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0 Download: 0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발달 연구

Title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발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literacy by First Graders : Focusing on the first graders’multimodal texts as composition
Authors
김선화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약 1년에 걸쳐 복합양식 텍스트를 분석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발달 양상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H 초등학교 1학년 한 개 반 19명이며,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시 그림 영역에서의 복합양식 유형의 사용은 어떤 양상으로 발달하는가? - 1학년 학생들의 전반적인 복합양식 유형의 사용 양상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 1학년 학생들의 성별 및 국어 능력 수준에 따른 복합양식 유형의 사용 양상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2.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시 글과 그림의 의미구성은 어떤 양상으로 발달하는가? - 1학년 학생들의 전반적인 글과 그림의 의미구성 양상 발달은 어떠한가? - 1학년 학생들의 성별 및 국어 능력 수준에 따른 글과 그림의 의미구성 양상 발달은 어떠한가? 연구 기간은 2015년 4월부터 2016년 2월까지이고 총 190편의 복합양식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한 학생 당 총 10편의 텍스트를 제작했으며 제작 이후 곧바로 면담을 실시한 후 내용을 녹음 및 전사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선행연구의 분석 기준 틀에 기초하여 복합양식 유형의 사용 빈도를 누가 기록하면서 양상 발달을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양식 유형 중 말 주머니와 움직임 표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제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신체 활동과 관련된 주제의 표현 시 많이 나타났다. 연결선과 이름 붙이기 사용 빈도는 비교적 주제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표현의 정확성과 명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복합양식 유형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용빈도가 높고 남·여 간 차이가 많다. 특히 이모티콘은 남·여의 차가 많은 복합양식 유형으로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주로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여학생이 감정과 느낌의 표현이 더 많고 풍부한 것을 나타내며 남학생이 정서적 표현과 감정표현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모티콘은 다른 복합양식 유형에 비해 사용빈도가 낮았고 여학생이 활용과 인식에 있어서 남학생보다 발달이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준별 복합양식 유형의 사용 양상에서 상위권과 중위권 학생은 완만한 발달을 하위권 학생은 급격한 발달의 모습을 보여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그 격차가 많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학생의 가정, 문식성후원자의 차이와 교육적 환경 및 관심 그리고 한글 획득 시기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배움이 늦은 학생들의 발달 특성과 입문기 한글 획득의 정도 차를 고려한다면 복합양식 텍스트와 비슷한 유형의 그림일기, 독후감상활동의 평가는 1학년 말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1학년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대응 관계로 글과 그림의 의미 관계를 구성하였고 입학 전 이러한 관계를 습득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글과 그림의 의미 구성에 있어서 학습자의 국어 능력 수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응 관계에서는 축소 관계가 많이 나타났다. 정교화 관계는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글과 그림의 의미 구성관계는 단순화되어 표현하는 축소 관계에서 자세하고 명시성이 높은 정교화 관계로 발달하였고, 정교화 관계는 여학생들이 더 빠른 발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정리하여 구체적인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학년 시기의 쓰기 평가는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 위주의 방식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형태의 글쓰기 평가 방식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1학년 쓰기 평가는 2학기 중반 이후에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1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평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습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특성이 다양하므로 텍스트 제작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지도와 수준별 지도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 학급 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 그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복합양식 문식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배경변인들에 대해 충실히 논의하지 못했다는 점에서도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복합양식 문식성의 발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므로 다양한 방면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기간 동안의 복합양식 문식성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다. 3-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면에서 누리과정 시기와 초등 1학년에 걸친 발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복합양식 문식성의 발달을 기초로 한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서 초등학교 전 학년에 걸친 발달 연구도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development aspects of multimodal literacy by analyzing multimodal texts of first graders. Nineteen students in a Grade 1 class at “H”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involved in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the key issues of this study. 1. How do multimodal patterns in drawing domain develop when first graders practice multimodal texts? - How is the first graders’overall development of multimodal patterns? - How is the first graders’development of multimodal pattern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ability of Korean language? 2. How does meaning construction of writings and drawings develop when first graders practice multimodal texts? - How is the first graders’overall development of meaning construction of writings and drawings? - How is the first graders’development of meaning construction of writings and drawing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ability of Korean language? The duration of this study was from April 2015 to February 2016, and a total of 190 multimodal texts were analyzed. Ten texts were produced per student,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 production, which were record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development aspects by recording the frequency of multimodal patterns in texts based upon analysis framework of the precedent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ech bubbles and motion expression were largely influenced by subjects and it was used a lot when expressing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opics related to physical activities. The frequency of connection line and giving titles increased continuously relatively regardless of topics, and it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quantitative increase and raising the accuracy and clarity of expression. Female students used multimodal patterns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and there's a big gap in the difference.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used emoticons more than male students as it is one of multimodal patterns with a big difference between genders. It means that female students express their feelings and emotions more and male students are less enthusiastic about expressing their emotions than their counterpart. Emoticons were less used multimodal patterns than others, and female students were at more developed stage in recognizing and using it.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patterns according to ability of Korean language, top and mid-level students showed gradual growth whereas low-level students recorded rapid growth, and the gap between them narrowed compared to early stages. It's fair to say that this was caused by differences in personal and social literacy sponsor of students, educational background, interest, and ages when they acquired the Korean alphabet.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eculiarities of slow students and differences in acquiring the Korean alphabet at the introduction stage, evaluations on picture diaries and reading impression papers much like multimodal texts should be conducted at the end of first grader's term. Second, first graders, in general, grasped meaning construction of writings and drawings by symmetry and they acquired this before they entered school. In regards to meaning construction of writings and drawing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arner's ability of Korean alphabet did not occur. Symmetry tended to be simplified in many cases. Elaborate stages mostly took place in female students, and it gradually increased. The meaning construction of writings and drawings developed from simple to detailed and elaborate, and female students showed faster grow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pecific proposals include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First,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assessment on writing for first graders from traditional text-centered evaluation to multimodal text writing. Second, it's appropriate to conduct writing evaluations on first graders after the middle of their second semester. Third, a study on multimodal text evaluation of first graders should be conducted. Lastly, individual lessons are needed considering the nature of text practice and use as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exts vary among specific learner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can not be generalized as it was conducted with the involvement of nineteen students in a class. It also has limitations as it did not consider other variables that impact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literacy. As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literacy are almost nonexistent, in-depth research into this field from various perspectives are needed.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spects of multimodal literacy of first graders. Studies on kindergarten students are also needed in terms of link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choolers. In addition, research on all level of elementary students are necessary for the systematic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liter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