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류미현-
dc.creator류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제한된 공간이 아닌 유아의 일상적 생활환경이자 자연환경인 도시 숲을 활용한 탐구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효과 및 유아의 탐구활동의 특징을 파악하고, 숲 탐구체험 활동의 결과물에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4, 5세 유아 14명이고, 연구 장소는 유아들의 생활공간과 인접한 자연 숲이다. 연구자는 직접 숲 탐구체험 활동을 진행하였고, 유아들의 숲 탐구체험은 2016년 3월 17일부터 5월 17일까지 활동하였다.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 프로그램의 주안점은 방법적 측면으로는 탐구과정을 활용한 숲 탐구체험 활동이고, 내용 영역 측면에서는 도시 숲의 자연물 중, 유아들에게 친숙한 자연물인‘ 흙’, ‘ 식물’, ‘동물’주제 영역의 3모듈, 총 10차시의 프로그램이다. 궁극적으로는 유아의 생활환경과 밀접한 공간인 도시 숲을 탐구체험 활동의 장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 중 탐구과정에서 유아들은 교사의 의도와는 다르게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 주제에 따라 탐구활동을 선택하였고 탐구활동과 놀이 활동이 주도적으로 이루어졌다. 유아들이 놀이에서 탐구로, 탐구에서 놀이로 넘나드는 활동을 하는 것은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을 통하여 유아가 놀이에 몰입하였고, 적극적인 탐구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유아는 내면화가 이루어졌고 탐구능력 함양과 더불어 인지발달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들은 숲 탐구체험 활동을 진행할수록 활동 목표와 탐구 목적에 맞는 적절한 도구를 활용하였고, 의사소통 부분에서는 활동 초기에는 교사의 질문에 단답형의 대답을 하던 유아들이 자기주도적인 탐구활동을 하면서 교사에게 질문을 하거나 또래와 토의를 하는 등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셋째, 탐구기능 중 하나인 창의적인 사고력이 숲 탐구체험 활동의 결과물에서 나타났다. 숲 탐구체험 활동에서 유아는 자기주도적인 탐구활동을 하다가, 우연한 사건에 상상력이 더하여져서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었다. 창의적인 표현은 사고력이 발달하여 나타나는 영향이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탐구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연에 대한 관심을 배양하고, 유아의 탐구능력 함양과 창의적 사고력의 발달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판단된다. 통합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진 숲에서의 탐구체험활동은 유아의 탐구활동과 과학적 사고력, 의사소통, 사회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탐구과정과 창의적 사고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아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장기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자연물을 이용한 탐구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inquiry is investigating the effect and peculiarity of Children's researching activity about developing and applying the researching activity using not a restricted space but city forest which is infant's daily living and natural environment, and checking the infant's creative thinking coming of the front from output of researching activity. An object of study is the fourteen Childrens from age 4 or 5 at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 inquiry place is city forest adjacent to their living space. Researcher made direct proceed with inquiry, from March 17 to May 17, 2016. Researching city forest activity built by this inquiry utilized exploratory function like observation, classification, comparison, prediction in methodical aspect, and in aspect of content, used 'soil', ' plant', 'animal' which is familiar with them as the subject area. Here are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e researching city forest activity First, the focus of the researching city forest activity uses investigation process in a methodical aspect, and in aspect of content, the focus is three module, 'soil', 'plant', 'animal' which is familiar with children, that consists of ten times program. Ultimately, this research is to let people know the city forest, which is close to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is enough valuable to utilize as the researching field. Second, in the researching city forest activity, children chose activities with their like, different from tutor's intend, and the they took the lead, doing the researching and play activities by their own. Doing the activity across the play and research makes children concentrate on playing and they led the activity. Through the process, children experienced internalization, and it was helpful to build up the researching skills and to develop the cognitive ability. At first, children answered short at tutor's question but they gradually inteact actively in lingual aspect by asking at tutor or having some discussion with each other, and they also made full use of tools fit for the purpose. It was the education to conserve the nature and build their sensibility. By that education, they could connect to nature personally through the 'searching for nature' attitude and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ird, creative thinking skill, one of the inquiry skill, is appeared on the result of the inquiry of forest activity. In there, leading the researching, children made creative work by combination of a casual incident and imagination. The inquiry program consisted of integrated activity is what improves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 and society. Here are the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First, a follow-up study is needed, about children's interaction that influences inquiry process and creative skill focus of the inquiry of forest activity. Second, other follow-up study is also needed, about factor analysis that inquiry study using natural object influences on children's creativity. Therefore, since researching city forest activity built by this research can develop the Children's interest in nature, and improve the ability to search and creative thinking skill, it appears to be an effective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탐구 학습 4 1. 탐구 학습의 개념과 교육적 효과 4 2.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 5 B. 도시 숲 체험 활동 6 1. 도시 숲 체험 활동의 의의 6 2. 도시 숲 체험 활동의 필요성 및 교육적 효과 7 C. 누리과정에서의 자연탐구 8 D. 창의적 사고력 9 Ⅲ. 연구 방법 11 A. 연구 대상 11 1. 연구 대상 및 기관 11 2. 도시 숲 탐구체험 장소 12 B. 연구 방법 13 1. 참여관찰 13 2. 면담 14 3. 자료 수집 14 C. 연구 절차 15 1.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 프로그램 개발 16 2.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 프로그램 구성 17 3. 자료 분석 1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1 A. 도시 숲 탐구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내용 21 1. 도시 숲 탐구체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21 2. 도시 숲 탐구체험 프로그램 내용 22 3.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 프로그램 사례 23 B. 도시 숲 탐구체험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및 특징 분석 25 1. 도시 숲 탐구체험 프로그램 적용 효과 25 2. 모듈 별 유아들의 탐구활동 특징 25 3.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에서 나타난 도구사용 능력 40 C. 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 결과물에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42 Ⅴ.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2 부록1. 전사형식 57 부록2. 도시 숲 탐구체험 프로그램의 참여 동의서 58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465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도시 숲 탐구체험 활동이 유아들의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inquiry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city forest on both inquiry skills and the creative thinking skill on Children's-
dc.format.pageiv,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