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이보라미-
dc.creator이보라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48-
dc.description.abstract담화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모두 유의미한 연결 관계를 가져 전체 담화의 응집성 형성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가 담화 표층에서 언어 표지로 쉽게 관찰되는 것이 아니어서 무엇이 응집성인지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한계로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응집성 자체에 주목한 연구보다는 담화 표층의 지시적 응집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보다 완성도 높은 담화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표층의 지시적 응집 관계를 잘 나타내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담화 교육에서도 담화의 핵심적인 특성인 응집성에 관한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설명적 문어 담화를 대상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관계적 응집성의 종류를 고찰하고, 관계적 응집성의 형성 기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응집성에 관한 선행연구와 설명 담화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관계적 응집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계적 응집성의 의미, 관계적 응집성의 분류 기준과 종류, 관계적 응집성 형성 양상을 살펴보았다. ‘관계적 응집성’은 ‘지시적 응집성’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원인-결과’, ‘병렬’ 등과 같이 담화 조각들이 의미적‧화용적 차원에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관계에서 비롯된 것을 의미한다. 관계적 응집성의 종류로는 크게 유사 관계, 인과 관계, 근접 관계로 나눌 수 있다. ‘유사 관계’는 연결의 대상이 되는 내용 혹은 개념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인해 응집성이 형성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관계를 갖는 관계적 응집성의 종류는 ‘병렬 관계, 대조 관계, 예시 관계, 일반화 관계, 예외 관계, 상세화 관계’가 있다. 인과 관계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뜻하는 것으로 담화 조각이 가지는 본래의 의미 이외에도 각각의 명제가 발생시킬 수 있는 사건과의 연결 고리에 대한 추론의 과정이 필요하다. 세부 종류로는 원인-결과 관계, 설명 관계, 어긋난 예측 관계, 부인 관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근접 관계는 특정한 일이 벌어지는 때(occasion)를 공유하고 그러한 상황 자체가 어떤 일이 발생하는 계기에 영향을 미쳐 담화 조각 간에 연결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관계적 응집성의 형성 기제로 ‘언어적 맥락, 상황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언어적 맥락’은 담화 조각이 갖는 의미 자질 간의 연결 관계로 응집성이 형성되는 것을 가리킨다. 의미적 측면에서 관계적 응집성이 형성되는 경우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일반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언어적 맥락에 의한 담화 내부의 의미적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를 말한다. ‘상황적 맥락’은 담화 조각이 공유하는 상황적 맥락으로 인해 응집성이 형성되는 것이며, ‘사회․문화적 맥락’은 담화 조각이 내포하는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 가치관, 사회적 윤리 규범 등의 일반적 세계 지식이 공유하는 맥락에 의해 응집성이 형성되는 것을 뜻한다. Ⅲ장에서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을 고찰하였다. 연구 절차, 연구 참가자, 자료 수집 방법과 도구, 자료 분석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는 2급, 4급, 6급의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55명이 서울에 대해 설명하는 글쓰기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 자료와 비교하기 위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자료로 대표성을 갖는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3종의 설명 담화를 선정하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Ⅳ장과 Ⅴ장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자료와 한국어 모어 화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Ⅳ장에서는 설명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를 분석한 결과를 다루었는데, 설명 담화에서는 유사 관계가 인과 관계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하위분류로는 병렬 관계, 상세화 관계, 예시 관계의 순으로 사용되었다. 모어 화자의 자료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나 한국어 학습자들에 비해서는 상세화 관계가 더 많이 사용되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숙달도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의 자료도 각각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또한 병렬 관계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숙달도가 높아지면서 상세화 관계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졌으며, 초급과 중급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부인 관계와 근접 관계가 사용된 특징을 가졌다. Ⅴ장에서는 설명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형성 기제를 분석하였다. 학습자 담화와 모어 화자 담화를 언어적 맥락, 상황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어적 맥락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이 사회․문화적 맥락, 상황적 맥락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가 높아지면서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관계적 응집성이 형성되는 비율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설명적 문어 담화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한 관계적 응집성의 종류가 있다는 것을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언어적 맥락에 의한 관계적 응집성 형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사회․문화적 맥락으로의 관계적 응집성 형성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도 숙달도가 높아지면서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응집성을 형성해 나가는 발달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담화의 핵심 요소인 응집성에 관한 분석을 체계적으로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무엇보다 학습자들의 담화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관계적 응집성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발달 양상을 밝힌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Every element composing a discourse has a significant connection relation with each other, further contributing to forming the coherence of the entire discourse. However, as such a relation is not easily observed as a linguistic marker on the text surface, it is not easy to explain what is coherence to Korean language learners. Due to such a limitation, researches have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referential coherence of the text surface rather than coherence itself in Korea education so far. On producing texts with a higher degree of completion, however, exposing referential coherence relations on the text surface has a limit. Eve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education on coherence, which is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a discourse, should be provided by any means. Thus, this study aims to review kinds of relational coherence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and examine the mechanism of forming relational coherence. The below shows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is study. Chapter Ⅰ clarifi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s some previous studies on coherence and expository discourses. Chapter Ⅱ examines relational coherence that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Specifically, this chapter examines the meaning of relational coherence, the standard of classifying relational coherence, the mechanism of forming relational coherence and the realization layer of relational coherence. As concepts distinguished from those of referential coherence, relational coherence has some discourse segments, such as cause-effect and parallel, and they seem to come from relations connected and established in semantic and pragmatic levels. The kinds of relational coheren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resemblance relations, cause-effect relations and contiguity relations. Resemblance relations indicate when coherence is formed b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ntents or concepts of targets to connect. As kinds