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희원-
dc.contributor.author민지원-
dc.creator민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9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산부인과 방문 의도를 저해하는 요소를 밝힘으로써 차후 산부인과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결정 모델인 계획된 행동이론(이하 TPB)를 확장하여 적용했다. TPB의 기존 변수인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주관적 규범에 산부인과적 특성인 공포를 확장하고, 산부인과 방문 행동이 한국사회에서 받는 사회적 압력을 반영하기 위해 기술적 규범과 지시적 규범을 확장했다. 이로써 확장된 TPB는 정서변인(공포), 인지변인(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사회규범변인(주관적 규범, 기술적 규범, 지시적 규범)으로 재구성되며, 각 변수들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정서-인지-사회규범 세 변인의 상호작용도 탐구했다. 더불어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과 관련된 대인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된 TPB를 매개하여 산부인과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총 네 개의 연구가설과 두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확장된 TPB의 변인 중 정서변인에 해당하는 공포와 산부인과 방문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공포의 본질적 특성인 회피와 산부인과에 대한 미혼 여성들의 막연한 두려움에 근거해, 공포가 클수록 산부인과 방문의도는 낮아질 것임을 가정했다. 두 번째 연구가설로는 확장된 TPB의 변인 중 인지변인에 해당하는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와 산부인과 방문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통제감이 높을수록 방문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을 가정했다. 세 번째 연구가설로는 TPB의 변인 중 사회규범변인에 해당하는 주관적 규범, 기술적 규범, 지시적 규범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산부인과 방문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임을 가정했다. 네 번째 연구가설은 대인커뮤니케이션과 TPB의 관계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된 TPB의 각 6개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것이다. 연구문제 1은 확장된 TPB의 정서, 인지, 사회규범 변인이 상호작용하여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탐구하는 것이고, 연구문제 2는 대인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된 TPB를 매개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20대미혼 여성 2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분석해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 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했으며, 연구가설 1,2,3,4와 연구문제 1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문제 2 검증을 위하여 바론과 케니의 방식을 적용하여 3단계 회귀 분석을 사용했고, 소벨 테스트를 사용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의 주요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포가 클수록 산부인과 방문의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본다면 산부인과 검진에 대한 공포의 강한 부정적 영향력이 검증된 만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해서 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가령, 적절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막연한 두려움에 기인하는 공포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긍정적 태도와 높은 통제감은 산부인과 방문의도를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변인 중에서 태도보다는 통제감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더 큰 영향력을 준다는 결과를 통해서,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의 인지 보다, 실제로산부인과에 방문하는 행동이 얼마나 쉽고 자유로운지에 대한 지각이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결과로 해석 가능하다. 즉, 20대 미혼 여성들의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통제력과 효능감을 강조하는 캠페인 메시지가 효과적일 것이다. 주관적 규범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산부인과 방문 의도가 높음이 확인됐다. 산부인과 방문이라는 지극히 사적인 행동에 가족 및 친구와 같은 가까운 주변 사람들의 영향력이 작용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산부인과 방문의도는 결국 현재 여성들이 주관적 규범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예측할 수있고,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규범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건강 메시지 구성이 필요하다. 대인커뮤니케이션은 확장된 TPB의 모든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고, 대화 양 보다는 대화내용이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나타났다. 즉, 여성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산부인과 방문이라는 이슈에 대해서 얼마나 대화를 나누느냐보다 ‘어떤’ 대화를 나누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포, 통제력, 주관적 규범의 삼원상호작용이 검증됐다. 통제력이 높고, 공포가높을 때는 여타 변수의 존재를 막론하고 방문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 통제력이 높고, 공포가 낮을 때는 규범인식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규범인식에 따라 방문의도가 달리 도출된다. 즉, 높은 행동 통제감과 낮은 공포 수준, 긍정적 주관적규범인식은 높은 산부인과 방문의도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산부인과에 가해지는사회적 압력의 존재가 한국 사회의 특성이라는 점에 비춰볼 때, 공포와 주관적 규범의 상호작용은 한국사회에서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이라는 행동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독특성으로 볼 수 있다. 