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효-
dc.contributor.author이기쁨-
dc.creator이기쁨-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1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119-
dc.description.abstract초등학교 교실의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는 인성교육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소통의 부재가 그 문제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통의 기초가 되는 공감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소통 기술로서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어교과를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의 초등 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E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분석하여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원과 제재를 선택하였다. 공감 능력 향상만을 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일반 교과 수업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국어과의 본래 학습 목표에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목표를 추가하여 목표를 설정하였다. 순환적 공감모형에 따라 차시를 정교화하여 학습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 8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정량적 평가 도구를 이용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의 공감 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고 관찰, 인터뷰, 후기 분석 등을 통해 정성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E초등학교의 1학년 한 학급 아동 25명이다. 프로그램은 국어과 내용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8회기 15차시에 걸쳐 적용되었다. 연구자료의 수집은 프로그램 적용 이후 아동들이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 후에 후기를 작성하게 하였고, 후기를 작성할 때 연구자와 짧은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아동들의 수업 모습과 평소 학교 생활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또한 매 회기 후에 연구자가 저널을 작성하였다. 정량적 평가 도구를 통해 알아본 결과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공감 능력이 향상되었다. 공감 능력 검사 도구는 공감의 세 가지 요소인 인지적 요소, 정서적 요소, 의사소통적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아동들은 세 요소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정성적 분석을 위한 후기, 관찰, 인터뷰, 저널을 통해서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공감의 의사소통적 요소가 향상되었다. 둘째, 도움 행동이 증가하였다. 셋째, 또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국어과의 의사소통적 학습 요소를 통해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적용된 국어과 수업은 아동들의 공감 능력의 인지적, 의사소통적 요소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연구 대상이 1학년이었기 때문에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공감 능력을 측정하였을 때 이들의 인식의 한계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계획하였던 다양한 교수 방법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었는데 1학년 아동들이 받아들이기에 다소 어렵고 복잡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1학년 아동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의 탐색이 필요하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아동들의 인식 수준과 발달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한다.;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is linked with personality education. Such issue is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and to resolve the issue, education that can improve ability of empathy, which is a base of communication, is needed. This study is an execution study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as reorganized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ability of empathy as a communication skill. In the process to develop a program of the Korean Language to improve ability of empathy,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to select component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in 8 sessions. Through preliminary review and post review using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level of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bility of empathy was verified; for qualitative analysis, observation, interview and post-analysis were conducted.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5 first grader students at 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daemun-gu, Seoul.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used in school and applied to 15th hour in 8 sessions. To develop the program, the national level of education process and the programs at E elementary school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select units and topics. It is a program not only to improve ability of empathy but also can be applied in regular classes; therefore the goal for improving ability of empathy was added to the existing learning goal. The hours were elaborated according to the circular empathy model to select the learning content and method for organizing the program. For collection of the study materials, the students wrote reviews after the class, based on when they learned in the class; when the students wrote reviews, they also did short interviews.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lass activity and how the students behaved in school. Also, the researcher wrote journals after each session. With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it was confirmed that empath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improved. Empathy test tool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for measurement: recognitive, emotional and communicational element. The students showed significance in all three elements. Through reviews, observation, interviews and journals for qualitative analysis, three results were drawn. First, communicational element was improved. Second, helping activity increased. Third, understanding of peer relationship extended. Based on there study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ability of empathy can be increased through communicational element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Second, The Korean Language class to which the program for improving ability of empathy was applied, affected positively improving recognitive and communicational element of ability of empathy. However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in improving ability of empathy. Since the study subjects were the first graders, their limited recognition ability might have affected when measuring their ability of empathy using the test tool. Also when organizing the program, various teaching methods couldn't be applied therefore the first graders might have had difficulties in processing what they lear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인성과 인성교육 5 B. 국어교과와 인성교육 11 C. 공감 16 Ⅲ. 연구 방법 28 A. 연구 설계 28 B. 연구 대상 29 C.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절차 31 D. 프로그램 평가 45 Ⅳ. 연구 결과 48 A. 개발된 프로그램 48 B.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초등 국어과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58 Ⅴ. 결론 및 제언 79 A. 요약 및 결론 79 B. 제언 83 참고문헌 85 부록 1. 공감 검사지① 91 부록 2. 공감 검사지② 95 부록 3.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초등 국어과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안 97 부록 4.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초등 국어과 프로그램에 사용된 학습지 114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691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초등 국어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to improve ability of empathy-
dc.format.pagev,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