of relational coherence having such a relation, there are parallel relations, contrast relations, exemplification relations, generalization relations, exception relations and elaboration relations. Cause-effect relations indicate the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which requires a process of inferring the link with events that each proposition may cause, beside the original meaning of discourse segments. As kinds of cause-effect relations, there are result relations, explanation relations, violated expectation relations and denial of preventer relations. Lastly, contiguity relations indicate that discourse segments are connected when a situation of sharing the same occasion provides a chance for another event to take place. As mechanisms of forming relational coherence, this chapter examines linguistic contexts, situational contexts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Linguistic contexts indicate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semantic features of discourse segments, which is the formation of coherence. In the semantic aspect, relational coherence formed can be regarded as a basic and general pattern, which indicates when the semantic connection inside a discourse is established by linguistic contexts. On the other hand, situational contexts indicate when coherence is formed by situational contexts that discourse segments share with each other, whil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dicate when coherence is formed by contexts of general world knowledge, such a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values and social ethnics, that discourse segments connote. In addition, as realization layers of relational coherence, this chapter examines lexical layer, grammatical layer and discursive layer. Chapter Ⅲ examines research methods to solve research problems. This chapter is composed of research procedures, research subjects, data collection method and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55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Chinese speaking countries who had the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 Korean language skills, and analyzed their essays about Seoul. To compare the data from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selected some expository discourses from three kind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s a corpus, representing the Korean native speakers’ data. Chapter Ⅳ and Ⅴ describ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from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Chinese-speaking countries and Korean native speakers. Chapter Ⅳ deals wi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inds of relational coherence used in expository discourses. resemblance relations were used far more than cause-effect relations in expository discourses, and as sub-domains, parallel relations were used most, followed by elaboration relations, exemplification relations and cause-effect relations. The data from Korean native speakers was similar to this, but explanation relations were more used in Korean language learners than Korean native speakers. This chapter also examined each data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beginning level, intermediate level and advanced level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allel relations were most used. However, as their proficiency was higher, they used elaboration relations more often, further being characterized to use denial of preventer relations and contiguity relations which were not found in the beginning level and intermediate level learners. Chapter Ⅴ analyzes mechanisms of forming the relational coherence of expository discourses, particularly by dividing Korean language learners’ discourses and Korean native speakers’ discourses into linguistic contexts, situational contexts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s a result, linguistic contexts were found most, followed b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situational contexts As Korea language learners had a higher degree of proficiency, the rate of relational coherence being formed b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became higher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inds of relational coherence used,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are specific kinds of relational coherence frequently used in expository discourses. Besides, relational coherence is formed most by linguistic contexts, but it was also found that relational coherence is often formed b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Korean language learners’ proficiency became higher, coherence seemed to be developed into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ystematically analyzing coherence, which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discourse, and clarifying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coherence so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may improve their discourse 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검토 6 1. 응집성에 관한 연구 6 2. 설명 담화에 관한 연구 21 C. 연구 문제 26 Ⅱ. 이론적 배경 30 A. 관계적 응집성의 의미 30 1. 응집성과 응결성 30 2. 지시적 응집성과 관계적 응집성 37 B. 관계적 응집성의 분류 기준과 종류 44 1. 관계적 응집성의 분류 기준 44 2. 관계적 응집성의 종류 54 C. 관계적 응집성 형성의 맥락 66 1. 언어적 맥락 67 2. 상황적 맥락 70 3. 사회문화적 맥락 76 Ⅲ. 연구 방법 83 A. 연구 절차 83 B. 연구 참가자 88 C. 자료 수집 방법 및 도구 91 D. 자료 분석 방법 94 1. 자료 분석 절차 94 2. 자료 코딩 및 분석 방법 96 Ⅳ. 설명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분석 104 A. 설명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105 1. 한국어 모어 화자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105 2. 학습자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117 3. 학습자 담화와 한국어 모어 화자 담화의 사용 종류 비교 123 B. 학습자 숙달도별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125 1. 초급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126 2. 중급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131 3. 고급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136 4. 초중고급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종류 비교 139 C. 소결론 147 Ⅴ. 설명 담화의 맥락별 관계적 응집성 형성 양상 분석 149 A. 설명 담화의 맥락별 관계적 응집성 형성 양상 149 1. 한국어 모어 화자 담화의 맥락별 관계적 응집성 형성 양상 150 2. 학습자 담화의 맥락별 관계적 응집성 형성 양상 171 3. 학습자 담화와 한국어 모어 화자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형성 양상 비교 178 B. 학습자 숙달도별 관계적 응집성 형성 양상 181 C. 소결론 184 Ⅵ. 결론 186 A. 연구 결과 요약 186 B. 연구 의의 및 제한점 190 참고문헌 192 부록 1. 실험지 203 부록 2. 연구 참가자 기본 정보 205 ABSTRACT 2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1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설명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ional coher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Chinese-speaking-
dc.format.pagex, 211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최형용-
dc.contributor.examiner곽지영-
dc.contributor.examiner서주원-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