대인커뮤니케이션은 여성들의 태도, 공포, 통제력,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에영향을 줌으로써, 이들을 매개해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커뮤니케이션이 단순히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의 각 요소들에 영향을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을 예측하는 선행 변인으로 작동할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공포, 태도, 통제력, 주관적 규범, 대인커뮤니케이션 등의 변수들은 서로 밀접한 영향력을 주고받음을 확인했고, 산부인과 방문 행위 자체가가지는 공포와 한국사회의 생식기계 건강관리에 폐쇄적인 문화 특수성 안에서 산부인과 방문 행동이 받는 심리적, 사회적 압박은 TPB의 기존 변수들과 더불어공포라는 새로운 변수로 설명 가능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산부인과라는 대상에 담긴 한국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여 산부인과방문이라는 건강행동에 대한 한국 사회적 맥락을 읽어내 정서-인지-사회규범변인을 적용해 다차원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연구의 결과는 차후 산부인과 방문을 독려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활용 될 수있을 것이며 자궁경부암 수검, 유방암 검진 등 다양한 여성 건강 관련 행동에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unmarried woman’s intention to visit gynecology hospital 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this study clarifi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causal factors related to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hospital. Thereby, this study tries to suggest persuasive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uld induce unmarried woman to visit gynecology hospital. This study appl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which is cognitive decision model based on psychology, to explain unmarried woman’s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clinic. To consid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gynecological examination(displeasure and fear) and the social context of Korea(social pressure and conservative sexual culture), this study extends TPB in two categories, affect and social norm. Affect category includes fear, social norm category includes descriptive norm and injunctive norm. Summing up, extended TPB includes 6 variables in 3 categories; cognitive category(includes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affective category(includes fear), social norm category(includes subjective norm, descriptive norm, and injunctive norm). Through the extended TPB, this study identifies the main effect of those 6 variables, and also discovers 3 way interaction among cognitive-affective-social factors related to unmarried woman’s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hospital.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behavioral intention by mediating the ETPB. N = 244 over 20 years old, unmarried women completed survey. This study conducted multi-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nd three-way ANOVA to deduce the result. Study result indicates that high level of fear hinders intention to visit gynecology hospital. By contrast, positive attitude and high level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leads to higher intention of visiting the hospital. Positive perception of subjective norm also enhances behavioral intention, but descriptive norm and injunctive norm do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Three-way interaction among fear-perceived behavior control-subjective norm was identified. When level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is high, level of fear is low and perception of subjective norm is positive, the result shows highest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also verifi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ETPB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shows tha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directly influences behavioral intention and also works as antecedent variable of ETPB. Based on the overall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extended mode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model overcomes the criticisms of its conceptualization apart from social context and limitation of rational decision-making approach.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ignificanc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enhancing health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 for guideline on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strate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 Ⅱ. 이론적 배경 6 A. 산부인과 관련 선행연구 6 B. 계획적 행동이론과 산부인과 방문의도 8 1. 계획적 행동이론 8 2.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 10 C. 대인커뮤니케이션과 산부인과 방문의도 19 1. 커뮤니케이션과 건강행동 19 2. 대인커뮤니케이션과 건강행동 21 3. 대인커뮤니케이션과 계획된 행동이론 선행연구 23 D. 건강행동 관련 기타 요인과 산부인과 방문의도 25 Ⅲ. 연구문제 및 가설 28 Ⅳ.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의 선정 및 연구과정 34 1. 연구대상 34 2. 설문지 구성 및 설문조사 34 3. 분석방법 34 B. 분석을 위한 변수의 조작적 정의 35 1.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 35 2. 대인커뮤니케이션 40 3. 통제변인 42 Ⅴ. 연구결과 43 A. 기초분석 결과 43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3 2. 주요 변인의 신뢰도 검증 44 3. 주요 변인의 특성 44 B. 연구문제 및 가설의 검증결과 47 1. 정서변인과 산부인과 방문의도 47 2. 인지변인과 산부인과 방문의도 49 3. 사회규범 변인과 산부인과 방문의도 51 4. 대인커뮤니케이션과 확장된 TPB 53 5. 정서-인지-사회규범 상호작용 검증 56 6. 매개효과 검증 61 C. 연구결과 요약 67 Ⅵ. 결론 및 논의 70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70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77 참고문헌 83 부록1. 설문지 101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08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한국사회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확장된 계획 행동이론과 대인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Unmarried Woman’s Behavioral Intention to Visit Gynecology Hospital in Korea : Based o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dc.creator.othernameMin, Jeewon-
dc.format.pagevi, 114 p.-
dc.contributor.examiner안순태-
dc.contributor.examiner유승철-
dc.contributor.examiner차희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