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이민경-
dc.creator이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생산한 구어와 문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구어, 문어 사용역에 따른 한국어 응결장치 사용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응결장치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문어 텍스트를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구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문어와 다른 구어 응결장치의 특징을 밝히고 구어와 문어 응결장치의 차이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실제 자료를 통한 구체적인 비교‧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생산한 구어 텍스트와 문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응결장치가 구어, 문어 사용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또한 그것이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응결장치 사용 양상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응결성과 응집성과 관계에 대한 연구,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 그리고 구어와 문어 사용역에 따른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순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Ⅰ장의 마지막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문제 3가지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텍스트 및 텍스트성에 대한 부분과 텍스트의 응결장치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텍스트 및 텍스트성에 대한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의 텍스트의 개념을 규명하고 텍스트가 텍스트다워지기 위해서 갖춰야 할 특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텍스트의 응결장치에 대한 부분에서는 응결장치의 개념과 분류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관점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기반으로 삼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응결장치를 분류하고 체계화함으로써 구어,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장치를 분석하기 위한 본 연구의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1, 2차 예비 실험의 내용과 절차에 대해 기술한 후, 예비 실험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 예비 실험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구성한 본 실험의 실험 참여자, 자료 수집 방법, 자료 분석 방법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수집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먼저 1절에서는 구어와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대용의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용의 응결장치는 문어 텍스트보다 구어 텍스트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구어와 문어 사용역에 따라 대용 응결장치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구어 텍스트에서는 대용 용언이 다양한 문법 항목과 결합하여 활발하게 사용되고, 아우름의 기능을 수행하는 대용 수식언이 다양한 어휘와 함께 쓰이는데,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는 구어보다 문어 텍스트에서 ‘이’ 계 대용어를 선호하는 한편, 중국어권 학습자는 문어보다 구어 텍스트에서 더 선호하여, ‘이’ 계와 ‘그’ 계 대용어의 구분 기준과 선호 사용역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절에서는 구어와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접속의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용 양상을 보았을 때 접속의 응결장치는 대용의 응결장치와 마찬가지로 구어 텍스트에서 빈도가 더 높으나, 대용의 응결장치에 비하여 구어, 문어 사용역에서 선호되는 항목 간에 구분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그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어 사용역에서 쓰이는 접속표현에 대한 지식이 없어 구어 텍스트에서 사용하는 것을 문어 텍스트에서 똑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구어, 문어 사용역에 따라 선호되는 접속의 응결장치가 무엇인지 교수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3절에서는 구어와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적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어 텍스트에서는 동일어 반복이 높은 반면 문어 텍스트에서는 구어에서보다 동일어 반복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고 유의어, 상하위어, 반의어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의어, 상하위어, 반의어 사용이 구어보다 문어 사용역에서 더 필요한 어휘적 응결장치라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문어 텍스트에서 유의어, 상하위어, 반의어 등의 어휘적 응결장치를 적절하고 또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가 필요하며, 특히 유의어 사용을 위한 어휘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구어, 문어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발견한 결과들을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어 텍스트를 위주로 연구되어 오던 기존 응결장치 연구와 달리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실제 구어, 문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구어, 문어 사용역에 따른 응결장치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과 그 차이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구어, 문어의 사용역에 따른 차별화된 교수,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 속에 구어, 문어에 맞는 응결장치 사용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language cohesive device according to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targeting the verbal and written texts produced by the Chi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ies on cohesive device have been mainly focused on written texts. As the attention toward verbal languages gradually increases, the studie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cohesive device distinguished from written language and to explain their differences have been attempted. However, the studies of specific comparison and analysis based on the actual materials from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not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ohesive device between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usage patterns of cohesive device of the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s in terms of the verbal and written texts produced by the Chi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addressed, and the relevant existing studies are investiga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hesion and coherence, the studies on a variety of variables affecting the usage patterns of cohesive devise, and the studies on the usage patterns of cohesive device according to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In the final part of Chapter Ⅰ, thre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introduced.