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4 Download: 0

국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 연구

Title
국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spective Music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Attitude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Authors
이지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교육 현장에서 질 높은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실천가인 교사의 전문성이 선결되어야한다. 교사의 전문성은 예비교사 단계의 경험과 교육기회에 영향을 받으므로, 예비음악교사의 국악 교수전문성과 국악 교수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는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국악이 교육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악에 대한 예비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국악 교수전문성에 초점을 맞추고,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를 조사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국악교육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 재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국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에 대해 조사하고, 각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후, 두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예비음악교사의 일반적 특성, 교수내용지식(PCK), 교수태도, 국악 교수 경험과 관련한 개방형 응답의 총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의 응답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정, Pearson's 상관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국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은‘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내용 표현의 지식’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문항분석 결과, 예비음악교사들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악의 음악적 요소를 제재곡에 따라 적합하게 표현하여 지도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예비음악교사의 교수태도 조사 결과,‘수업에 대한 태도’영역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문항분석 결과, 예비음악교사들은 국악 교수 시 필요한 연주 기술, 국악에 대한 음악적 지식, 국악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 등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현재 학기, 전공, 국악 관련 강의 수강과목 수이며, 각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음악교사의 국악에 대한 교수태도는 전공과 국악 관련 강의 수강과목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성별과 현재 학기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국악에 대한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음악교사의 국악에 대한 교수태도가 긍정적인 집단일수록 교수내용지식(PCK)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교수내용지식(PCK)이 높을수록 교사의 교수태도가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예비음악교사의 국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가 상호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예비음악교사의 실제 수업과 직결되는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교육과 국악 실기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뒷받침해 준다. 특히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기와 수강과목 수는‘국악 교육 기회’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다양한 국악 과목 개설과 국악 특강, 세미나 등의 교육 기회가 제공되어 교사전문성에 영향을 준다면 예비음악교사의 국악 교수 활동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의 국악에 대한 교사전문성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음악교사가 국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비음악교사 스스로 국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의 수준을 파악하여 음악교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In order to realize high-quality education in education site,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professionalism as a practitioner of education. Since teachers' professionalism is influenced by experiences in the stage of prospective teacher,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essential to have researches to understand prospective music teachers' professionalism of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ir attitude toward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results of examining preceding researches, however, even th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importantly emphasized in the aspect of education,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prospective teachers' professionalis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helping the vit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s, by examining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attitude having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focusing on professionalism of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After examining PCK and teaching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n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argeting 168 students of music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the correlations between two variabl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open-ended response questions) of this study was comprised of total four area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CK, teaching attitude, and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Regarding PCK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urriculum' and 'knowledge about contents expression' was low. In the results of analyzing questions, prospective music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musica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urriculum suitable for each repertoire. In the results of examining prospective music teachers' teaching attitude, the area of ‘attitude toward lesson’ showed the lowest level. In the results of analyzing questions, prospective music teachers had negative attitude toward performance techniques necessary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musical knowledge about it,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less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aving significant influence on PCK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include the current semester, major, and the number of courses taken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each subarea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CK depending on gender. Such prospective music teachers' teaching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ir majors and the number of courses taken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nd the current semester. The prospective music teachers' PCK and teaching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positive(+) correlations. When their teaching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positive, the level of PCK is relatively high. When PCK is high, teachers' teaching attitude is positive. In other words, prospective music teachers' PCK and teaching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factors having influence on each other. The results above support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that can reinforce professionalis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ractice in music curriculum directly connecting to the actual lesson by prospective music teachers. Especially, the semester and the number of courses taken having influence on PCK and teaching attitude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show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opportun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opening diverse courses, special lectures, and seminar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giving influence on teachers' professionalism, prospective music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would be more actively performed. Also,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n index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professionalism of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judging music teachers'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prospective music teachers, and also understanding their own level of PCK and teaching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