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7 Download: 0

고기능 자폐 아동과 일반아동의 대화상대자 및 대화기능에 따른 완곡한 표현 특성비교

Title
고기능 자폐 아동과 일반아동의 대화상대자 및 대화기능에 따른 완곡한 표현 특성비교
Other Titles
Demanding and Rejecting Expression Skills of High-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Authors
차윤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사회성을 지니고 태어난 사람에게 있어 의사소통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의사소통을 통해서 사람은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며,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사회적 존재로 성장해 간다. 상호작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사표현 능력과 의사 주고 받기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대화상대자나 상황 등 다양한 맥락에서 적절한 구어 또는 비구어적 의사소통 수단을 사용하는 능력은 가정 및 사회적 환경에 있어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최근, 일반 아동과 인지 및 언어 능력에서 유사한 수준을 보이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비교는 임상적으로 주요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화용언어능력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고기능 자폐 아동의 화용적인 문제와 관련한 정서 이해, 요구 및 거절 표현 이해, 은유이해 등 주로 이해 부분과 관련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으나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대화기능 표현을 다룬 연구들은 그리 많지 않다. 화용적인 결함 중 대화기능은 아동의 의사소통 의도에 따라 범주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요구 및 거절하기는 아동의 가정이나 유치원 또는 학교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대화기능으로 아동의 화용적인 결함을 살펴보는 데 있어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 만날 수 있게 되는 대화상대자에 따라 아동의 요구 및 거절하기 표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이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임상 현장에서 중재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화상대자에 따른 요구 및 거절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일반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을 비교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대화상대자가 동등관계이거나 상하관계였을 때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요구 및 거절하기 표현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5-7세 고기능 자폐 아동 10명, 일반 아동 10명, 총 20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에 대한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고기능 자폐 아동의 표현 과제 수행 점수에 비하여 일반 아동의 표현 과제 수행 점수가 높았다. 또한, 대화기능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요구하기 표현 과제 수행 점수에 비하여 거절하기 과제 수행 점수가 높았다. 반면, 대화상대자의 관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집단과 대화상대자의 관계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반면, 집단과 대화기능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고기능 자폐아동 집단에서 요구하기 표현 과제 수행 점수와 거절하기 표현 과제 수행 점수의 차이가 일반아동 집단에서 요구하기 표현 과제 수행 점수와 거절하기 표현 과제 수행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음을 나타낸다. 대화상대자의 관계와 대화기능에 대한 이차상호작용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요구하기 과제에서 동등관계 표현 점수와 상하관계 표현 점수의 차이가 거절하기 과제에서 동등관계 표현 점수와 상하관계 표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음을 나타낸다. 집단과 대화상대자의 관계 및 대화기능에 대한 삼차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대화상대자에 따른 요구 및 거절하기 표현에서 고기능자폐 아동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의 오반응 횟수 및 오반응 유형을 분석한 결과, 동등관계 요구하기 과제에서 고기능 자폐아동은 화용적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으며 상하관계 요구하기 과제에서는 의미적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일반아동은 동등관계 요구하기 과제에서 의미적 오류만 나타났으며 상하관계 요구하기 과제에서 구문적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동등관계 거절하기 과제에서 고기능 자폐아동은 화용적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으며 상하관계 요구하기 과제에서 또한 화용적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일반아동은 동등관계 거절하기 과제에서 화용적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상하관계 거절하기 과제에서 구문적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고기능 자폐아동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요구하기 표현에서는 비슷한 수행력을 보였지만 거절하기 표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요구하기 과제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기술통계 결과에서 요구하기 표현 과제에서 고기능 자폐아동에 비해 일반아동의 정반응 점수가 더 높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은 요구하기가 대화 기능 중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른 시기부터 나타나기 때문에(홍경훈·김영태, 2001) 본 연구의 대화 상대자의 연령에서 쉽게 표현 가능하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거절 상황에서 의사소통은 요구 상황에서의 의사소통보다는 더 어렵다고 한다(Hatta & Haegawa, 2004). 이로 인해 화용적인 결함이 있는 자폐아동의 경우, 일반아동보다 더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거절하기 표현에 있어 뚜렷한 어려움을 보였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았을 때, 고기능 자폐 아동에게 다양한 유형의 요구 및 거절하기 표현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중재한다면 대화상대자에 따라 유연한 대화 기능을 사용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hildren’s demanding and rejecting according to conversation partners and conversation types between the High-Functioning Autism(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10 HFA children and 10 TD children aged from 5 - 7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40 items; 20 of demanding in equal relationship and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20 of rejecting in equal relationship and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A short story with a picture was presented verbally and asked to say for demanding or rejecting adequately to the situational context.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se the expressiv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artner and communication typ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What are the error types of demanding and rejecting for each group of children? Three-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s. In addition, the error types of demanding and rejecting in groups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occur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follows; (1) The inter-group interactive effec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FA group showed lower demanding and rejecting expression than TD group. HFA group showed more difficulty in rejecting task than in demanding task, while TD group showed more difficulty in demanding task than in rejecting task. Both group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demanding tasks of equal relationship (i.e., child-to-child) than in demanding tasks of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i.e., child-to-adult), while Both group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rejecting tasks of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i.e., child-to-adult) than in rejecting tasks of equal relationship (i.e., child-to-child). (2) the HFA showed pragmatic errors most frequently in demanding and rejecting tasks, while TD showed sematic errors and syntactic errors most frequently in demanding and rejecting tasks.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HFA children have weak expression ability of demanding and rejecting, with more difficultty in rejecting. Based on these findings, high-functioning autism children are seemed to need more support for demanding and rejecting express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