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part of text and textuality and the part of cohesive device of texts, is introduced as well. In the former part, the concept of text and the features of textuality are defined. In the latter part,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on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cohesive device of text are examined, and the view that becomes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is presented. Based on the view above, the Korean language cohesive device is classified and systematized, which leads to the framework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cohesive device in verbal and written texts. In Chapter Ⅲ,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described in details.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the primary and second preliminary experiments are specified, and the problems and solving plans from the preliminary experiments are suggested. Then,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sis methods of the main experiment organized from the revisions and supplemen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s are also suggested in details. Chapter Ⅳ includes the analysis finding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Chapter Ⅲ. In Section 1, the usage patterns of substitution in verbal and written texts a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substitution is more frequently utilized in verbal texts than written texts. However, the learners cannot clearly recognize the differences of substitution usage according to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In particular, given that predicative substitutes are actively used as combining a variety of grammar items in verbal texts and modifier substitutes that function as recollection are used with diverse vocabulary, it is revealed that the learners lack the associated capabilities. Also, while the Korean native speakers prefer substitute “this” in written texts than verbal texts, the Chinese-speaking learners prefer the substitute in verbal texts than written texts, which shows that they are not aware of the distinction standard between substitute “this” and “that” and their preferred registers. In Section 2, the analysis results of usage patterns of conjunction in verbal and written texts. Considering the usage patterns of Korean native speakers, conjunction has more frequency in verbal texts like substitution. However, the distinction among the preferred items more clearly appear in verbal and written registered compared to substitution, and it is found that the learners cannot perceive the difference. In particular, they usually identically utilize the usage patterns of verbal texts in written texts due to the comprehension shortage of conjunction expression in written register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ng the preferred conjunction according to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is required. In Section 3, the usage patterns of lexical cohesion in verbal and written texts a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rate of the same word repetition in verbal texts was higher. In contrast, the rate is lower in written texts than verbal texts, with more frequent usage rate of synonym, superordinate, antonym.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usage of synonym, superordinate, antonym is more necessary lexical cohesion in written register than verbal register. Therefore, educating the Chinese-speaking learners to appropriately and correctly utilize lexical cohesion such as synonym, superordinate, antonym in written texts is required. Particularly, lexical education for synonym usage should be reinforced. In Chapter V, the analysis findings from verbal and written texts are organized and summarize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ollow-up sugges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of analyzing and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cohesive device according to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targeting actual verbal and written texts, unlike the existing cohesive device studies centered on written tex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a basis for providing the knowledge for cohesive device usage suitable for verbal and written language in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the demands for distinguish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are recently heighte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응결성과 응집성의 관계 5 2. 변인에 따른 응결장치 사용 양상 8 3. 구어, 문어 사용역에 따른 응결장치 사용 양상 12 C. 연구 문제 14 Ⅱ. 이론적 배경 16 A. 텍스트와 텍스트성 16 1. 텍스트의 개념 16 2. 텍스트성의 개념 19 B. 텍스트의 응결장치 23 1. 응결장치의 개념 23 2. 응결장치의 분류 27 3. 한국어의 응결장치 34 Ⅲ. 연구 방법 54 A. 실험 참여자 56 B. 자료 수집 절차 63 1. 1차 예비 실험 65 2. 2차 예비 실험 74 3. 본 실험 83 C. 자료 분석 방법 91 Ⅳ. 중국어권 학습자의 구어와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장치 94 A. 대용의 응결장치 95 1. 사용 빈도 및 오류율 96 2. 대용 체언, 대용 용언, 대용 수식언의 사용 양상 98 3. 이 계 대용어, 그 계 대용어의 사용 양상 116 4. 소결론 125 B. 접속의 응결장치 129 1. 사용 빈도 및 오류율 130 2. 연결어미의 사용 양상 134 3. 부사, 수사 및 관용적 연결어의 사용 양상 150 4. 소결론 173 C. 어휘적 응결장치 176 1. 사용 빈도 및 오류율 178 2. 어휘의 유형별 사용 양상 180 3. 소결론 188 Ⅴ. 결론 190 A. 연구 결과의 요약 19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92 참고문헌 194 ABSTRACT 2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92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구어와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장치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hesive device of the Chi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 in verbal and written texts-
dc.format.pageix, 205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최형용-
dc.contributor.examiner곽지영-
dc.contributor.examiner서주원-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