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4 Download: 0

핵심역량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독서>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Title
핵심역량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독서>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blems of high school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plans in terms of key competences
Authors
박영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핵심역량 관점에서 고등학교 <독서>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독서> 과목을 통해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국어과 교과 역량과 독서교육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하였고, 독서교육에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혔다. 이어 독서교육을 통해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차원의 형식적이고 일회적인 독서교육이 아닌‘교과’차원에서 체계적인 독서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는 핵심역량에 기반한 <독서>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면서 <독서>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모색하였다. 우선 핵심역량 관점에서 본다는 것은 역량의 특성 및 핵심역량 교육의 지향점을 기준으로 삼아 본다는 것이다. 핵심역량 관점에서는 학습자를 능동적 주체로 보고 학습자의 삶의 자질과 변화를 강조한다. 이에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과 자원을 가지고 실제적으로 무엇을 해 볼 수 있는 맥락과 상황의 제공을 중요하게 여기며 무엇보다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의 균형과 조화를 강조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독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독서>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역량 관점에서 본 <독서> 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교육과정의 목표로서‘독서 능력’의 개념이 불명료하고,‘독서 능력’개념과 <독서> 과목의 성취기준이 주로‘텍스트 읽기’중심의 개인적이고 인지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져 온 경향이 크다. 둘째, <독서> 교과서는 개별적 지식과 기능에 초점을 맞춰 분절적으로 단원을 구성하고 있어 학습자의 종합적인 독서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 글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 정리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어 글을 통한 학습자의 의미 구성이나 학습자 간 상호작용 활동은 소홀히 한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교과서도 인지적인 요소만을 강조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식과 행위의 통합,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정의적, 사회적 역량)의 균형을 강조하는 핵심역량 관점에서 보면 <독서>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는 보완 및 개선의 필요성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핵심역량 관점에 부합한 <독서> 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개선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우선 <독서> 교육과정의 목표로서‘독서 능력’개념은 텍스트 중심의 접근에서 더 나아가 독자 중심의 접근과 사회적 상호작용 중심의 접근으로 논의의 장을 넓혀 독서 능력 개념의 의미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독서 능력’개념을 핵심역량 관점에 부합하도록 보완하여 9가지로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 교육과정의 목표를‘학습자의 주도적 의미 구성으로의 독서’,‘문제해결적 사고 활동으로서의 독서’,‘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비판적․성찰적 독서’로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독서> 교과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네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역량 기반의 통합적 단원 구성을 제안하였다.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정 내용의 반영 방식을 다양화하고, 분절되었던 각각의 단원을 아우를 수 있는 통합 단원을 구성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분절적으로 익혀왔던 지식과 기능을 통합적이고 반복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종합적인 독서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 주도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활동을 강화한 단원 구성을 제안하였다. 글 읽기를 통한 학습자의 의미 구성은 읽기의 모든 과정에서 일어나므로 읽기 전, 중, 후의 각각의 활동들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문제해결적 독서 활동을 강화한 학습활동 구성을 제안하였다. 독서 방법이나 읽기 제재의 내용 등과 관련하여 문제해결과정을 학습활동으로 구현한다면, 독서를 통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을 강화한 학습활동 구성을 제안하였다. 대표적으로 토론과 글쓰기를 제안하였는데, 토론의 경우 찬반 토론 모형보다는 독서 토론에 특화된 다양한 모형에 따라 학습활동을 구성하고, 글쓰기의 경우, 개인적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짧은 글쓰기보다는 공동체가 함께 대화를 거쳐 할 수 있는 글쓰기 활동을 학습활동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 핵심역량에 기반하여 고등학교 <독서> 과목을 가르친다는 것은 독서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고, 그 앎을 실천하는 행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의미한다. 교과로서 <독서>는 독서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역량 관점에서는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 많았다. 이제는 <독서> 과목이 인지적인 요소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사회적 공동체와 공유하는 경험들을 통해 자발적이고 실천적인 독서 태도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교육과정의 목표로서 독서 능력 개념에 대해 단순히‘글을 잘 읽는 능력’,‘글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텍스트 중심의 읽기’차원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글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해가며 공동체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에까지 개념의 의미를 확장할 때, 그 목표에 부합한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학습자에게 폭넓은 독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실제적 수행을 강조하는 활동 중심의 교과서로 개선되어야 한다. 활동 중심의 교과서는 단순히 많은 양의 활동을 제시한 교과서가 아니라 학습자가 독서 활동 과정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는 주체로 설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 주는 교과서를 의미한다. 이에 읽기 제재의 내용을 정확히 읽었는지 확인하는 차원을 넘어 기존 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 성격의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목적과 동기를 지니고 독서 행위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제시와 관련하여 비판적이고 종합적인 독서 역량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교과서 단원 구성에 변화를 주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high schoo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ey competences and to explore its improvement plans to enhance the key competences based on the subject of . Given that key competences emphasize the life quality and change of learners, it provides the entity of competences in which the overall development of cognitive competences and non-cognitive competences as well as the contexts and situations to exercise learners’capabilities in actual ways with their own knowledge and resources. Key competences also emphasize the subjectivity and contextuality, which mean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s in which learners can actively solve their problems. Regarding such characteristics of key competenc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plans centered on the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 Above all, the problems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ey competenc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reading ability' as an object of education curriculum was not clear. The concept of‘reading ability'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subject tended to be addressed in personal and cognitive dimension centered on‘text reading'. Second, since the sections of textbooks were segmentally organized by focusing on separated knowledge and functions, the integrated reading experiences of learners were not sufficiently offered. Also, since the activities of organizing the relevant contents from texts were highlighted, the meaning construction of learners through texts or interaction activities among learners were likely to be neglected. Thus, it was revealed that only cognitive elements were emphasized in textbook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core competence to stress the integration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and the balance between cognitive competence and non-cognitive competence, the supplements and revisions were required in terms of the objectives of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textbooks. To improve these problem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competences perspective. Above all, the concept of‘reading ability’as an objective of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supplemented by expanding the scopes of discussion with the approaches centered on readers and social interactions beyond the approach centered on texts. This study selected 9 concepts of ‘reading ability’ to correspond with the core competence perspective. Based on these concept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curriculum were specified as follows: ‘reading as an active meaning construction of learners’, ‘reading as a problem-solving thinking activity’,‘critical and reflective reading as a community members through interactions’. Then, about the improvement plans for textbooks, the integrated section organization based on competence, the section organization with the enhancement of self-initiative meaning construction activity, the section organization with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reading activity, the learning activity organization with the reinforcement of social interaction activities were suggested. Educating high school subject based on key competences implies that teaching the knowledge of reading and leading the action of practice. Although as a subject systematically contains the knowledge of reading, it is not sufficient for the key competences perspective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Now, it is required that learners can autonomously construct knowledge and express the knowledge in the subject rather than focusing on cognitive eleme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go beyond‘the capability of reading a book well’and the dimension of‘understanding and thought’with respect to the concept of reading capability. Second, the textbooks should be transformed to activity-centered textbooks to emphasize the practices of learners. Not just checking the accurate reading of the given materials, guiding the process or method in more specific ways is required to lead learners to actual pract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