree Learning Semester and Career Training Course Intensive Semester would better understand their future career. Futhermore, it would help the students search for their career and have plans for their futur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Career Training Course Intensive Semester is very obvious for improving students' career maturity. Especially, for students in middle school, it is time to decide about their future career for the first time. Because of that, factors which affect on students' career maturity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to help the students search and choose their future career better. Researches about factors influencing on career maturity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mainly in factors related to personal issue, family and school life. Because not just the student oneself but also all circumstances the one in have influences on career maturity, all factors that he or she is related to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research.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a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earch for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personal, family and school life factor. Based on results of the research, it suggests efficient educational policies of the career training course that help career maturity improved. The career maturity is defined as four elements. These are career planning level, self-understanding of career,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and instrumental attitudes toward the profess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career maturity are divided by three factors; personal factor, family factor and school life factor.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on personal, family and school life factor?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76 8th graders in 63 middle schools whose data were researched by GEPS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in 2013. The data of the research were analyzed with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mploying statistical program SPSS 23.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mong the personal factors,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lanning level, self-understanding of career, positive attitudes towards of profession. However, it affects negatively on instrumental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Another personal factor, self-understanding as learners positively influences on career planning level, self-understanding of career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Just like self-esteem does, it has a negative effect on instrumental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The other personal factor, hours of leisure and hobby activity also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career planning level, self-understanding of career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but influence negatively on instrumental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Secondly, there are two family factors: parents-children confidential relationship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rational and affectionate behavior). The parents-children confidential relationship positively affects on career planning level,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rational and affectionate behavior) has affirmative influence only on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Third, one of school life factors, club activity affects on career planning level and self-understanding of career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it has an negative effect on instrumental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Relationship with friends has a good effect on self-understanding of career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rofession. Also, relationship with teachers affirmatively influences on career planning level and self understanding of career.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Most of all, to keep students' self-esteem steadily increased, it needs a supportive educational policy. Next, appropriate educational circumstanc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level of self-understanding as learners. Thirdly, not only the public education but also family members especially parents have to more concern about children's future and encourage them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so that students' career maturity will be improved. Fourth, school curriculum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more various club activities and field work. So, they can have more chances to experience diverse careers as many as they can. For the last, school should support the students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nd teachers. So, the students have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Through the support, better career maturity can be expected. Even though this research tried to find some policies to support the career training course by analysing factors that affect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t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is research is not proceeded with data designed by the researcher, but data by GEPS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Second, the research is only cross-analyzed. For that reason, its accuracy is of doubtful. So, latter researches should consider about more various factors like school and grade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Thir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students who live in only Gyeonggi district, so it has a limitation to make a generalization; to make this kind of researches generalized, subject of latter researches need to stretch out to all districts in Korea. To overcome all these limitation, latt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analyze more various factors which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진로교육정책 6 1. 진로성숙도 개념 6 2. 진로교육정책의 변화 13 B.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 1.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 18 2.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요인 26 3.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 요인 33 Ⅲ. 연구방법 39 A. 연구 대상 39 B. 연구 모형 및 측정 변인 41 1. 연구모형 41 2. 측정변인 43 C. 분석방법 53 Ⅳ.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5 A. 개인가정학교생활 요인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 55 1. 진로 계획 수준 차이 분석 55 2.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 차이 분석 57 3.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 차이 분석 58 4. 직업에 대한 수단적 태도 차이 분석 60 B.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2 1. 중학생의 진로 계획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2 2. 중학생의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4 3. 중학생의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6 4. 중학생의 직업에 대한 수단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8 Ⅴ. 논의 및 결론 71 A. 논의 71 B. 결론 80 참고문헌 86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Based on Gyeonggi Educaion Panel Study(GEPS)-
dc.creator.othernameLee Hyun Mi-
dc.format.pageviii, 97 p.-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contributor.examiner박주형-
dc.contributor.examiner정제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