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조선 전기 대명외교에 관한 교과서 서술 분석 및 수업 개선 방안

Title
조선 전기 대명외교에 관한 교과서 서술 분석 및 수업 개선 방안
Other Titles
The Analysis on Textbook Descriptions and Lesson Improvement Measures of Diplomacy with M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Authors
김인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영찬
Abstract
Even though the Joseon Dynasty developed foreign polices based on ‘Sadaegyorin’ as a basic policy,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s relation with Ming w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political conditions of both countries. When Joseon was founded, the tributary & appointment relation with Ming was established by claiming to advocate Ming-friendly policies. However, there were still tensions around Liaotung and Jurchen. In spite of conflicts between both countries owing to Pyojeonmun incident, and Conquest of Liaotung by Jeong, Do-jeon, its friendly relation with Ming was maintained by active Sadae policies after King Taejong. Such development processes might be related to interests and national benefits of both countries. Joseon's relation with Ming influenced diverse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stead of a simple international rel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is very huge in the process of history development. Considering “understanding the knowledge about major facts and concepts of Korean and world history, and also deeply understanding Korean and world history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and to develop historical insights” which is the goal of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this paper aimed to seek for ‘improvement measures of lessons about diplomacy with M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for middle school’. This paper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rst, the basic review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to analyze textbooks and also to seek for improvement measures of lessons. After reviewing preceding researches on ‘diplomacy with M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content system and goals suggest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were analyzed. Second,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History』textbooks for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otal three types of textbooks showing high adoption rate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were no contents errors in the description of ‘diplomacy with M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there were no or insufficient explanations about the tributary & appointment system based on Sadae policies. Also, the explanations about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diplomacy with Ming were insufficient. Students might judge the influence of diplomacy with Ming by focusing on something economic/cultural. Third, based on such analysis,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that could complement insufficient parts of description in textbooks was suggested. Here, a simple activity sheet that could induce students' thinking process was included. Viewing the diplomacy with Ming in the viewpoint of ‘a selection to maintain the national system in such complex international orders of East Asia’,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balanced perspectives based on the extensiv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Ming.;조선은 사대교린을 기본 방침으로 대외 정책을 전개하였지만, 조선 전기 명과의 관계는 양국의 국내 정치 상황에 따라 변화를 맞이하면서 확립되었다. 조선은 건국 당시 친명사대를 표방하면서 명과 조공책봉 관계를 수립하였지만 요동과 여진 문제를 둘러싼 긴장은 여전했다. 표전문 사건, 정도전의 요동정벌설로 양국 간의 갈등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나 태종 이후 적극적인 사대정책을 펼치며 명과 친선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개과정은 양국의 이해관계와 국가이익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조선과 명과의 관계는 단순한 국제관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영향을 주고받았다. 따라서 대외관계사가 역사 전개 과정에서 가지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의 목표인 “우리나라와 세계 역사의 주요 사실과 개념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와 세계 역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으로써 그 상호연관성을 파악하고 역사적 통찰력을 기르는 것”을 고려하여 ‘중학교 조선 전기 대명외교 수업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단계로 전개된다. 첫째, 교과서 분석과 수업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기본적인 검토를 진행하였다. ‘조선 전기 대명외교’에 대한 학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목표와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검토된 내용을 토대로 중학교 『역사』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채택률 우위를 점한 교과서 3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선 전기 대명외교’의 서술은 내용상 오류가 없었으나 사대정책에 따른 조공책봉체제에 대한 설명이 없거나 부족하였고 대명외교 확립의 전개과정에 대한 설명 역시 부족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대명외교의 영향을 경제적·문화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어 판단할 우려가 있다고 보았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과서 서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학생들이 직접 생각해볼 수 있는 간단한 활동지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명외교를 ‘복잡했던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국가체제 유지를 위한 선택’이었다는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조선과 명의 관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인식을 기반으로 균형 잡힌 시각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